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판 명칭 ||'''스파이더'''|| || 일본판 명칭 ||'''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Spider'''|| [목차] == 개요 == [[유희왕]]에 등장하는 카드 시리즈 == 설명 == 거미는 곤충이 아님은 널리 알려진 사실이지만 유희왕의 곤충족은 벌레라 불리는 동물 전반을 포함하기에 곤충족으로 이루어져 있다. [[유희왕 5D's]]에서는 [[루드거]]의 덱으로 등장하며, [[유희왕 ZEXAL]] 코믹스의 [[야구모 쿄우지]]도 사용했다. "스파이더"라는 단어가 일반 명사라 북미판과의 번역 충돌을 우려한 것인지 "스파이더"를 지정하는 카드는 존재하지 않고, 대신 곤충족 전반을 지원하는 효과가 많다. 거미(蜘蛛)'라는 이름이 붙은 몬스터 또한 북미판에서는 'Spider'로 번역된다. 다만 [[지뢰거미]]는 예외 [[루드거]]가 사용한 스파이더 카드들은 [[거미]] 형태의 [[지박신]]인 [[지박신#지박신 Uru|지박신 Uru]]를 사용하는 루드거답게 사용하는 것도 거미들이다. 일반적인 거미보다는 [[헬멧]]을 착용하고 있는 등 SF적인 디자인을 가지고 있으며, 거미집에 적을 묶듯이 상대방을 수비 표시로 돌리는 것이 기본 전술이다. 제거나 전개 효과 등 이런저런 효과를 탑재하고는 있지만 "앞면 수비 표시"만을 대상으로 하는 효과가 대다수인 점이 약점. 묘지에 곤충족만 존재할 것을 요구하거나 대량의 곤충족을 요구하는 등 어설픈 효과에 비해 조건은 열악해서 곤충족 범용 카드로도 사용하기 어렵다. 루드거가 다크 시그너 리더라는 타이틀에 비해 제대로 된 공방이 이어지는 듀얼을 한 적이 없어서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몬스터는 다크 스파이더와 그랜드 스파이더 뿐이었다. [[미스티 로라]]의 [[레프티레스]]처럼 OCG화에 더불어 다양한 오리지널 카드를 추가해주었지만 상기한 컨셉상의 결함에 더불어 카드들의 효과 자체가 그리 강력하지 않아 등장 당시 기준으로도 덱으로서 운용하기는 어려운 성능이다. 시간이 지나며 [[다크 시그너]]들의 카드들이 다양한 추가 지원을 받는 와중에도 [[리액터(유희왕)|리액터]]와 함께 마땅한 지원을 받지 못한 불우한 테마기도 하다. 표시 형식 변경 및 수비 표시 몬스터 견제 컨셉은 이후 같은 곤충족 테마인 [[디지털 버그]]가 이어받았다. == 일반 몬스터 == === 레벨 5 === ==== [[일반 몬스터/개별 문서가 없는 카드/레벨 5|사냥 거미]] ==== 일본판 이름이 '헌터 스파이더(ハンター・スパイダー)'. 북미판도 마찬가지로 Hunter Spider다. === 레벨 7 === ==== [[TM-1 런처 스파이더]] ==== == 효과 몬스터 == === 레벨 1 === ==== [[블록 스파이더]] ==== ==== 다크 스파이더 ==== [[파일:external/img2.wikia.nocookie.net/328px-DarkSpider-SOVR-KR-C-1E.jpg]] || 한글판 명칭 ||<-4>'''다크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ダーク・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Dark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1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곤충족]] || 0 || 0 || ||<-5>1턴에 1번,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곤충족 몬스터 1장의 레벨을 {{{#red 턴 종료시}}}까지 2개 올릴 수 있다.|| ||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8450|(2014.07.10)]]''' ||<-4><(>'''誤 : [텍스트]''' {{{#red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싱크로 소환]]이나 [[엑시즈 소환]]에 사용하라고 있는 효과. 자신도 대상이 되므로 기본적으로는 레벨 3 몬스터처럼 취급하다가 기회를 봐서 다른 곤충의 레벨을 올리는 식으로 사용하면 될 듯하다. 물론 엑시즈를 위해 그럴 경우 공수 0의 완벽한 샌드백인 이 카드가 필드 위에 남는다는 점에는 유의. 이 카드가 나올 당시만 해도 '''정작 곤충족에는 튜너가 없었다.''' 그냥 이 카드를 튜너로 내주지... 