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플레이스테이션 주요 게임)] [include(틀:시프트업)] ||<-2>
{{{#ffffff,#fafafa '''{{{+1 {{{#!html 스텔라 블레이드}}}}}}'''[br]{{{#!html Stellar Blade}}}}}}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stellarblade.jpg|width=100%]]}}} || || '''개발''' ||[[시프트업]] || || '''유통'''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 || || '''플랫폼''' ||[[PlayStation 5]] || || '''ESD''' ||[[PlayStation Network]] || || '''장르''' ||[[오픈 월드]] [[액션 어드벤처]] || || '''출시''' ||미정 || || '''한국어 지원''' ||음성 지원 / 자막 지원 || || '''엔진''' ||[[언리얼 엔진 4]] || || '''심의 등급''' || || || '''해외 등급''' || || || '''관련 사이트''' ||[[https://eve.shiftup.co.kr/|[[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데스티니 차일드]]를 개발한 [[시프트업]]의 차기작 프로젝트. 2019년 [[GDC]]에서 짧은 티저 영상으로 첫공개 되었고 4월 4일 시프트업 발표회에서 [[승리의 여신: 니케]]와 함께 정식 발표를 하였다. 극한의 19금 액션을 강조하며[* 이는 선정성보다는 표현에 제약을 두지 않겠다는 의미라고 한다. 참고로 해당 표현은 [[데스티니 차일드]] 때도 한 말이다. 회사 특성이나, 엘더스크롤5 스카이림 모드, 니어 오토마타서 어느 정도 따온듯한 캐릭터 디자인을 보면 선정성도 짙을 것으로 보인다.], 싱글플레이를 베이스로 하여 개발하고 있다고 한다. 장르는 3인칭 세미 [[오픈 월드]] 액션으로, 기본적으로는 큰 흐름을 따라가 엔딩을 보도록 되어 있다. 플랫폼은 원래 PC, XBOX One, PS4가 계획되어 있었으나 2021년 9월 트레일러 공개와 함께 PS5로 변경되었고, 2022년 9월 트레일러에선 PS5 콘솔 독점작으로 소개되었으며 [[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소니]]가 직접 유통까지 하게 됨으로서 한국 게임 중 최초의 플레이스테이션 독점작이자 유통게임이 되었다. == 출시 전 정보 == 공개 이후 많은 기대를 받고 있는 게임이지만 비주얼에 관해선 상당히 호불호가 갈리는 편이다. 우선 호평하는 측에서는 수려한 그래픽과 미술 디자인, 그리고 [[게임기|콘솔]] 게임의 불모지인 한국에서 이런 게임을 만든다는 것 자체를 높게 평가한다. 디자인에 대해서도 [[김형태(일러스트레이터)|김형태]]의 디자인과 아트 스타일을 좋아하는 유저 층에선 긍정적인 반응이 있다. 반면 [[마그나카르타 2]], [[데스티니 차일드]] 등에서 선보였던 김형태 특유의 얼굴 조형이 3D로 옮겨지니 사람이 아니라 인형 같은 느낌이 든다는 점에서 불호를 보이는 유저도 일부 있었고[* 물론 사람이 아닌 것 같다는 표현은 대체로 [[불쾌한 골짜기]]가 느껴진다는 말에 더 가깝기 때문에 출시 이전까지 수정할 수 있다면 수정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주인공 캐릭터의 얼굴은 2015년작 [[철권 7]] 시네마틱에 등장하는 여캐들과 비슷한 느낌을 주는데, 6년이 지난 것을 감안한다면 아쉬운 점이 있는 것은 분명하다.] 이에 어울리지 않는 세계관으로, 국산 게임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했다는 점이 지적받기도 한다. 