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애니메이션 제작사]] [[파일:external/i3.ruliweb.com/159737c6de68cfcc.jpg]] Studio五組 [[http://www.gokumi.co.j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St_gokumi, 크기=25)] [목차] == 개요 == [[일본]]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스튜디오 고쿠미'라 읽는다. [[곤조(기업)|곤조]]의 도산후 산하의 제5스튜디오 프로듀서인 시바타 토모노리(柴田知典)가 2010년 5월에 설립한 회사. 소재는 도쿄 스기나미구에 두고 있다. 2008년, [[GONZO]]에서 제작, 방영한 TV 애니메이션「[[스트라이크 위치스]]」의 애니메이션 제작 부분에《GONZO 제5 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크레디트가 올라갔다. 그때까지는《GONZO》내에 스튜디오 개념으로 소개된 작품은 없었지만, 유일하게 제5 스튜디오에서만 자신의 스튜디오 이름을 어필했는데, 당시 프로듀서가 바로 현《스튜디오 5조》대표이사로 취임한 시바타 토모노리(柴田知典)이다. 그 전까지는 [[선라이즈]]나 [[Production I.G]] 정도의 회사에서 스튜디오 개념으로, 내부적으로 작품의 제작을 별도로 진행했었다. 그 이후 2009년, 역시나《[[GONZO]]》에서 제작, 방영한 TV 애니메이션 [[사키 -Saki-]]에서도 애니메이션 제작 부분에《GONZO 제5 스튜디오》라는 이름으로 크레디트 되었다. 하지만 이 당시《GONZO》의 재정상황이 악화하여 결국 상장폐지를 선언,「사키-Saki-」는 다른 애니메이션 제작 회사인《Picture Magic》으로 넘어가 2쿨째를 제작해야 했다. 이때《GONZO 제5 스튜디오》가 제작 협력으로 크레디트 됐지만, 실질적인 제작 담당이었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형태로 마지막회까지 이어지면서 사키 1기 애니메이션이 GONZO 제5스튜디오 명의인 마지막 작품이 되었다. 결국 프로듀서 시바타 토모노리는《[[GONZO]]》를 퇴사, 2010년에 새로운 회사인《스튜디오 5조》를 설립했다. 하지만 그 당시《GONZO 제5 스튜디오》에서 함께 일하던 다른 스탭들과는 결국 결별해야 했다. 참고로 시바타 토모노리 프로듀서는《GONZO》내에서「키디 그레이드」, 「SAMURAI 7」, 「[[스피드 그래퍼]]」 등의 작품들을 담당했었다. 2010년, 시바타 토모노리가 설립한 신생회사《스튜디오 5조》의 첫 작품으로 [[목소리로 일하자!]] OVA 제작이 발표하였다. 하지만 작품이 나오기 직전까지도 감독 선임에 문제를 겪어 발표를 하지 못했고, 캐릭터 디자이너부터 색채설정 담당마저도 과거에 오랫동안 함께 일을 했던 스탭들이 아닌, 신인 또는 타 회사에서 스카우트를 하거나 프리랜서들로 채웠기 때문에, 팀워크를 기대하기는 힘든 상황이었다. 결국에는 OVA답지 않은 퀄리티로 제작하느라, 과거《GONZO 제5 스튜디오》의 명맥을 이어 나가기엔 무척 어려웠다. 하지만 2011년, 과거「[[사키 -Saki-]]」스탭진들인 오노 마나부 감독과, 세토 켄지 조감독, 작가 우라하타 타츠히코, 캐릭터 디자이너 사사키 마사카츠 등과 함께, 《스튜디오 5조》의 첫 TV 애니메이션 작품 [[A채널]]을 발표했다. 전체적으로 깔끔한 캐릭터 디자인에 한눈에 봐도 열심히 공을 들인 배경 미술이 인상적이란 평을 받았다. 일상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괜찮은 스토리를 뽑아주었으며, 작화나 사운드면에서도 나무랄데가 없다는 평이 중론이다. 한마디로 '''좋은 스타트였다'''고 한다. 《스튜디오 5조》 특유의 퀄리티도 엿볼 수 있는 작품이었기에, 많은 팬들에게서 큰 호응을 얻었고, 결국엔 6천장 정도의 미디어 매상도 올리면서, 향후 작품을 안정적으로 발표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다. 그 이후에는, 다른 제작사에서 만든 작품들인「우리들에게 날개는 없다」, 「C3 -시큐브-」, 「나는 친구가 적다」, 「아마가미SS+ plus」, 「아쿠에리온 EVOL」 등 작품에서 각 화 제작 협력 작업을 진행하면서, 회사 내 재정적 안정과 내부 직원들의 스킬 향상 또한 도모했다. 2012년, 「사키-Saki- 아치가편 episode of side-A」을 발표하여 3년 만에「사키-Saki-」후속작을 발표했다. 