덕분에 이 카드를 제대로 써먹으려면 다른 종족 안 맞는 튜너를 채용해 스스로 덱의 밸런스를 무너뜨려야 했지만 이후 [[나츄르|나츄르 버터플라이]] 등 곤충족 튜너가 등장하면서 이 문제는 겨우 해결되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1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1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1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2 === ==== 새크리파이스 스파이더 ==== [[파일:サクリファイス・スパイダー.jpg]] || 한글판 명칭 ||<-4>'''새크리파이스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サクリファイス・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Relinquished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2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곤충족]] || 300 || 500 || ||<-5>자신의 묘지에 곤충족 몬스터가 4장 이상 존재할 경우, 이 카드를 릴리스하고 발동한다. 상대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를 전부 파괴한다.|| 일종의 폭탄. 최대 1:6의 교환비를 노려볼 수 있다. 조건은 그만큼 빡빡하며, [[아누비스의 저주]], [[중력 해제]] 등의 전체 컨트롤 변경카드와의 콤보가 전제가 된다. 상대의 수비 몬스터는 후술할 스파이더 스파이더나 마더 스파이더의 제물로 삼는 것이 덱 전체에는 더 도움이 된다. 조커로 1장 정도 투입할만한 성능. 여담으로 얼굴이 묘하게 [[A·O·J 카타스톨]]을 닮았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17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17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17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레벨 3 === ==== [[베이비 스파이더]] ==== === 레벨 4 === ==== [[TM-1 런처 스파이더#BM-4 폭탄 스파이더|BM-4 폭탄 스파이더]] ==== ==== 그라운드 스파이더 ==== [[파일:グランド・スパイダー.jpg]] || 한글판 명칭 ||<-4>'''그라운드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グランド・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Ground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곤충족]] || 0 || 1500 || ||<-5>이 카드가 자신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할 경우에 상대가 몬스터의 일반 소환/특수 소환에 성공했을 때, 그 몬스터를 수비 표시로 할 수 있다. 이 효과는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유발성 [[스텀블링]]을 내장한 카드. 스텀블링과는 달리 자기 몬스터까지 수비 표시로 만들 필요는 없지만, 임의효과이기 때문에 대미지 스텝의 대응이 불가능하고, 체인 2 이상의 특수소환에도 대응하지 못한다. 하지만 임의라는 것은 확실히 좋다. 덕분에 어그로를 잘끌고, 간접적으로는 다른 카드를 지키게 되는 카드다. [[제왕(유희왕)|엠페러 오더]]로 자신의 몬스터에게 발동한 효과를 무효로 하여 드로우 부스트로 사용할 수도 있다. 곤충족은 [[대수해]]가 있기에 잃어도 디스어드밴티지로 잘 이어지지는 않는다. 이 카드가 수비 표시로 있어야 효과가 발동되기 때문에 일반소환보다는 특수소환을 노리는 것이 옳다. [[공명충]], [[거대 쥐|거대쥐]]같은 리쿠르트 몬스터나 [[부화(유희왕)|부화]], [[대타 메뚜기]] 등의 수단이 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16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16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16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스파이더 스파이더 ==== [[파일:スパイダー・スパイダー.jpg]] || 한글판 명칭 ||<-4>'''스파이더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スパイダー・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Spyder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곤충족]] || 1500 || 1000 || ||<-5>이 카드가 전투에 의해서 상대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를 파괴했을 경우, 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레벨 4 이하의 곤충족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를 사용할 조건만 만들어주면 편하게 몬스터를 레벨 외의 아무런 제약 없이 불려준다. 