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세리에 B)] ---- ||<-2> [[파일:Spezia_Calcio_logo_2023.png|width=3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0%, #f0f0f0)" {{{+1 {{{#!html 스페치아 칼초}}}}}}}}}''' || ||<-2><#000> '''{{{#ae9962 {{{+1 Spezia Calcio}}}}}}''' || || '''정식 명칭''' ||Spezia Calcio || || '''[[축구단 별명|{{{#1f1a17 __별칭__}}}]]''' ||Aquilotti (작은 독수리들) || || '''약칭''' ||'''SPE''' || || '''창단''' ||[[1906년|{{{#000,#ddd 1906년}}}]] [[10월 10일|{{{#000,#ddd 10월 10일}}}]] '''^^([age(1906-10-10)]주년)^^'''[* [[https://www.acspezia.com/it/storia-spezia-calcio.12078.html|#]]] || || '''소속 리그''' ||[[세리에 B]] (Serie B) || || '''연고지''' ||[[리구리아]] 주 [[라스페치아]] (La Spezia) || || '''홈구장''' ||[[스타디오 알베르토 피코]] (Stadio Alberto Picco) [br] (10,336명 수용) || || '''구단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가브리엘레 볼피 (Gabriele Volpi) || || '''회장'''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스테파노 키솔리 (Stefano Chisoli) || || '''감독''' ||[[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28]] [[루카 단젤로]] (Luca D'Angelo) || || '''주장''' ||[[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28]] [[디미트리오스 니콜라우]] (Dimitrios Nikolaou) || || '''공식 웹사이트''' ||[[https://www.acspezia.com|[[파일:Spezia_Calcio_logo_2023.png|height=25]]]]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peziaCalcio, 크기=25)] [[https://www.facebook.com/SpeziaCalcio|[[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5]]]] [[https://www.instagram.com/acspezia/|[[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https://www.youtube.com/@speziacalcio|[[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5]]]] [[https://open.spotify.com/user/v93mk0jb09m5ieb8fwa34jlsw|[[파일:스포티파이 아이콘.svg|width=25]]]] [[https://www.linkedin.com/company/spezia-calcio-s.r.l.---societa-sportiva-professionistica|[[파일:LinkedIn 아이콘.svg|width=25]]]] [[https://vimeo.com/speziacalcio|[[파일:Vimeo 아이콘.svg|width=25]]]] || ||<-2><#99834a> '''{{{#1f1a17 우승 기록}}}''' || || [[세리에 A|{{{#1f1a17 __'''세리에 A'''__}}}]][br](0회) ||1944[* 이 대회는 세리에 A가 아니고 Campionato Alta Italia를 우승한 것이다.(즉, '''스쿠데토'''가 아니고 명예 타이틀 이라고 보면 된다.) 제2차 세계대전 기간에 한 대회여서 이렇게 된 것이다.] || || __'''세리에 C'''__[br](3회) ||1928-29, 1935-36, 1939-40 || || __'''세리에 C1'''__[br](1회) ||2005-06 || || __'''세리에 C2'''__[br](1회) ||1999-00 || || __'''세리에 D'''__[br](1회) ||1957-58[* 정확히는 IV Serie 우승], 1965-66 || || __'''코파 이탈리아 세리에 C'''__[br](2회) ||2004-05, 2011-12 || ||<-2><#99834a> '''{{{#1f1a17 클럽 기록}}}''' || || '''최고 이적료 영입''' ||[[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28]] [[재니스 앙티스트]] (Janis Antiste) [br] (2021년, From [[툴루즈 FC]], 460만 €) || || '''최고 이적료 방출'''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28]] [[야쿠프 키비오르]] (Jakub Kiwior) [br] (2023년, To [[아스날 FC]], 2,000만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이탈리아]] [[리구리아]] 주 [[라스페치아]]를 연고로 하는 프로 축구 구단으로, 현재 [[세리에 B]]에 참가하고 있다. == 역사 == [[1906년]] [[10월 10일]]에 팀이 창단되었으며 [[제 2차 세계대전]] 말기인 [[1944]]년에 당시에 이탈리아 챔피언십을 우승하였으나[* 여기서 착각하면 안되는게, 이때 당시는 제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세리에 A가 중지됐었다. 이 대회는 세리에 A가 아니라, 1944 Campionato Alta Italia라고 불렸다. 