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0> '''{{{#FFF {{{+1 --스티기몰로크--}}}[br]--Stygimoloch--[br]준성체 파키케팔로사우루스}}}''' || ||<-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6px-Berlin_Naturkundemuseum_Dino_Schaedel.jpg|width=100%]] || ||<#F93> '''학명''' || --''' ''Stygimoloch spinifer'' '''--[br]Galton & Sues, 1983 || ||<-2><#F96> '''분류''' || || [[생물 분류 단계#계|{{{#000 '''계'''}}}]] ||[[동물|동물계]]^^Animalia^^||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000 '''계통군'''}}} ||[[석형류]]^^Sauropsida^^||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조반목]]^^Ornithischia^^|| || '''아목''' ||†각각아목^^Cerapoda^^|| || '''하목''' ||†후두하목^^Pachycephalosauria^^||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파키케팔로사우루스과^^Pachycephalosauridae^^|| || [[생물 분류 단계#과|{{{#000 '''아과'''}}}]] ||†파키케팔로사우루스아과^^Pachycephalosaurinae^^|| || [[생물 분류 단계#족|{{{#000 '''족'''}}}]] ||†파키케팔로사우루스족^^Pachycephalosaurini^^||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스티기몰로크속^^''Stygimoloch''^^'''|| ||<-2><#F96>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 ||<-2><#FFF> * †--스티기몰로크 스피니퍼(''S. spinifer'')^^{{{-1 [[모식종]]}}}^^--[* 후술하겠지만 사실상 학명이 [[드라코렉스]]와 마찬가지로 말소되었기 때문이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Stygi.jpg|width=400]] || || 복원도 || [목차] [clearfix] == 개요 == [[백악기]]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후두류]] [[공룡]]. 후술하듯이 현재는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준성체로 취급되고 있다. == 연구사 == 속명의 뜻은 '스틱스(Styx) 강에서 온 [[몰렉]]'.[* 미국 [[몬태나주]]의 [[헬크릭층]]에서 화석이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름도 그리스 신화에서 죽은 사람들이 건넌다는 강 '스틱스(Styx)'를 따와 붙였다.] 머리 주변에 난 뿔들과 무시무시한 인상의 학명 덕분에 후두류 중에서 은근히 유명한 공룡. 뒤통수에 속명의 유래가 된 악마 같은 뿔 장식을 가지고 있었다. 다른 후두류에게서도 뒤통수에 돌기가 솟아나 있지만 스티키몰로크는 좀 더 뾰족하게 튀어나와 있는 게 특징. 아마 천적을 위협하거나 구애용 정도로 쓰였을 가능성이 있다. 여느 후두류가 그러하듯이 이 녀석도 [[박치기]]를 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몸길이는 3.3m에 높이 1m, 체중은 77~91kg이었다. [[고생물학자]]인 [[잭 호너]]는 이 녀석을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준성체'''이며, 아성체인 [[드라코렉스]]와 준성체인 스티기몰로크를 거쳐 성체인 파키케팔로사우루스가 된다고 주장했다. 같은 인물의 다른 학설인 [[트리케라톱스]]-[[토로사우루스]] 설과는 다르게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는 주장인데, 현재까지 발견된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화석 중 가장 어린 것으로 알려진 개체의 두개골과 드라코렉스의 두개골을 비교대조한 결과 유의미한 연속성이 관측되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기 때문. 결국 2016년 2월 6일에 올라온 논문을 통해 드라코렉스와 스티기몰로크가 파키케팔로사우루스라고 규정되면서 속명이 무효화되었다. [[https://www.tandfonline.com/doi/abs/10.1080/02724634.2016.1078343?journalCode=ujvp20|#]][[https://mblogthumb-phinf.pstatic.net/MjAyMDEwMjVfMTY2/MDAxNjAzNjM3MjgwNTQ0.WDCGbrL2fK1G6y6qLtX9fv5XVFk4WDgwZnQNueFRaSsg.5lKV5LeB-eNP9YZUOg8SdeVMctx7WK996sPYfJDh1BUg.PNG.zelgadiss6/1024px-Pachycephalosaurus_ontogeny.png?type=w420|#]] 위키피디아에서는 현재 이 녀석과 드라코렉스의 문서를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문서와 통합시켰다. == 대중매체 == [[디노 디데이]]에는 추축군 클래스로 참전한다. 사실상 연합군의 트리거와 거의 유사하며 프로토와 비슷하게 등 위에 올린 기관총으로 적을 공격한다. 화력은 뛰어나나 열 관리를 못하면 바보가 되어버리는 게 문제. 적당한 높이의 장애물에 숨으면 몸은 최대한 숨기고 포탑만 내놓고 쏘는게 가능하다. 근접능력이 있긴 하나 약하고 판정도 별로라 믿을 건 못된다. 달리면서 인간을 때리면 쓰러지고 그 상태에서 처형이 가능한데 이걸로 한 눈 파는 군인을 열이 꽉 찼을때 죽이는 정도. 트리거와 달리 끔찍한 [[벨로시랩터#s-2|랩터]]나 [[콤프소그나투스#s-3.1|콤피]]를 만날 일이 없어 기쁠지도 모르겠지만 머리 위로 쏟아지는 폭격과 화염방사기를 생각해보면... [[사우리안]]에서 드라코렉스와 함께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아성체로 등장한다. [[더 스톰핑 랜드]]에도 등장. 이 게임에서 플레이어에게 최초로 죽음을, 유저에게 최초로 [[충격과 공포]]를 선사하는 녀석(...). 박치기 두방에 플레이어 캐릭터가 사망하는지라 초반엔 굉장히 위험하다. 그래도 활과 화살이 구비될 때쯤이면 그냥 잡몹. 더 스톰핑 랜드가 먹튀로 사라진 후에도 [[The Isle]]에 수록되지 못했는데, 새로운 모델링이 만들어져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성장 과정 중 일부로 등장할 예정이다. [[파일:external/img4.wikia.nocookie.net/Stygimoloch.jpg|width=470]] [[디즈니]]의 영화 [[다이너소어]]에 출연했으나, 작중 취급은 사실상 배경 수준. [[파일:eceeed4fabfcc678552177cf3657a1d0.jpg|width=470]] [[쥬라기 월드: 폴른 킹덤]]에도 출연하면서, 여기서는 취급이 꽤 괜찮아 극중에서 여러모로 맹활약한다. [[스티기몰로크(쥬라기 월드 시리즈)|항목 참조]].[* 다만 시리즈에 자문으로 참여한 [[잭 호너]] 본인이 [[https://twitter.com/dustydino/status/939376134407327744|해당 공룡이 스티기몰로크라는 이름으로 나오는 것을 반대했는데도 무시당했다]]고 트위터에서 밝혔다.] [[쥬라기 월드: 더 게임]]에선 VIP 전용 공룡이다. 4세대의 화석 포켓몬 [[램펄드]]의 모델이 되었다. [[ARK: Survival Evolved]]에서 파키케팔로사우루스의 이벤트 스킨으로 나온다. [[분류:파키케팔로사우루스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