특히 시놉시스나 컨셉이 [[니어:오토마타]]와 거의 같다는 점에서 니어 시리즈를 플레이해 본 유저들에게서 식상할 것 같다는 반응도 심심치 않게 나오는 편이다.[* 미래 SF 세계관, 포스트 아포칼립스, [[러브크래프트]], [[크툴루 신화]], 외계에서 온 우주인, 지구 탈환, 여성 주인공, 안드로이드, 미지의 괴생명체 군단, '''엉덩이 모델링'''(...) 등.] 비주얼 외적으로도 김형태 대표와 시프트업의 [[데스티니 차일드]]가 워낙 안 좋은 의미로 강력했다보니 별다른 기대를 하지 않는 유저들도 적지 않은 편이다. 물론 위에서 언급했듯이 콘솔 게임의 불모지에서 이런 시도가 나온다는 것 자체를 긍정적으로 보는 반응도 있으나, 아무래도 시프트업의 지금까지의 행보가 썩 긍정적이진 않으니 반응이 다소 좋지 못한 것. 다만, 전작의 경우 스마트폰 성능의 한계로 인한 문제점이 대부분인지라 콘솔 전용으로 출시되는 이번 작품의 경우엔 괜찮을 수 있다. 애초에 콘솔기기는 게임 구동에 최적화가 되어 있어서 게임 개발력이 어느 정도만 있어도 평타 이상은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국외 반응은 그럭저럭 괜찮은 편인데, 유튜브 트레일러를 보면 상당수의 외국인들이 이 게임을 기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시프트업 역시 글로벌 출시를 준비 중이라고 하였다. 트레일러 속 기계 괴물에 의해 멸망한 포스트 아포칼립스 분위기나 [[김형태(일러스트레이터)|김형태]] 대표가 설명한 지구에서 쫒겨났던 최후의 인류 이브가 우주 외계 침략자와 싸워서 지구를 탈환하는 이야기라는 내용 때문인지 [[호라이즌 제로 던]], [[니어:오토마타]]와 비슷한 것 같다는 반응이 많다. 김형태 대표 역시 인터뷰에서 직접 [[갓 오브 워]]와 [[니어:오토마타]]의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한 바 있다. 니어 시리즈의 디렉터인 [[요코오 타로]]도 프로젝트 이브를 보고 기대가 된다는 [[https://twitter.com/yokotaro/status/1114352861209489408|트윗]]을 남기기도 했다. [[https://twitter.com/yokotaro/status/1436113252241469462?s=20|요코오 타로:산다.]] 김형태 대표는 첫 발표회에서 "지금 AAA 게임에 도전하지 않는다면 계속 [[리니지라이크|비슷한 게임]]만 반복해서 만들게 된다"며 [[한국 게임계의 문제|현 한국 게임의 문제와 그에 대한 절박함]]을 표명했다. 프로젝트 이브도 그러한 마음에서 탄생한 것이라고 한다. [[http://gametoc.hankyung.com/news/articleView.html?idxno=51261|#]] 2020년 11월 26일, 장검을 든 캐릭터가 보스와 전투를 하는 전투 플레이 영상이 공개되었다. 해당 영상에선 회피(정확한 타이밍에 회피 시 무적시간 제공으로 추측), 막기(정확한 타이밍에 막을 시 경직 없음으로 추측) 같은 전투 시스템의 기본을 볼 수 있으며 19금 액션이라는 말 답게 보스의 손아귀에 캐릭터가 붙잡혔을 때 전기톱으로 갈려버리는 [[료나]]게임 스러운 연출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유튜브나 국내 사이트의 반응을 보면 어색한 부분들도 많이 지적받고 있다. 대표적으로 몸을 뚫고다니는 포니테일 머리카락, 바닥을 미끄러지듯 움직이는 모션 및 이동속도, 주인공의 젤리 같은 움직임이나 타격 등이 있다. 오히려 해당 전투씬에서 가장 칭찬받는 부분은 적의 디자인이다. 