[include(틀:튀르키예의 행정구역)] [[파일:터키 시노프.jpg|width=900]] 반도에 자리한 시가지 [[파일:터키 시노프 2.jpg|width=900]] 구도심과 비잔틴 시기 성벽 [[파일:시노프 터키 5.jpg|width=900]] 알라에딘 자미를 중심으로 한 구도심 전경. [목차] [clearfix] == 개요 == [[튀르키예어]] Sinop [[그리스어]] Σινώπη (시노피) [[튀르키예]] 북부의 [[도시]]. [[삼순]]에서 서북쪽으로 110km, [[카스타모누]]에서 동북쪽으로 130km 떨어진 [[흑해]] 연안에 자리한 인구 6만여의 작은 [[항구도시]]이다. 옛 지명은 시노페 (Σινώπη)로, 철학자 [[디오게네스]]의 고사가 있었고 [[폰투스 왕국]]의 수도였을 정도로 유서가 깊다. 중세 시기에는 [[동로마 제국]] 및 [[트레비존드 제국]]과 [[룸 셀주크]] 간의 각축장이었고, 마침내 1265년 후자가 승리한 후로는 페르바네 왕조와 잔다르 왕조의 수도로 번영하였다. [[오스만 제국]]기에는 [[크림 전쟁]] 시기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평화를 누렸다. 시내에는 동로마 시절 성벽과 셀주크 시절의 내성, 알레에딘 모스크, 페르바네 마드라사 등의 유적 및 시노프 박물관이 있다. 서쪽 3km 지점에 시노프 공항이 자리하고, 서쪽 8km 지점에는 시노프 원자력 발전소[* 튀르키예의 2번째 원전으로, 일본과 프랑스 기업이 합작으로 작업 중이다. 한국도 수주에 나섰으나 실패하였다]가 건설 중이다. == 역사 == [[파일:터키 시노프 동전.jpg]] 기원전 4세기 시노페에서 주조된 동전 [[밀레투스]] 출신 이오니아 그리스인들이 세운 도시로, [[카파도키아]]산 적갈색 안료인 시노피아[* 시노페에서 유래]를 수출하였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라고 물었을 때, '아무것도 필요없으니 [[햇빛]]을 가리지 말고 비키라'라고 했다는 '시노페의 [[디오게네스]](Διογένης ὁ Σινωπεύς, 기원전 412년? ~ 기원전 323년?)'가 이 곳 출신이다. [[헬레니즘]]기에 자치를 유지하며 [[폰투스 왕국]]에 맞섰으나 기원전 183년에 결국 점령되어 그 수도가 되었다. 로마에 맞선 [[미트리다테스 6세]]의 출신지이자 매장지 역시 시노페였다. 기원전 70년 [[루쿨루스]]가 점령하여 로마령이 되었고, [[카이사르]]에 의해 식민도시로 지정되어 콜로니아 율리아 펠릭스라 명명되었다. 로마 시대 시노페는 [[크림 반도]] 및 [[콜키스]] (조지아)와의 교역항이었다. === 중세 === [[파일:시노프 터키 2.jpg|width=800]] 헬레니즘기에 세워져 동로마 대에 보강된 성벽 [[동로마 제국]]기 시노페는 [[트라브존]]과 함께 흑해의 주요 거점 중 하나였다. 838년 [[호람딘]] 출신의 장군 [[테오포보스]]가 시노페에서 황제로 추대되었으나 곧 [[테오필로스]]에게 항복하기도 하였고, 858년에는 [[압바스 왕조]]의 습격을 받았다. [[만지케르트 전투]] 후 1081년 시노페는 [[셀주크 제국]]에 점령되었으나 얼마후 [[알렉시오스 1세]]가 수복하였다. 1101년 메르지푼에서 대패한 롬바르드 십자군의 패잔병이 시노페를 통해 콘스탄티노폴리스로 도주하였다. 1204년 [[4차 십자군]]의 혼란기에 시노페는 [[트레비존드 제국]]의 주요 거점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1214년 [[룸 셀주크]]의 카이카우스 1세가 포로로 잡은 [[알렉시오스 1세(트라페준타 제국)|알렉시오스 1세]]를 이용해 점령하였고, 해군 기지로 활용하였다. ==== 페르바네 왕조 ==== [[파일:터키 시노프 5.jpg|width=800]] 13세기 중반 셀주크 양식으로 세워진 페르바네 마드라사 1220년대 중반 시노페에서 출항한 튀르크 해군은 크림 반도의 [[수다크]]를 점령하였다. 1254년 [[마누일 1세(트라페준타 제국)|마누일 1세]]가 수복했으나 1265년 룸 셀주크의 실권자 무인에딘 쉴레이만 (페르바네)가 재점령하였고, 튀르크식 지명인 시노프로 불리게 되었다. 1277년 페르바네가 [[아바카 칸]]에게 처형된 후에는 그의 자손들이 시노프를 중심으로 자립하여 페르바네 왕조가 세워졌다. [[일 칸국]]에 복속한 채로 [[제노바 공화국]] 및 트레비존드 제국과 대립하던 페르바네 왕조는 1322년 페르바네의 손자 가지 첼레비가 사망하고, 그의 외동딸이 계승하자 카스타모누에 기반한 [[잔다르 왕조]]의 쉴레이만 베이가 시노페를 점령하며 멸망하였다. 