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웹툰 스펙트럼 분석기, rd1=스펙트럼 분석기(웹툰), other2=다른 종류의 스펙트럼 분석기, rd2=스펙트럼)][* 빛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기기를 찾는 것이라면 '''스펙트로미터'''(혹은 분광계, 분광기)로 찾아야 된다.] [목차] == 개요 == || [[파일:NS-30A_Spectrum_analyzer.jpg]] || || [[LIG넥스원]]제 스펙트럼 분석기.[* 전신인 넥스원 퓨처 시절에 제작된 물건이라 넥스원 퓨처라고 되어있는데 LIG넥스원 에서도 자사제품으로 인정하고 있어서 실제로 넥스원에 전화해서 해당 제품에 대해 문의할 경우 친절하게 답해준다.] 군용뿐만 아니라 민간에도 판매된 장비다. || 주파수 대역에서의 신호전력의 세기를 시각화하는 장비로 통신관련 분야에서는 빼놓을 수 없는 측정기기중 하나이다. 기본적으로 [[푸리에 해석]]에 바탕을 두는 장비로 주파수 대역에서 신호가 가진 주파수의 전력 크기를 보여주는 장비다. 주파수의 정보를 보여준다는 특징 때문에 표현 단위가 약간 다르다.[* 오실로 스코프에서 X축을 보고 타임 도메인 이라고 부르는것처럼 스펙트럼 분석기로 나오는 신호는 프리퀸시 도메인 이라고 부른다.] 쉽게 말하면 [[오실로스코프]]로는 확인할 수 없는 신호특성을 보여주는 기계 [* 다만 최근에는 [[FFT]] 기능을 탑재한 오실로스코프도 나오고 있다.]. == 설명 == 신호분석의 알파이자 오메가인 기기로 현대의 무선통신의 변조의 해석에 대해서 거의 필수불가결적인 기계이다. 변조된 신호의 변조 방식이나 주파수 대역폭에 대한 분석에는 꼭 필요하며 또한 주파수의 전력 특성에 대한 부분을 아주 잘 보여주기 때문에 방사 효율이나 전자장비의 누설주파수를 찾는데 쓰이거나 전파감시 등에 쓰인다. [[도청탐색기]]로도 쓰인다.[* 전파감시에 쓰인다는 점을 이용해 가끔씩 무선통신형 도청장비를 찾아내는데 쓰이곤 한다.] 또한 전파천문학에서 전파 관측 데이터를 분광하여 분광선의 강도나 시선속도를 측정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신호 분석에 있어서 넓은 범위에 대한 [[푸리에 변환]]을 해줘야 되기 때문에 엄청난 연산성능이 필요하며 이 때문에 [[오실로스코프]]보다 훨씬 비싸다. 특히 대학~기업에서 사용하는 수 GHz를 지원하는 모델은 중형차 한 대 값이고, 연구소용으로만 공급되는 수십 GHz모델은 억대다. 취미 정도라면 10만원 내외로 구할 수 있으나[* 1GHz 이하에서 오픈소스 제품으로 유명한 [[https://tinysa.org/wiki/|TinySA]]등이 6만원 대에서 구매가 가능하며 스탠드얼론형이 아닌 PC연결 형이라면 그냥 2만원짜리 RTL-SDR정도만 해도 쓸만한 성능을 보여준다.] 성능부족으로 무선통신이 취미일 경우에나 간단하게 쓸 수 있을 것이다.[* 만약 고급 무전기를 구매했다면 무전기 자체에 통신 범위 내에 대해서 통신 주파수를 보여주는 스펙트럼 분석능력을 가진 경우가 있긴 하다.] 전문 스펙트럼 분석기 수준의 실시간 스펙트럼 확인이 필요한 수준이 아니라면 [[SDR]] 장비로 대용해서 사용할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전문적인 분석과 신호 세기 측정에는 한계가 있지만 단편적인 신호 확인에는 큰 무리가 없고 가격이 매우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 [[무선설비기사]]에서 이 분석기를 다루는 작업형 시험이 존재한다. [[오디오]] 기기나 [[미디어 플레이어]]의 다양한 시각화 기능[* 음파의 주파수에 맞추어 막대기들이 춤을 춘다던지, 원이 찌그러진다던지 등] 들이 아주 기초적인 스펙트럼 아날라이저의 형태이다. [[분류:계측 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