이 우승은 '''스쿠데토'''가 아니라 '''명예 타이틀'''(titolo onorifico)로 칭한다.] 1950-51 시즌 세리에 C로 강등당하며 팀이 어려워지게 된다. 이후 오랜 침체기를 거쳐 2005-06 시즌에 [[세리에 B]]로 다시 승격하였지만 [[2008년]] 경영 파탄의 문제로 재설립하여 세리에 D에서부터 다시 출발하였고 2011-12 시즌에 다시 세리에 B로 승격하였다. 이후 세리에 B에서 중상위권의 순위를 유지하고 있다가 2014-17, 그리고 19년까지 모두 5회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지만 모두 승격에는 실패했다. 2019-20 시즌 세리에 B에서는 3위를 기록하며 승격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였다. 승격 플레이오프 4강에서 [[키에보 베로나]][*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상위 팀이 올라가는 규정으로 진출.]를 꺾고 플레이오프 결승전에 진출하였다. 결승전 상대는 포르데노네를 꺾고 올라온 [[알레산드로 네스타]] 감독의 [[프로시노네 칼초]]. 1,2차전 합계스코어 1:1로 무승부를 기록했지만 무승부일 경우 리그 순위 상위팀이 승격한다는 규정에 따라 프로시노네를 제치고 '''창단 114년만에 [[세리에 A]]로 승격'''했다.[* 이로써 세리에 A에 참가하는 68번째 팀이 되었다.] 이후 세리에 A 2라운드에서 [[우디네세 칼초|우디네세]]를 2:0으로 이기고 '''창단 114년만에 세리에 A 첫 승을 거뒀다.''' 승격 첫 시즌인 2020-21 시즌을 15위로 마감하며 승격팀들 중에서 유일하게 잔류에 성공했다. 워낙 재정적으로 풍족하지 않은 팀이라 시즌 시작 전 스쿼드 보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고[* 선수단 몸값이 리그에서 꼴찌 수준이었다.], 다행히 강등은 면했지만 모두의 예상대로 특별히 좋은 성적을 거두진 못했다. 그러나 좋지 않은 성적과는 별개로 52득점 72실점으로 '많이 넣고 많이 먹는' 화끈한 팀 컬러와 공격적인 축구로 강팀들을 당황케하는 면모를 보여줬으며, 팀 내 최다득점을 기록한 음발라 은졸라를 비롯해 차후 팀의 핵심이 될 수 있는 몇몇 선수들을 발굴해내는 소득을 올렸다. 우선 중앙공격수인 은졸라는 19-20 시즌 팀이 세리에 B에 있을 때 영입되어 2부 리그에서는 아주 두드러지는 활약을 보여주지 않았지만, 1부 리그에서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내며 11골 3도움을 기록하면서 팀 공격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했다. 승격 공신 중 한 명인 레프트윙 엠마누엘 기야시는 4골 6도움을 기록하며 더 큰 무대에서도 제 역할을 해냈다. [[AEK 아테네 FC]]에서 임대로 영입된 라이트윙 [[다니엘레 베르데]]도 아주 많은 경기를 뛰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6골 1도움을 기록하며 힘을 보탰고[* 시즌 종료 후 의무영입조항에 따라 완전영입되었다.], 스페치아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는 레프트백 시모네 바스토니는 1골 6도움을 기록하며 수비력은 차치하고 공격적으로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무엇보다도 스페치아의 감독이었던 [[빈첸초 이탈리아노]]는 팀의 첫 승격을 이끌었을 뿐만 아니라, 1부 리그에 올라와서도 승격팀들 대부분이 으레 구사하는 수비적이고 내려앉는 축구를 하는 것이 아닌, 높은 점유율과 중원에서의 빠른 공격 전개로 화끈하고 공격적인 축구를 보여주면서 좋은 평을 받았다. 리그에서 18등으로 매우 낮았던 선수단 가치를 감안하면 15위로 마감한 것도 '돌풍'까지는 아니더라도 예상보다는 훨씬 좋은 성적을 거두었다고 볼 수 있다. 다음 21-22 시즌 스페치아의 최우선 목표는 [[은졸라]]를 필두로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던 공격진과 그 외 몇몇 선수들(마테오 리치, 줄리오 마조레 등)을 지키고, 삐그덕댔던 수비진을 탄탄히 보강하면서 실점을 줄이는 것이 될 것이다. 빈첸초 이탈리아노 전임 감독이 [[ACF 피오렌티나]]로 둥지를 옮기면서 신임 감독으로 [[제노아 CFC]]에서 경질된 [[티아고 모타]]가 임명됐다. 전 시즌에 제노아에서 워낙 좋지 않은 성적을 거둔데다 아직 감독 경력이 길지 않은 모타가 온다는 소식에 이번 시즌 순위가 더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었고, 실제로 12월 말까지(나폴리전 전까지) 리그 3승 4무 12패에다 여러 번 큰 점수차로 지면서[* 라치오전 6:1패, 베로나전 4:0패, 피오렌티나전 3:0패, 아탈란타전 5:2패] 굉장히 흔들리는 모습을 보여줬지만 나폴리전 승리를 기점으로 제노아-밀란-삼프도리아전 3연승을 기록하며 반등에 성공했다. 모타 감독도 세리에 A 이 달의 감독상을 받으며 좋은 흐름이 시작되나 싶었으나 2월에 접어들어 좀처럼 승리를 거두지 못하며 좋았던 기세가 한풀 꺾인듯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후 강등권에서 6점 차이로 잔류에 성공했다. 22-23 시즌, 감독을 [[루카 고티]]로 바꿨다. 하지만, 37라운드까지 17위. 18위 엘라스 베로나와 같은 승점이지만 승자승으로 앞서 겨우 잔류 상태. 그리고 38라운드, AS 로마 원정에서 미치도록 경기를 벌여 7명이나 경고를 받고 1명이 퇴장당하는등 1-2로 역전패당해 강등당하나 했지만.....엘라스 베로나도 AC밀란에게 져서 극적으로 강등 플레이오프를 치루게 되었다. 결국 강등 플레이오프에서 3-1로 패배하면서 강등되었다. === 요약 === * 1부/[[세리에 A]]: 2020-2023 (3시즌) == 선수 명단 == [include(틀:스페치아 칼초)] [[분류:스페치아 칼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