잔다르 왕조는 1383년 카스타모누의 쉴레이만과 시노페의 바예지트 형제 간에 양분되었다. ==== 잔다르 왕조 ==== [[파일:이스펜디야르 터키.jpg|width=800]] 알라에딘 모스크 내부의 이스펜디야르 영묘 1391년 [[오스만 제국]]의 술탄 [[바예지트 1세]]가 카스타모누를 병합하자 잔다르 왕조는 시노프 일대만이 남았고, 그 지배자인 이스펜디야르 베이의 이름을 따서 이스펜디야르 왕조라 일컫기도 한다. 1402년 [[앙카라 전투]] 후 이스펜디야르 베이는 티무르에 복속하여 카스타모누와 찬크르 등 가문의 옛 영토를 돌려받았으나 여전히 수도는 시노프로 유지되었다. 다만 세력을 회복한 오스만 제국에게 1416년 찬크르, 1419년 삼순을 상실한 끝에 1423년 이스펜디야르 베이는 전쟁을 벌였으나 패배하였다. 약화된 잔다르 조는 1461년 트라브존 원정에 나선 [[메흐메트 2세]]에게 저항 없이 시노프를 내주며 멸망하였다. 그후 오스만 제국령이 된 도시는 1614년 [[코사크]] 해적에 의해 약탈과 방화를 당한 것 외에는 5세기 가량 평화와 안정을 누렸다. === 시노프 해전 === [[파일:터키 시노프 해전1.jpg|width=800]] 시노프 해전 묘사도 [[1853년]] [[크림 전쟁]]때는 이 곳 앞바다에서 시노프 해전이 벌어졌다. 시노프 해전은 해전사에서 나름대로 유명한 전투인데, 1853년 11월 이 전투에서 러시아 해군이 '폭발하는 포탄'인 작열탄을 처음 사용했기 때문. 쭉 애용되던 철로 만든 단순한 땡포탄의 발사 원리는, 적절한 양의 화약을 포탄과 함께 밀어넣고 난 뒤, 그 포탄을 발사하여 순수 운동에너지로만 적을 피격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이다. 함선 내 화약을 보관하는 장소를 운 좋게 피격하지 않는 이상 함선 자체가 침몰되기는 몹시 어려웠다. 하지만 이 신기술을 등에 업고 러시아 제국 함대는 오스만 제국 함대 11대 중 10대를 그야말로 대파하여 침몰시켰으며 이 해전을 계기로 포탄의 개념이 완전히 뒤바뀌고 범선의 시대는 막을 내리고 철갑을 두른 전함이 주류가 된다. === 근현대 === [[파일:터키 시노페.jpg|width=800]] 오스만 제국 말기 시노프 우표 [[파일:시노프 터키 4.jpg|width=800]] 13세기 초에 카이카우스 1세가 세운 내성 안에 1882년 세워진 감옥 20세기 초엽 시노프의 인구는 8천이었고, 그리스계 기독교도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보스포루스와 [[바투미]] 사이의 가장 안전한 항구라 불리던 시노프 항에서는 밀, 담배, 종자, 목재, 가죽 등을 수출하였고 석탄과 가공 제품을 수입하였다. 1920년대에는 이 곳에 거주하던 그리스인들이 [[그리스-터키 인구 교환|인구교환을 통해]] [[그리스]]로 이주되었다. 이들은 서부 그리스에 네오 시노피(Νέα Σινώπη)라는 마을을 세웠다. 1919년 5월, [[터키 독립 전쟁]]을 이끌기 위해 삼순에서 [[앙카라]]로 향하던 [[무스타파 케말]]이 정박하여 시가지의 아름다움을 칭찬하기도 하였다. [[냉전]] 시절에는 [[미군]] 기지가 있기도 했었다. == 갤러리 == [[파일:터키 시노프 4.jpg|width=900]] ||[[파일:시노프 터키 6.jpg|width=360]]||[[파일:시노프 터키 9.jpg|width=510]]|| |||| 알라에딘 모스크. 1220년경에 세워졌고, 1254년 트레비존드 제국이 파괴했으나 1267년 룸 셀주크의 권신 페르바네가 재건하였다 |||| [[파일:터키 시노프 8.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9.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11.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10.jpg|width=900]] 시노프 박물관 [[파일:시노프 터키 1.jpg|width=900]] [[파일:시노프 터키.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1.jpg|width=900]] 비잔틴 시기 성벽 [[파일:터키 시노프 3.jpg|width=900]] [[파일:시노프 터키 3.jpg|width=900]] 셀주크 시기 옛 유적을 재활용해 건설한 내성 [[파일:시노프 터키 7.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6.jpg|width=900]] [[파일:터키 시노프 7.jpg|width=900]] [[파일:시노프 터키 8.jpg|width=900]] 페르바네 마드라사 [[파일:터키 이스펜디야르.jpg|width=900]] 이스펜디야르 영묘 [[파일:시노프 터키 10.jpg|width=900]] 성탑을 활용한 시계탑 [각주] [[분류:튀르키예의 행정구역]][[분류:튀르키예의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