메인 스탭진으로 과거의 스탭진들이 모두 합류했는데, 특히 3D CG를 담당한《산지겐》[* [[푸른 강철의 아르페지오]] 애니메이션을 제작한 회사이다. 고쿠미와 마찬가지로 곤조에서 분사한 회사라는 공통점이 있다.]]에서는, 마작 CG 퀄리티를 높이기 위해 직원들이 마작에 푹 빠졌다. [[작붕]]이 전혀 없는 깔끔한 디자인이 인상적인데, 컴퓨터 그래픽을 이용한 3D효과로 마물들의 [[마작]]능력을 실감나게 보여주었다. 2012년 7월엔,《매드하우스》와 함께 TV 애니메이션 「[[오다 노부나의 야망/애니메이션|오다 노부나의 야망]]」을 제작하게 되었고, 같은 분기에 TV 애니메이션「[[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를 단독으로 제작하였다. 2014년 10월에는 시나리오 라이터 [[타카히로(미나토 소프트)|타카히로]][* [[아카메가 벤다!]]의 작가다.]를 필두로 첫 오리지널 작품인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애니메이션 1기)|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를 제작했다. 여담으로, 2016년 이후 AXsiZ와 [[협업|공동 제작]]하는 작품이 많다. == 관련 인물 == * 대표이사, 프로듀서 시바타 토모노리(柴田知典) * 애니메이션 감독 [[오노 마나부]] * 애니메이션 감독 [[키시 세이지]] * 애니메이터 [[사사키 마사카츠]] * 애니메이터 사카이 타카히로(酒井孝裕) * 애니메이터 [[사와다 켄지(애니메이터)|사와다 켄지]] * 애니메이터 [[오제키 미야비]] == 주요 작품 == 스튜디오 5조 설립 전 [[GONZO]] 제5스튜디오 명의로 제작된 작품으로는 [[스트라이크 위치스]], [[사키 -Saki-]]가 있다. 이 가운데 스트라이크 위치스는 GONZO의 상장폐지 후 [[AIC]]로 넘어갔다가 AIC의 매각으로 극장판부터는 [[SILVER LINK.]]가 맡게 되었다. [[사키 -Saki-]]만이 GONZO 제5스튜디오 시절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작진으로 꾸준히 후속편을 제작하고, 시리즈화되어 왔다. 설립 계기도 그렇고 나름 역사를 함께하는 작품이 된 듯. 아래 작품 일람은 모두 스튜디오 5조 설립 이후를 기준으로 한다. === TV 애니메이션 === ==== 2010년대 ==== ||
'''년도''' || '''제목''' || '''감독''' || || 2011년 || [[A채널]] || [[오노 마나부]] || ||<-3> || ||<|2> 2012년 || [[사키 아치가편|사키: 아치가 편]] || [[오노 마나부]] || || [[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 || [[나와 무네노리]] || ||<-3> || ||<|2> 2013년 || [[단재분리의 크라임엣지/애니메이션|단재분리의 크라임엣지]] || [[야마구치 유지]] || || [[금빛 모자이크(애니메이션 1기)|금빛 모자이크]] || [[타나카 모토키|텐쇼]] || ||<-3> || ||<|3> 2014년 || [[사키 -Saki-|사키: 전국 편]] || [[오노 마나부]] || || [[에스카 & 로지의 아틀리에 ~황혼 하늘의 연금술사~/애니메이션|에스카 & 로지의 아틀리에 ~황혼 하늘의 연금술사~]] || [[이와사키 요시아키]] ||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애니메이션 1기)|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 [[키시 세이지]] || ||<-3> || ||<|2> 2015년 || [[헬로!! 금빛 모자이크]] || [[타나카 모토키|텐쇼]] || || [[랜스 & 마스크]] || [[이시구로 쿄헤이]] || ||<-3> || || 2016년 || [[홍각의 판도라]][* AXsiZ와 공동 제작.] || [[나와 무네노리]] || ||<-3> || ||<|3> 2017년 || [[세이렌(애니메이션)|세이렌]][* AXsiZ와 공동 제작.] || [[코바야시 토모키]] || || [[심심한 칠드런]] || [[카네코 히라쿠]] ||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와시오 스미의 장/용사의 장]] || [[키시 세이지]][*총][br]후쿠오카 다이키 || ||<-3> || ||<|3> 2018년 || [[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애니메이션|라멘 너무 좋아 코이즈미 씨]][* AXsiZ와 공동 제작.] || [[세토 켄지(애니메이션 감독)|세토 켄지]] || || [[도사의 무녀]] || 카키하라 코다이 || || [[이웃집 흡혈귀 씨/애니메이션|이웃집 흡혈귀 씨]][* AXsiZ와 공동 제작.] || [[아키타야 노리아키]] || ||<-3> || || 2019년 || [[엔드로~!]] || [[카오리(애니메이션 감독)|카오리]] || ||<-3> || ||<|2> 2020년 || [[모여라! 시튼 학원]] || [[히로시 이케하타]] || || [[마에세츠!]][* AXsiZ와 공동 제작.] || [[노부타 유우]] || ==== 2020년대 ==== ||