공격력은 리크루터 수준이라 썩 믿음직스럽지는 못하지만 노리는 대상은 수비 표시 몬스터일테니 생각보다 큰 문제는 되지 않는다. 게다가 마더 스파이더 때문에 [[일족의 결속]]을 넣기 쉬워 실타점은 생각보다 높은 편이다. 스파이더 카드군인 만큼 콤보에 의존해야하는데, 표시형식 변경카드는 [[달의 서]], [[에너미 컨트롤러]]가 아무래도 가장 자주쓰일 것이다. 함정에서는 [[진입금지|진입금지! No Entry!]]혹은 [[쇠사슬 부메랑]]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엑시즈 소환의 등장과 더불어 다른 연계가 편해져 약간 올라갔다. [[트리온의 충혹마]]와의 연계는 흉악해서 대미지 스텝에 마함을 제거하고 엑시즈로 연결할 수 있다. 범용성만 따지면 스파이더 카드군 중에 제일 높다. 이름은 "[[스파이]]다, 스파이야!"라는 문장의 발음을 이용한 말장난. 북미판에서는 '''Spy'''der Spider로, [[스파이]]라는 단어가 더 잘 드러나게 번역해 두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18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1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18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인포머 스파이더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923_1.jpg]] || 한글판 명칭 ||<-4>'''인포머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インフォーマー・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Informer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4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땅|땅]] || [[곤충족]] || 500 || 1800 || ||<-5>필드 위에 존재하는 이 카드가 카드의 효과에 의해서 묘지로 보내졌을 때, 상대 필드 위에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의 컨트롤을 얻는다.|| 컨트롤을 얻는 것은 좋지만 효과에 의해 제거돼야 한다는 점에서 많이 넣긴 좀 껄끄러운 면이 있다. 그만큼 제거에 대한 대응폭은 매우 넓어 [[다크엔드 드래곤]]의 묘지로 보낸다에도 효과가 발동한다. 다만 [[격류장]]같은 전체제거와는 궁합이 안맞는게 단점. [[바이러스 메일]]과 궁합이 좋은편이지만 배틀페이즈를 치러야 하는 점에서 속공성이 떨어진다. [[육신보살]]은 범용성이 너무 떨어지고, [[무정한 말살]] 또한 쉽게 쓸수 있는 카드는 아니다. 제일 쉬운건 리미트 리버스로 소생시켜 자괴하는 것 정도로 상대의 마함 제거에 맞춰 써주면 좋다. 스파이더 카드군 답지않게 뒷면표시 몬스터에도 손을 댈수 있는 것은 상당한 장점. [[스텀블링]], [[레벨 제한 B구역]] 등 궁합이 잘맞는 카드는 꽤 있기에 락 비트 타입의 덱에서 사용할 법 하다. 융합으로 필드에서 효과로 묘지로 보낼 수 있는 [[섀도르]]에서 고려해볼 수 있다. 컨트롤을 얻을 수비 표시는 보통 미러매치에서 상대가 세트한 섀도르.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절대적인 힘]] || ABPF-KR024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 ABPF-JP024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절대적인 힘|Absolute Powerforce]] || ABPF-EN024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레벨 5 === ==== [[분열하는 마더 스파이더]] ==== === 레벨 6 === ==== 마더 스파이더 ==== [[파일:マザー・スパイダー.jpg]] || 한글판 명칭 ||<-4>'''마더 스파이더'''|| || 일어판 명칭 ||<-4>'''マザー・スパイダー'''|| || 