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회원수정2)] [include(틀:AFC 아약스/간략)] [include(틀:에레디비시 주장)]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8533 5%, #FF6600 15%, #FF6600 85%, #FF8533 95%);" {{{#000,#e5e5e5 '''스티븐 베르흐베인의 역임 직책'''}}}}}} || || {{{#!folding ▼ ||<-5>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html AFC 아약스 주장}}}''' }}} || || [[두샨 타디치]][br]{{{-1 (2019~2023) }}} || {{{+1 {{{#b8042b ▶ }}} }}} || '''{{{#ffffff 스티븐 베르흐베인[br]{{{-1 (2023~)}}}}}}''' || {{{+1 {{{#b8042b ▶ }}} }}} || ''현직'' || }}}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jax-profile-photos-ajax_0001_ajax-2023-2024-steven-bergwijn-0010.png|width=100%]]}}}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f0f0, #fff 20%, #d50032 20%, #b8042b 45%, #b8042b 55%, #d50032 80%, #fff 80%, #f0f0f0)" '''{{{#!html AFC 아약스 No. 7}}}'''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fff; font-size: .8em" {{{#d50032 '''C'''}}}}}}}}} || ||<-3> '''{{{+1 스티븐 베르흐베인}}}[br]Steven Bergwijn''' || || '''본명''' ||<-2>스티븐 찰스 베르흐베인[br]Steven Charles Bergwijn || ||<|2> '''출생''' ||<-2>[[1997년]] [[10월 8일]] ([age(1997-10-08)]세) || ||<-2>{{{-1 [[노르트홀란트]] 주 [[암스테르담]]}}} || || '''국적''' ||<-2>'''[include(틀:국기, 국명=네덜란드)]''' | [include(틀:국기, 국명=수리남)] || || '''신체''' ||<-2>[[키(신체)|키]] 178cm / [[체중]] 78kg || || '''포지션''' ||<-2>'''[[윙어]]'''[* 좌우 모두 가능하다. 주로 좌측에서 뛴다.], [[세컨드 스트라이커]] || || '''주발''' ||<-2>오른발|| ||<|2> '''등번호'''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2> '''7''' || ||[[AFC 아약스]] || || '''유소년 클럽''' ||<-2>ASC 바테르바이크 [br] [[AFC 아약스]] (2009~2011) [br][[PSV 에인트호번]] (2011~2014) || || '''소속 클럽''' ||<-2>'''[[PSV 에인트호번]] (2014~2020)''' [br] [[토트넘 홋스퍼 FC]] (2020~2022) [br] '''[[AFC 아약스]] (2022~ )''' || || '''국가대표''' ||<-2>32경기 8골[* 2023년 10월 17일 기준] ^^([[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네덜란드]] / 2018~ )^^ || || '''SNS''' ||<-2>[[https://instagram.com/stevenbergwijn?utm_medium=copy_link|[[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8]]]] |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tevenbergwijn, 크기=28)] | [[https://www.facebook.com/BergwijnOfficial|[[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8]]]] || || '''후원사''' ||<-2>[[아디다스]] || [목차] [clearfix] == 개요 == [[네덜란드]] 국적의 [[AFC 아약스]] 소속 [[축구선수]]. 주 포지션은 [[윙어]]. 현재 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 == [[/클럽 경력|클럽 경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티븐 베르흐베인/클럽 경력)] == 국가대표 경력 == [[네덜란드]] 연령별 대표팀을 모두 거쳤다. 2018년 10월 네덜란드 대표팀에 [[로날트 쿠만]]호의 일원으로 부름을 받았다. [[독일]]과의 2018-19 [[UEFA 네이션스 리그]] A의 경기에서 선발 출장하며 A매치 데뷔를 치렀으며, 팀은 3:0으로 독일을 대파했다. 유로 2020 예선 그룹 C조 [[벨라루스]]와의 경기에서 어시스트를 기록하면서 자신의 첫 국가대표팀 공격 포인트를 기록했다. 2020년 9월, [[폴란드]]와 네이션스 리그에서 선제골을 넣으면서 자신의 국가대표 첫 골을 기록하게 되었다. 2020년 11월, 국가대표팀에 다시 소집되었다가 몸 상태가 좋지 않아서 감독이 소집해제 조치를 명했다고 한다. 그리고 의료진으로부터 체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2021년 3월, 월드컵 예선에 소집되어 [[라트비아]]와의 경기에서 후반 90분에 교체 투입되었다. 토트넘에서의 부진이 계속 이어져 [[유로 2020]]에는 소집되지 못하였다.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카타르 월드컵]] [[유럽]] 예선 최종전에서 후반 83분에 결승골을 기록했고, 추가 시간에는 [[멤피스 데파이]]의 쐐기골을 어시스트하면서 네덜란드의 본선 진출을 이끌었다. 2022년 3월 27일 덴마크와의 친선경기에서 [[멤피스 데파이]]와 투톱으로 출전했다. 전반에는 헤더로 [[http://naver.me/F31mqJNr|선제골을 기록했다.]] 후반에는 깔끔한 오른발 감아차기로 [[http://naver.me/F7xTWNVO|멀티골을 기록하는 등]] 대활약 하며 네덜란드의 4:2 승리를 이끌었다. 여담으로 덴마크의 골키퍼가 [[카스페르 슈마이켈]]이였는데 토트넘에서도 레스터와의 맞대결에서 슈마이켈을 상대로 멀티골을 터뜨린 기억이 있다. 2022년 3월 30일 독일과의 친선경기에서 팀이 0:1로 끌려가는 상황에서 58분에 교체 투입되었고, 68분에 [[덴절 뒴프리스]]가 헤더로 떨궈준 공을 강력한 오른발 슈팅으로 [[마누엘 노이어]]를 뚫어내며 [[http://naver.me/GK5XdeTy|동점골을 넣었다.]] 베르흐베인의 동점골로 네덜란드는 1:1 무승부를 거뒀다. 소속팀에서의 부진과 다르게 최근 국가대표 경기에서 3골을 성공시키며 맹활약하고 있다. A매치 이후 본인 국가대표에서와는 다르게 클럽에서 자신의 입지에 불만을 가진 글을 SNS에 올렸다.[[http://naver.me/FJF08MGI|#]] == 플레이 스타일 == [youtube(hFLoOuAsrX4)] 준수한 스피드와 드리블, 탄탄한 피지컬, 부지런한 오프더볼 움직임, 연계 플레이 등 다양한 툴을 가진 공격수로, 주 포지션은 왼쪽 윙어지만, 오른쪽 윙어과 중앙 공격수로도 뛸 수 있는 공격 멀티 자원. 주로 좌측에서 활약하며, 빠른 발을 이용한 드리블 돌파를 시도하고 중앙으로 접고 들어와 강력한 슈팅을 시도한다. 