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미국의 물리학자]][[분류:이론물리학자]][[분류:1933년 출생]][[분류:2021년 사망]][[분류:노벨물리학상 수상자]][[분류:뉴욕 시 출신 인물]][[분류:유대계 미국인]][[분류:코넬 대학교 출신]][[분류:코넬 대학교 출신]][[분류:프린스턴 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하버드 대학교 재직]] [include(틀:노벨물리학상 역대 국가별 수상자)] ||<-2> '''FRS[br]{{{+1 스티븐 와인버그}}}[br]Steven Weinberg'''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Physics_Nobel_Laureate_Steven_Weinberg,_December,_2014.jpg|width=100%]]}}} || ||<|2> '''출생''' ||1933년 5월 3일|| ||[[미국]] [[뉴욕주]] [[뉴욕시]]|| ||<|2> '''사망''' ||2021년 7월 23일 (향년 88세)|| ||[[미국]] [[텍사스주]] [[오스틴(텍사스)|오스틴]]|| || '''직업''' ||[[이론물리학자]]|| || '''종교''' ||[[무종교]]([[무신론]])[* 반신론적 무신론.]|| || '''링크''' ||[[https://web2.ph.utexas.edu/~weintech/weinberg.html|공식 사이트]]||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학력''' ||[[코넬 대학교]] {{{-2 ([[학사]]) (1954년)}}}[br][[프린스턴 대학교]] {{{-2 ([[물리학]] / [[Ph.D.]]) (1957년)}}} || || '''지도 교수''' ||Sam Treiman || || '''분야''' ||[[입자물리학]] || || '''수상'''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2 (1977)}}}[br]앨리엇 크리슨 메달 {{{-2 (1979)}}}[br]노벨 물리학상 {{{-2 (1979)}}}[br]미국 국가 과학상 {{{-2 (1991)}}}[br]앤드류 게먼트 상 {{{-2 (1997)}}}[br]브레이크스루 상 {{{-2 (2020)}}} || || '''배우자''' ||루이스 와인버그 ^^(1954년 결혼)^^ || || '''자녀''' ||엘리자베스 와인버그 ||}}}}}}}}} || [목차] [clearfix] == 개요 == [youtube(mBninatwq6k)] 미국의 물리학자. == 생애 == 1933년 미국의 [[뉴욕]]에서 태어났다. 1950년에 브롱스 과학고를 졸업하였으며 1954년 [[코넬 대학교]]를 졸업하였다. 1957년 [[프린스턴 대학교]]에서 이론물리학을 전공하여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1957–1959년 [[컬럼비아 대학교]], 1959–1960년 로렌스방사능연구소, 1960–1969년 [[UC 버클리]] 연구원 ·조교수 등을 거쳐, 1969–1973년 [[MIT]] 객원교수 및 교수, 1973년 [[하버드 대학교]] 물리학 석좌교수 겸 스미스소니언 천체물리학연구소 수석과학자, 1982년 [[UT 오스틴]] 교수(나중에 명예교수)가 되었다. 2021년 7월 23일 향년 88세의 나이로 타계하였다. == 업적 == 양자론부터 우주론까지 다방면을 연구했다. 1967년에 약한 상호작용과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대한 통일적 모형과 소립자의 통일모형을 발표했다. [[기본입자]]들의 상호작용을 정리한 이 논문은 [[입자물리학]] 분야에서 가장 [[피인용수]]가 높은 논문으로 꼽힌다. 처음 몇년동안 와인버그의 이론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지만 1972년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마르티뉘스 펠트만, [[이휘소]]가 그에 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 와인버그의 이론은 학계의 중심이 되었고 와인버그는 학계의 스타가 된다. 이때 와인버그와 같은 결과를 얻은 사람으로 [[무함마드 압두스 살람|살람]]이 더 있었는데 살람이 이휘소의 강연 직전 찾아가 와인버그와 같은 결론을 얻었다고 하였고, 이휘소는 발표를 하던 도중 '와인버그 모형' 이라 적힌 곳에 ' -살람'을 넣어 '와인버그-살람모형'으로 만들었다. 이후 글래쇼도 와인버그 이전에 모형에 크게 공헌한 사람으로 인정되고 이휘소의 사망 이후 글래쇼, 와인버그, 살람 세 사람은 노벨상을 받았다. 그리고 이들의 이론은 이들의 이름을 합쳐 [[표준 모형|GWS모형]]이라고 불리게 된다. == 수상 == 1977년 대니하이네만 수리물리학상 1972년 오펜하이머상 1979년 노벨물리학상 == 저서 == 입자물리와 우주론 등에서 다양한 저술을 남겼다. * 최초의 3분 * 최종이론의 꿈 * 제3의 생각 * 아원자입자의 발견 * 세상을 설명하는 과학. To Explain the World: The Discovery of Modern Science * Lake Views: this world and the universe * The Quantum Theory of Fields 시리즈 * Gravitation And Cosmology: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The General Theory of Relativity * Cosmology * Foundations of Modern Physics * Lectures on Quantum Mechanics * Lectures on Astrophysics == 기타 == [[이휘소]] 박사와 친분이 있었다. [[과학동아]]와의 인터뷰[* 이메일로 인터뷰했다[[http://www.dongascience.com/news/view/9459|링크]]]에서 현대의 입자물리학에 대하여 이야기 하던 중 그(이휘소)가 살아있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강경한 무신론자로도 유명하다. 덕분에 '이것은 과학이 아니다.'라는 책에서 한 번 까였다. 좀 위험한 내용이긴 하지만 와인버그 본인은 항상 "종교를 없앨 수 있다면 없애고 싶고, 가장 먼저 이슬람을 없앨 것."이라고 말한다. [[포스트모더니즘]]을 매우 싫어하는 것 같다. [[앨런 소칼의 지적 사기 사건]]에 뛰어들어 한바탕 [[병림픽]]을 만들어 버린 일도 있으며, 국내에도 정발된 《최종 이론의 꿈》이라는 책에서 “포스트모더니스트들은 ‘선형적’이라는 말은 무조건 안 좋은 것이며, ‘비선형적’이라는 말만 갖다 붙이면 되는 줄 안다”고 씹어댔다. [[과학철학]]과 [[STS]], 특히 사회구성주의에 대해 상당히 비판적인 태도를 보인다. 위의 포스트모더니즘에 대한 비판과 연결시키는데, 사회구성주의를 제대로 알고 비판하기보다는 세간의 왜곡된 이미지를 보고 비판하는, 허수아비 공격의 오류를 많이 범했다. 애초에 과학철학이나 STS는 포스트모더니즘과 상당히 다른 분야인데 함께 뭉뚱그려 이야기하는 것부터 잘못된 것이다. 그래서 사회구성주의를 소개하는 책이나 강의 등에서 사회구성주의를 오해한 대표적인 예로 많이 언급된다. [[시오니즘]] 지지자다. 이 때문에 다른 곳에서 까이기도 했다. "선한 사람이 악행을 하게 하려면 종교가 필요하다"라는 말을 하기도 했다. 종교뿐만 아니라 모든 맹목적 사고와 믿음은 선의마저도 왜곡시킨다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