영어판 명칭 ||<-4>'''Mother Spider'''|| ||<-5> 효과 몬스터 || || 레벨 || 속성 || 종족 || 공격력 || 수비력 || || 6 ||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속성#어둠|어둠]] || [[곤충족]] || 2300 || 1200 || ||<-5>자신의 묘지에 존재하는 몬스터가 곤충족뿐일 경우, 이 카드는 상대 필드 위에 앞면 수비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2장을 묘지로 보내고,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스파이더의 에이스. [[용암 마신 라바 골렘]]류의 "잡아먹기"류 효과를 지니고 있다. 공격력은 상급 평균치보다 조금 낮아 100% 신뢰하긴 힘들지만 한 방 먹이기에는 충분하며, 라바 골렘과는 달리 소환에 아무런 제약이 없다. 일반 소환도 가능. 능력치가 아주 못 써먹을 수준은 아니라 급할땐 어드밴스 소환도 할수 있다. 먹을 수 있는건 앞면 수비 표시 몬스터 뿐이지만 제대로 짠 스파이더덱이라면 그런거 조달하는건 문제도 되지 않는다. 다만 묘지에 곤충족만 있어야 효과로 불러낼 수 있다는 제약 때문에 다른 종족을 채용할 수 없으며 싱크로나 엑시즈 소환에 지장이 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펙트 뵐러]] 등의 패 유발 몬스터를 포기해야하는 것도 크다. 당연히 아누비스의 저주, 스텀블링, 에너미 컨트롤러 등의 콤보 보조 카드가 필요하며, 토큰을 먹지 못하는 것도 은근히 불편하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19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19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19 ||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엑시즈 몬스터 == === 랭크 4 === ==== [[No.37 희망직룡 스파이더 샤크]] ==== == 링크 몬스터 == === 링크 1 === ==== [[링크 스파이더]] ==== == 마법 카드 == === [[룰렛 스파이더]] === === 스파이더 웹 === [[파일:スパイダー・ウェブ.jpg]] || 한글판 명칭 ||'''스파이더 웹'''|| || 일어판 명칭 ||'''スパイダー・ウェブ'''|| || 영어판 명칭 ||'''Spider Web'''|| ||<-2> 필드 마법 || ||<-2>몬스터가 공격 선언을 했을 경우, 그 몬스터는 데미지 스텝 종료시에 수비 표시가 되어, 그 몬스터의 컨트롤러에서 본 다음의 자신의 {{{#red 턴 종료시}}}까지 표시 형식을 변경할 수 없다.|| ||<:>'''에라타 (공통)[br][[https://www.db.yugioh-card.com/yugiohdb/faq_search.action?ope=4&cid=8480|(2014.07.10)]]'''||<(>'''誤 : [텍스트]''' {{{#red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br]'''正 : [텍스트]''' {{{#red 턴 종료시}}}까지|| 어쨌든 상대의 공격은 성공한다. 실질적으로 상대의 공격횟수를 반으로 줄이는 것이기 때문에 그렇게 쓸만하지는 않다. 스텀블링에 비해 쓰기 어려운 카드다. 그나마 어울리는 카드는 [[지박신|지박신 Chacu Challhua]] 정도. 원작에서는 곤충족에는 적용되지 않아 지박신 우르 등은 그대로 공격할 수 있었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45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45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45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함정 카드 == === 스파이더 에그 ===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330px-SpiderEgg-SOVR-KR-C-1E.jpg]] || 한글판 명칭 ||'''스파이더 에그'''|| || 일어판 명칭 ||'''スパイダー・エッグ'''|| || 영어판 명칭 ||'''Spider Egg'''|| ||<-2> 일반 함정 || ||<-2>상대가 직접 공격을 선언했을 때, 자신의 묘지에 곤충족 몬스터가 3장 이상 존재할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그 몬스터의 공격을 무효로 하고, 자신 필드 위에 "스파이더 토큰"(곤충족/땅 속성/레벨 1/공격력 100/수비력 100) 3장을 공격 표시로 특수 소환한다.