측면에서 중앙으로 파고드는 스타일의 공격수지만, 본인이 볼을 장거리로 운반하기보다는 연계 플레이를 바탕으로 공을 간결하게 풀어낸다. 드리블뿐만 아니라 공격의 마무리를 지을 때도 슈팅뿐만 아니라 더 좋은 위치에 있는 동료에게 건네주는 등 이타적인 플레이도 좋은 편에 속한다. 이타적인 면모를 활용해 오른쪽 윙에서 클래식 윙어 역할과 페네트레이션 역할, 하프스페이스 타격 지원 역할도 상당히 잘 소화하는 선수이다. 드리블을 시도할 때 화려한 테크닉을 이용해 다수의 상대를 여러 명 벗겨내는 쫄깃한 드리블보다는 빠른 발과 잘 잡힌 무게 중심, 탄탄한 기본기를 바탕으로 하는 직선적인 드리블을 구사한다. 무게 중심이 잘 잡혀 있다 보니 상대와의 1대1 상황에서 쉽게 밀리지 않고 공을 잘 지켜낸다.[* 토트넘 시절, 주전 윙어인 [[손흥민]]에 비해 떨어졌던 역습 전개력을 잘 잡힌 밸런스를 이용한 등지는 플레이로 만회했다.] 공격 전 지역을 소화 가능하다는 것도 베르흐베인의 장점 중 하나. 기초적인 축구 IQ가 준수하고 활동량을 바탕으로 하는 오프 더 볼 움직임도 좋다. 특히 좌측과 우측으로 나올 때의 움직임을 달리 가져가는데, 좌측에서는 조금 더 중앙 지향적인 움직임을 가져가면서 슈팅을 더 많이 시도한다. 우측으로 나올 때에는 조금 더 측면 지향적으로 빠지면서 시선을 분산시키면서 크로스를 올려준다.[* 우측의 포지션 경쟁자인 모우라는 스피드와 드리블이 더 빠르고 파괴적이며 슈팅 테크닉이나 골 결정력, 수비적인 감, 볼 운반 능력, 테크닉이 더 우월하나 베르흐베인은 킥력이 더 강력하고 연계가 더 좋은 편이다.] 단점은 빠른 발을 갖추고 있지만, 순간적인 가감속이 아쉬워 라인을 깨버리는 움직임에 있어 아쉬움을 드러낸다. 손흥민이 스피드로 순식간에 상대 뒷공간을 깨버리는 방식이라면, 베르흐베인은 수비 라인을 타기보다는 약간 처진 상태에서 측면으로 침투하는 유형에 가깝다. 그러다 보니 빠른 스피드에 비해 손흥민처럼 스피드로 순식간에 라인을 깨버리는 모습을 자주 보기 힘들며, 손흥민에 비해 베르흐베인의 역습이 덜 위협적으로 보이는 것도 이런 점 때문이다. 물론 아직 20대 초중반의 선수인 만큼 개선 여지는 있다. 토트넘에 와서 가장 큰 문제는 '''골 결정력'''으로, 다른 건 웬만하면 평타 이상 하는 편인데 골만 못 넣는(...) 공격수가 되어버렸다. 이러다 보니 20-21 시즌 토트넘의 공격 포인트는 [[손흥민]]과 [[해리 케인]]이 거의 전담하다시피 했고, 이는 당연히 팀에도 부담으로 작용했다. 이렇게 장단점이 명확하다 보니 [[주제 무리뉴|무리뉴]] 감독 시절엔 그의 전술과 부합하는 수비적인 이점 덕분에 반 주전으로 출전했지만, 시즌 후반 무리뉴가 경질되자 [[라이언 메이슨|메이슨]] 대행 체제에서는 폼이 오른 [[가레스 베일|베일]]과 [[루카스 모우라|모우라]]에게 밀려 입지를 뺏기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에레디비시]] 시절 생각하면 골을 원래 못 넣는 건 아닌 것 같은데 심리적인 문제도 있어 보인다. 또한 낮은 바디 밸런스와 별개로 몸이 그렇게 유연하지는 않아서 밸런스가 무너지면 슈팅 마무리가 어려워지며, 극단적인 오른발잡이어서 왼발 슈팅이 상대적으로 아쉽다. 기타 단점으로는 엄청 장신 공격수는 아니라 제공권이 크게 좋은 선수는 아니고, 왕성한 활동량 대비 체력이 그리 좋진 못한지 플레이가 상당히 거친 PL 입성 후엔 경기 후반 접어들면 힘들어하는 모습도 제법 보인다. 또한 잔부상을 제법 달고 다니는 편이다. 