'''년도''' || '''제목''' || '''감독''' || ||<|2> 2021년 ||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대만개의 장]] || [[키시 세이지]] || || [[종말의 하렘(TVA)|종말의 하렘]][* AXsiZ와 공동 제작.] || [[노부타 유우]] || ||<-3> || || 2022년 || [[카미쿠즈☆아이돌/애니메이션|카미쿠즈☆아이돌]] || 후쿠오카 다이키 || ||<-3> || ||<|3> 2023년 || [[자동판매기로 다시 태어난 나는 미궁을 방랑한다(애니메이션 1기)|자동판매기로 다시 태어난 나는 미궁을 방랑한다]][* AXsiZ와 공동 제작.] || [[아키타야 노리아키]] || || [[꿈꾸는 남자는 현실주의자/애니메이션|꿈꾸는 남자는 현실주의자]][* AXsiZ와 공동 제작.] || [[코가 카즈오미]] || || [[별무리 텔레패스/애니메이션|별무리 텔레패스]] || [[카오리(애니메이션 감독)|카오리]] || ||<-3> || === 극장판 === ||
'''년도''' || '''제목''' || '''감독''' || || 2016년 || [[금빛 모자이크: 프리티 데이즈]] || [[타나카 모토키|텐쇼]] || ||<-3> || || 2019년 || [[LAIDBACKERS|LAIDBACKERS -레이드배커스-]] || [[하시모토 히로유키]] || ||<-3> || || 2021년 || [[금빛 모자이크 Thank you!!]] || [[나와 무네노리]] || ||<-3> || || 2024년 || [[아이리스 더 무비 풀 에너지!!]] || [[히로시 이케하타]] || ||<-3> || === OVA === ||
'''년도''' || '''제목''' || '''감독''' || || 2010년 || [[목소리로 일하자!]] || [[호소다 나오토]] || ||<-3> || || 2012년 || A채널+smile || [[오노 마나부]] || ||<-3> || || 2015년 || [[사키비요리]] || [[오노 마나부]] || === 게임 === * [[2010년]] * [[아르카나 하트|아르카나 하트 3]](링크 애니메이션 제작) * [[2011년]] * [[쾌도천사 트윈엔젤 시간과 세계의 미궁]](원화 제작) == 그 외 == 신생 제작사라는 신분에도 불구하고 앞선 2개 작품의 연속적인 성공을 통해 안정된 재정과 기술을 바탕으로, 깔끔한 작화와 평균이상의 사운드를 뽑아주며 많은 팬들의 기대를 모았지만 [[이 중에 1명, 여동생이 있다!]]에서 팬들의 기대를 단숨에 져버렸다. 상기 작품에서 그들의 장점이었던 작화는 온갖 [[작붕]]의 연속이었고 사운드도 [[더 이상 말할 필요가 없다]]. [[http://gall.dcinside.com/list.php?id=anigallers&page=&keyword=&no=2365121&k_type=&search_pos=|리뷰]] 이어서 크라임엣지에서도 원작의 문제라고 해야할지 마이너소재 때문인지, 여하튼 반응이 좋지 못했다. 실패작이 몇개 나왔긴 했지만, 어쨌든 앞으로 주목할 여지가 있는 제작사인 것은 변함 없는 사실이다. 자체제작물들의 엇갈리는 흥행평가 때문에 현지 심야애니 시청자들에게는 어느새 [[미소녀 동물원]]에나 어울리는 제작사로 인상이 굳어져가는 상황인데, 이러한 선입관을 깨보려 시도 중인지 2014년 들어서 연속으로 [[배틀물]] 계열의 제작을 시도하고 있다. 2014년 10월부터 방송을 시작한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에서는 지금까지와 다르게 수준급의 액션신과 일상에서 벗어난 신(新)일상물[* 자세한 것은 작품의 문서를 참조]을 보여주었다. 결말에 대해 논란이 많았으나 BD 1권 누계판매량 1만 장을 달성하며 동분기 판매량 상위권을 차지, 그전까지 최대 히트작이었던 [[금빛 모자이크]]를 넘어 명실상부 5조의 최대 히트작이 되었다. [각주] [[분류:스튜디오 5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