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시간]] [include(틀:다른 뜻1, from=시각표, other1=시각표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철도 시간표 전문 잡지, rd1=관광교통시각표)] [목차] == 개요 == {{{+1 時間表 / Time Table }}} [[시간]]에 따른 일정을 표시하는 [[표]]. == 각종 사례 == === [[대중교통]]에서 === [[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코레일 열차/지하철 시간표]] [[https://etk.srail.co.kr/cms/archive.do?pageId=TK0402050000|SRT 시간표]] 보통 [[버스]], [[기차]], [[선박]], [[비행기]], [[지하철]] 등의 출발 시간과 소요 시간, [[배차]] 등을 적어놓은 표이다. 운행표라고 하기도 한다. 국내 시내·농어촌버스에 관한 시간표는 [[시내·농어촌버스/시간표]] 문서로. 철도의 시간표는 [[열차 운행 도표|다이어]] 문서로. === 학교에서 === ==== [[초등학교]] ==== 보통 [[초등학교]] 저학년[* 1, 2학년]은 4~5교시까지만 수업하고 마치며 중~고학년[* 3, 4, 5, 6학년]이 되면 5~6교시까지 수업하고 마친다. 과거 2부제 수업도 저학년을 대상으로 한 것은 이 때문이다. ==== [[중학교]] ==== [[주 5일 근무 제도]]가 도입되면서 6~7교시까지 하는 게 보통이다. 전 학년의 수업시간이 45분으로 같다. 가끔 단축수업으로 4~5교시만 하고 마치거나 8교시까지 하는 경우도 있는데, 8교시는 방과후 수업이라 사실상 없다. 학교 정규 수업시간은 대부분 7교시까지밖에 없다. 중간 및 기말고사 시간표는 따로 나온다. 시험 시간이 아니면 자습 시간이다. 이는 고등학교도 마찬가지. ==== [[고등학교]] ==== [[파일:external/images.hkn24.com/82614_72461_3713.gif]][* 해당 이미지는 2000년대 기준이다.] 일반적으로 정규수업 기준으로는 7교시까지 있다. 다만, 대다수의 [[일반계 고등학교]]에서는 [[보충수업]] 등의 이유로 8교시 혹은 9교시까지 수업하고 저녁에는 [[야간자율학습]]을 실시한다.[* 단, 과거에는 말만 자율학습이고 사실상 강제(일명 '타율학습')에 가까웠으나 2020년대 현재는 [[독서실]]처럼 공부 할 사람은 공부하고, 아니면 그냥 마치고 귀가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서울특별시]], [[경기도]]의 경우 이전부터 이미 보충수업과 야간자율학습을 자율화 시키는 학교가 많았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가 심해지면서 지방에서도 더욱 더 자율화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으며 학교에 따라서는 야자를 아예 폐지시키기도 했다. 단, [[특성화고등학교]]는 야자 자율화가 확대되기 이전부터 야자 없이 보충수업만 이루어지는 형태였다.(물론 야자까지 시행했던 특성화고도 몇몇 있었음)] 고등학교의 시간표는 초등학교와 중학교에 비해 상당히 복잡하며, 교과목 이름 또한 [[생활과 윤리]], [[확률과 통계]], [[언어와 매체]], [[생명과학Ⅰ]] 등과 같이 초등학교나 중학교 시절에 비해 글자 수가 길다.[* A와 B 형태 교과명으로는 언어와 매체, 화법과 작문, 확률과 통계, 생활과 윤리, 윤리와 사상, 정치와 법, 생활과 과학 등이 있다.] 그래서 한 글자로 줄이는 경우가 거의 없고 보통 2글자로 줄여 부른다.[* 고1 - 국어, 수학, 영어, [[통합사회|통사(또는 사회]]), [[통합과학|통과(또는 과학)]], 한국(또는 국사), 정보, 진로(또는 진직), [[과학탐구실험|과탐실]][br]고2,3 공통 - 문학, [[언어와 매체|언매]], 독서, [[화법과 작문|화작]], 수1, 수2, 영1, 영2, 영독(또는 영독작), 영회[br]고2,3 국영수 선택 - 심국, 고전, 심영--(?)