정리하자면 장단점이 명확하게 구분되어 있는 선수로, EPL 입성 첫 시즌은 준수한 모습을 보여주었지만, 이후 나쁜 체력과 무리뉴 체제하에서의 안 그래도 나쁜 체력이 소모되어서 결국 PL에서는 빛을 발휘하지 못하고, 네덜란드 리그에 복귀하였다. == 기록 == === 대회 기록 === * [[PSV 에인트호번]] (2014~2020) * [[에레디비시]]: 2014-15, 2015-16, 2017-18 * [[요한 크루이프 스할]]: 2015, 2016 === 개인 수상 === * UEFA U-17 챔피언십 MVP: 2014 * UEFA U-17 챔피언십 토너먼트의 팀: 2014 * [[에레디비시]] 이달의 선수: 2018년 2월 * 에레디비시 이달의 재능: 2018년 8월ㆍ12월 == [[WAGs]] == 한 살 연하의 모델 겸 댄서 클로에 제이 로이스(Chloe Jay Lois)와 2015년부터 교제하다가 2020년에는 둘 사이에 자녀가 탄생하였다. 그런데 얼마 안 가 헤어졌는데 알고 보니 [[바람둥이|또 다른 여자친구가 있었고]], 이 여자친구도 [[임신]]했다고 한다(...) == 여담 == * [[파일:NINTCHDBPICT000559527702.jpg|width=600]] 오른손 세 번째 손가락과 네 번째 손가락을 교차한 상태로 손을 가면처럼 얼굴 앞에 갖다 대는 특유의 골 셀레브레이션이 있다. 친구들과 피파 게임을 하면서 만들어진 것으로 특별한 의미는 없다고 한다. 보기에는 [[죠죠의 기묘한 모험]]에서 아주 유명한 죠죠서기와 유사해보이지만 죠죠서기는 손바닥만 안면에서 조금 떨어져서 갖다대는 거라서 완전히 다르다. * [[파일:Bergwijn_133.png]] 래퍼로도 활동하고 있는 대표팀 동료 [[멤피스 데파이]]가 2019년 7월 발매한 'Fall Back'이란 곡의 뮤직비디오에 출연한 적이 있다. 베르흐베인 뿐만 아니라 [[저스틴 클라위버르트]]와 [[토니 빌레나]]도 해당 뮤직비디오에 출연했다. [[https://www.youtube.com/watch?v=Sk6zkOc9SKY|링크]]. * 2020년 12월 스포티비와의 인터뷰를 통해 롤모델이 [[손흥민]]임을 밝혔다. 또한 스피드만큼은 손흥민을 이길 자신이 있다는 포부(?)도 밝혔다. 21-22시즌 EPL 3R SPOTV 이번 시즌 토트넘 선수단 최고속도지표에서 베르흐베인이 최고속도 36km/h, 모우라가 34km/h, 손흥민이 32km/h로 밝혀지면서 스피드만큼은 손흥민보다 좋다는 것이 알려졌다. [[https://sports.news.naver.com/wfootball/vod/index.nhn?id=749416&category=epl&listType=total|#]]--하지만 오프더볼 움직임이 좋지 않아 그렇게 빨라보이지 않는다.-- * 현지에서의 별명은 Bergy. 즉 [[버기]]이다. 공교롭게도 한국에서도 출전시간이 적다는 이유로 버기바인이라는 놀리는 별명이 붙었다. * 어릴적에 [[호나우지뉴]], [[호나우두]], [[리오넬 메시]]를 보고 축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https://twitter.com/theeuropeanlad/status/1656189670294712321?s=46&t=9SKq18mPWqy4YZmDBfbF_Q|#]] == 같이 보기 == [include(틀:AFC 아약스)] [include(틀: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include(틀:네덜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명단(2022 카타르 월드컵))] [각주] [[분류:1997년 출생]][[분류:네덜란드의 축구선수]][[분류:PSV 에인트호번/은퇴, 이적]][[분류: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분류:AFC 아약스/현역]][[분류:수리남계 네덜란드인]][[분류:공격수]][[분류:네덜란드의 FIFA 월드컵 참가 선수]][[분류: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참가 선수]][[분류:축구 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