|| 직접 공격에만 대응, 묘지의 곤충족을 요구, 소환하는 토큰은 약해빠진 주제에 공격 표시로, 게다가 배틀페이즈를 종료시키는 것도 아니다. 따라서 쓸 건덕지가 별로없다. 그나마 곤충족의 링크 소환에 쓰일 여지는 있다. 아니면 딱히 릴리스 제한 같은건 없으므로 어드밴스 소환에 써먹어도 좋다. ||<-5> '''수록 팩 일람''' ||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광속의 스타더스트]] || SOVR-KR068 || [[노멀]] || 한국 || 한국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JP068 || [[노멀]] || 일본 || 세계 최초 수록 || || [[광속의 스타더스트|Stardust Overdrive]] || SOVR-EN068 || [[노멀]] || 미국 || 미국 최초 수록 || == 관련 카드 == === [[거미의 영역]] === === [[레이어 와이어]] === == 궁합이 좋은 카드들 == === 몬스터 === * [[코아키메일|코아키메일 비틀]] : 드라고의 하위호환으로 무시받는 처지이지만 이 덱에서 만큼은 활약할 수 있다. 객관적으로 봐도 깡스탯이 높아서 어택커로 쓰기에 부족함이 없다. 자괴효과도 [[대수해]]로 어드밴티지 손실을 없게할 수 있다. * [[크로스 스워드 헌터]], [[세이버 비틀]] : 상대를 수비로 돌리고 관통대미지를 먹일 수 있다. 후자는 아무래도 좀 무거워서 쓰기 어렵지만. * [[공명충]] : 그랜드 스파이더를 안정적으로 앞면수비로 낼 수 있다. 그냥 리쿠르터로서의 성능도 뛰어나다. * [[나츄르|나츄르 버터플라이]] : 곤충족 3레벨 튜너. 스파이더 스파이더로 소환해 단숨에 7레벨 싱크로로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일족의 결속을 포기해야 하는 것이 아쉽다. * [[아머드 비]] : 공격 표시 몬스터를 남기게 되었을 때의 구원 투수. 타점이 낮은 덱이다 보니 도움이 된다. * [[인페르니티]] 비틀 : 효과는 시너지를 내기 힘들지만 일족의 결속, 마더 스파이더에게 방해되지 않고 [[대저의 아라크네]]를 쉽게 뽑을 수 있다. * [[흑빛의 G|비상의 G]] : 스파이더 스파이더의 효과발동용 샌드백이 되어주는 것은 물론, 마더 스파이더의 코스트로도 쓸 수 있다. 엑시즈 메타카드로의 가치도 있다. * [[데블도우저]] : 곤충덱의 최상급 특수소환 몬스터.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개미핥기 먹는 개미]] : 소생형 지속함정과 인포머 스파이더의 콤보로 써먹을 수 있다. 부족한 마법 함정 제거도 보충해 줄 수 있다. * [[좀비 캐리어]], [[A·제넥스 버드맨]] : 자신의 효과로 제외되기 때문에 일족의 결속을 방해하지 않는 어둠속성 튜너. [[대저의 아라크네]]의 소재가 되어준다. 다만 버드맨은 덱 덤핑 등으로 묘지로 가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 [[AD 체인저]] : 유사 에너미 컨트롤러. 제외해서 효과를 발동하기 때문에 상성이 좋다. === 마법, 함정 === * [[에너미 컨트롤러]] : 몇번이고 언급된 카드. 컨트롤 장악용으로도 가끔 쓸 수 있다. * [[빛의 봉인검]], [[정전 협정(유희왕)|정전협정]] : 뒷면표시 몬스터를 뒤집는 카드들. 그렇지만 라이코 등의 몬스터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 [[스텀블링]] : 컨트롤이 필요한 카드. 여러번 우려먹지만 자신에게도 피해가 온다. * [[어스퀘이크]], [[진입금지]], [[아누비스의 저주]], [[중력 해제]] : 다수의 몬스터의 표시형식을 변경한다. 마더 스파이더를 쓴다면 골라잡아서 투입하면 된다. * [[쇠사슬 부메랑]], [[진입금지|시큐리티 볼]] : 공격반응현 표시형식 변경. 아무래도 우선도는 떨어진다. * [[건망증]] : 보통은 [[데먼즈 체인]]이 낫지만, 스파이더와는 궁합이 좋은 편. * [[대수해]], 레이어 와이어 : 곤충 범용지원 카드. * [[일족의 결속]] : 마더 스파이더와 궁합이 좋다. * [[단두대의 참극]] : 타이밍은 잡기 까다롭지만 노려볼 만하다. * [[카드 플리퍼]] : 카드를 1장 버려야 하지만 상대 필드에만 적용되므로 나쁘지 않은 성능이다. * [[체인지 데스티니]] : 공격을 막는데다가 표시 형식 변경도 봉인하므로 나쁘지 않다. 효과에 의해 데미지를 받을 수 있지만 크게 잡아 봐도 2000 포인트이니 그렇게 디메리트가 큰 편은 아니다. [[분류:유희왕/OCG/카드군/지정되지 않는 경우]][[분류:유희왕/OCG/곤충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