--, [[2015 개정 교육과정/영어과/고등학교/영어권 문화 |영문]], 미적, [[확률과 통계|확통]], 기하, 심수, [[경제 수학(과목)|경수]], [[고급 수학|고수]][br]사탐 - [[윤리와 사상|윤사]], [[생활과 윤리|생윤]], [[한국지리|한지]], [[세계지리|세지]], 세계사, 동아사, 경제, [[사회문화|사문]], [[정치와 법|정법]], [[사회문제 탐구|사문탐]][br]과탐 - [[물리|물1, 물2]], [[화학|화1, 화2]], [[생명과학|생1, 생2]], [[지구과학|지1, 지2]], [[융합과학|융과]], 과학사, [[생활과 과학|생과]]. 문학처럼 두 글자인 과목은 그대로 불린다.] 또한, '''한 과목을 여러 과목으로 나누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예를 들면 영어 독해와 작문을 A([[수능특강]] 수업)/B([[교과서]] 수업)/C(영어 듣기 수업) 등으로 나누는 것과 같은 경우. D까지 나누는 경우는 통합사회나 통합과학 등 통합교과에서 자주 발생한다.] 책은 같은 것을 쓰는데 교사는 2~4명이나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는 것. [[고교학점제]]의 영향으로 대학처럼 공강이 발생하는 경우가 꽤 있지만, 이런 경우에도 학생들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 '공강'이라고 표시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등학교의 공강은 그저 담당교사 없는 자습시간일 뿐이다. ==== [[대학교]] ==== [[파일:external/image.gongsin.com/ED948CEB9E9CC.jpg]] [[대학교]]의 시간표. 기본적으로 대학교는 수강할 과목을 자신이 직접 [[수강신청]]을 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시간표가 학교별, 학과별, 학년별로 천차만별이다. 일반적으로는 18~21학점 정도로 6~9과목 정도를 수강한다. 위의 이미지는 [[약대]]생이라 일반적인 학과보다는 수업이 많이 들어 가 있는 편이며 대부분의 일반 학과는 이거보다 조금 더 적다. 일반적으로 9시에 1교시를 시작하며 17시 50분에 끝나는 9교시까지의 범위 내에서 시간표를 구성하게 된다. 대개 2학점으로 구성되는 [[교양과목]]의 경우에는 50분씩 주 1회에 걸쳐 2시간 연속으로 수업을 하며[* 간혹 2회에 걸쳐 50분, 50분으로 쪼개 하는 경우도 있지만 별로 없는 편이다.] 대개 3학점으로 구성되는 [[전공과목]]의 경우에는 주 2일에 걸쳐 수업하거나[* 이 경우 보통 75분/75분으로 쪼개거나 100분/50분으로 쪼갠다. 3일에 걸쳐 50분/50분/50분으로 쪼갤 수도 있기는 하나 거의 없는 편이다.] 주 1일에 걸쳐 3시간 연속으로 수업을 한다. 일반적인 이론 과목의 경우 이와 같이 진행되며 실험 및 실습 과목의 경우 2~4시간을 한 주에 몰아서 격주로 수업을 진행하거나, 홀수 주차에 몰아서 실험을 하고 짝수 주차에는 이론수업을 하는 등 교수의 성향에 따라 천차만별이다. [[파일:U of M Winter 2020 Time table.png|width=700]] 캐나다에 위치한 주립대의 시간표. 4과목 16학점이다. 캐나다도 한국대학과 마찬가지로 학생들이 직접 [[수강신청]]을 하기 때문에 (약대 제외) 보통 학생들의 시간표가 다르다. 일반적으로 9~16학점 (3~5과목)을 듣지만 한국에서 대학을 다니다가 캐나다로 온 학생에 의하면 과목을 적게 듣지만 적게듣는것이 아닌 것 같다고 한다. --적게 듣는다고 무시하지 말자.-- 대부분의 학생들이 학기중에 일을 하기 때문에 수업을 적게 들어서 졸업이 늦어져도 아무도 신경쓰지 않는 편. === 그 외 조직에서 === [[기관]]이나 [[기업]] 등에서도 훈련이나 일과를 시간표로 정리하기도 한다. 또한 [[비서]]들의 경우엔 스케줄이란 식으로 시간대에 따라 할 일을 적을 일이 많다. [[대학생]]들도 스케줄러를 갖고 다니며 시간표를 관리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