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경제 용어]][[분류:콩글리시]] [목차] [clearfix] ||<-4> '''금리 인상 용어''' || || [br] || || ||<|4><#777777> {{{+4 ↑ [br] ↑ [br] ↑ [br] ↑ }}} || || [br] || ||<|3><#999999> {{{+4 ↑ [br] ↑ [br] ↑ }}} || || [br] ||<|2><#bbbbbb> {{{+4 ↑ [br] ↑ }}} || ||<#dddddd> {{{+4 ↑ }}} || || 0.25%p || 0.50%p || 0.75%p || 1.00%p || || 베이비 스텝 || 빅 스텝 || 자이언트 스텝 || 울트라 스텝 || == 개요 ==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안 종류다. 다만 아래에 나오는 분류는 한국에서만 쓰이는 것에 유의하자. '''영어에는 금리 인상 %p 별로 구분하여 지칭하는 별도의 용어가 존재하지 않는다.''' == 종류 == === 베이비 스텝(Baby Step) === 기준금리 0.25%포인트 인상을 일컫는 말이며, 가장 통상적인 기준금리 조정 방식이다. === 빅 스텝(Big Step) === 기준금리 0.50%포인트 인상을 일컫는 말이다. 반대로 0.5%P 인하는 빅컷(Big Cut)이라고 한다. 물가 안정화 등으로 인해 금리를 더 빨리 올릴 필요가 있을 때 빅 스텝을 사용한다. 2022년 7월 13일, 한국은행은 물가 상승에 대응하기 위해 사상 처음으로 빅 스텝을 단행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는 1.75%에서 2.25%로 올랐다. 물가 상승과 환율 압박을 강하게 받자, 10월 12일에도 2.50%에서 3.00%로 올리며 다시 빅 스텝을 하게 되었다. === 자이언트 스텝(Giant Step) ===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을 일컫는 말이다. 미국 현지시각 2022년 6월 15일, 미 [[연방준비제도|중앙은행(Fed)]]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 정례회의에서 정책금리 목표범위를 0.75%~1.0%에서 1.50%~1.75%로 0.75%포인트 인상을 결정했다.[[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61640656|한국경제 기사]] 이는 Fed가 기준금리를 완전히 공개적으로 발표하던 직후인 1994년 11월 [[앨런 그린스펀]] 의장이 리스크 매니지먼트라는 말을 쓰며 75bp를 올린 것에 대한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표현에서 유래했다. 사실 베이비 스텝,빅 스텝 모두 그린스펀 시대 만들어진 표현. 직전의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을 '''빅 스텝'''이라고 불렀기 때문에 이와 차별화를 두기 위해 한국 언론에서 '''자이언트 스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영미권에서 실제로 사용하는 표현은 아니며, 보통 '''sharp interest rate hike''' 등으로 표현한다. [[https://www.washingtonpost.com/us-policy/2022/06/15/fed-rate-hike-inflation/|워싱턴포스트 기사]]. 콩글리시지만 하도 여러 사람들이 쓰다보니 이제 경제 전문가들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이언트 스텝이라는 표현을 쓴다. 즉 이 용어에 '''거인의 발자국'''등의 심오한 뜻이 담겨 있다고 주장하거나, 동명의 기업[* 광고등의 시각 특수효과(VFX) 전문 기업.[[https://www.giantstep.co.kr/|홈페이지]][[https://www.youtube.com/channel/UCb4M2urANsFFJMhAjZpMb-g|[[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1.6]]]] 주식시장에 상장된 주식회사(289220)이며, 실제로 금리인상과 혼동하는 글이 (…) 올라온적 있다.]이 연준 관련주란 내용은 사실이 아니다. === 울트라 스텝(Ultra Step) === Ultra step. 기준금리1.00% 포인트 인상을 일컫는 용어이다. 미 연준은 2022년 0.75%p의 금리를 인상하는 자이언트 스텝을 2번 연속으로 단행하였으나, 이것만으로는 물가 상승세를 잡지 못하였다. 그래서 경제계에서는 1.00%p를 한번에 올리는 울트라 스텝의 가능성도 있다고 예상하였다.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92148666|#]] [[https://kr.investing.com/news/stock-market-news/article-834183|##]] 현재 미국 연준이 FOMC를 통해 기준금리를 발표할때 한번에 100bp 이상 올린 사례는 연준 역사 이래 [[폴 볼커]]시대 1978년 11월부터 1981년 5월(볼커가 집권한 후) 사이에 7차례에 걸쳐 금리를 100bp 인상한 것이 유일하다. 볼커 이래는 단 한번도 100bp 인상은 이루어진 적이 없다. [[https://www.forbes.com/sites/sergeiklebnikov/2022/09/15/heres-what-happens-to-stocks-when-the-fed-raises-rates-by-100-basis-points/?sh=e5403c063ed0|#출처#]] == 관련 문서 == * [[한국은행]] * [[연방준비제도]] * [[기준금리]] * [[인플레이션]] * [[2022년 전 세계 물가 폭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베이비 스텝(금리), version=7, title2=빅 스텝, version2=11, title3=자이언트 스텝(금리), version3=20, title4=울트라 스텝, version4=15, title5=Giant Step, version5=20, paragraph5=1, title6=틀:금리 인상 용어, version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