그래도 마냥 부정적인 반응만 있는 건 아니고 전반적인 평가를 보면 기대되는데 이런 부분이 아쉽다는 지적에 가깝다. NC의 [[블소2]]가 심각한 모습을 보여주자 이브가 진짜 블소 2라는 평가도 나왔다. 특히 시프트업에 블소 개발자들이 다수 포함된 상황이다. 이번 트레일러는 [[프로토타입]]이어서 전체적인 완성도를 왈가왈부할 단계는 아니다. 일반적으로 [[프로토타입]] 버전은 대외비로 하며, 어른들의 사정으로 공개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렇게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동시에 [[프로토타입]]을 공개한 것은 그만큼 자신감과 포부를 보여준 셈이다. 또한 해당 영상을 통해 개발자를 추가적으로 모집하는 목적도 있을 것이다. 2021년 9월 10일 [[PlayStation Showcase]] 2021에서 첫번째 트레일러가 공개되었다. 성우는 이브역에 [[박리나]], 아담역에 [[정재헌]]이 맡았다.[[https://www.instagram.com/p/CToFOo5JDn4/|링크]] 역시 공통된 의견으로는 김형태 특유의 [[엉덩이|히프]] 사랑이 잘 드러난다는 반응이 많다. 빅히프부터 시작해서 3D 모델링 전체적으로 딱 [[엘더스크롤 5: 스카이림]]의 모드에나 나오는 여캐 같은 느낌이 드는데 이는 김형태 취향이라는게 공통된 의견.[* 김형태의 그림들을 보면 알겠지만 김형태는 여캐를 그릴 때 가슴, 엉덩이, 허벅지를 매우 과장되게 강조한다.][* 덕분인지 또 다른 빅히프 하면 떠오르는 게임인 니어 오토마타의 디렉터 요코오 타로 역시 이 게임을 보자마자 짤막하게 산다(...)는 반응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게임 분위기가 니어 + 데메크 + 베요네타 혹은 스카이림 모드의 여캐라는 의견이 많다. 특정 몬스터들의 디자인은 [[데드 스페이스]] 같은 호러 게임에서 나올 법한 분위기를 풍기기도 한다.[* 어디서 너무 많이 본 거 아니냐는 말도 많지만, 시프트업은 본래 모바일 게임 만드는 회사였지 이런 대작급 게임을 만드는 회사는 아니었다 보니 여러 곳에서 모티브를 따와 만드는게 꼭 나쁜 것만은 아니다. 지나친 표절은 문제지만.] AAA급 게임을 만든 적 없던 회사의 첫 AAA급 게임 제작치고는 트레일러는 괜찮게 나온 편이다. 캐릭터와 몬스터 디자인이나 액션 역시 괜찮게 나온 것 같다고 평하는 이들이 많다. 단순히 캐릭터성 외에도 국외 게이머들 사이에서는 게임 플레이 요소 역시 인상적이었는지 플스 쇼케이스에서 꽤나 주목받는 기대작이 되었다. 심지어 한 게임 웹진에서는 프로젝트 이브가 [[세키로: 섀도우 다이 트와이스]]와 유사한 면이 있고 세키로의 팬들이 기대할만한 게임으로 보인다며 호평했다. [[https://gamerant.com/sekiro-fans-project-eve-similar-combat-mechanics-style/|#]] [[바람의 나라(게임)|바람의 나라]], AION, OVERHIT 등에 참여해 유명한 황주은(be) 디렉터가 해당 게임의 사운드 디렉터로 참여하고 있음을 밝혔다.[[https://www.youtube.com/c/JooeunHwang/community|#]] 현재 밝혀진 정보에 의하면 여러 가지 스킬을 포함해 콤보를 엮어가며 막기와 회피를 사용하는 전투 방식이라고 한다. 트레일러에서 보여준 [[롱소드]] 외에도 다양한 무기가 있는듯하며, 룩 변경이 가능한 코스튬 기능도 있다고 한다.[* 트레일러를 자세히 보면 상의는 세라복에 하의는 흰줄이 들어간 검은 레깅스로 의상이 바뀌는 부분이 있다.] 2022년 트레일러 공개와 함께 게임명을 기존의 '''프로젝트 이브'''에서 '''스텔라 블레이드'''로 변경하였으며 추가로 새 등장인물들과 원거리 공격, 새로운 적들의 모습이 등장했다. 1년만의 트레일러라 그런지 이전 트레일러들보다 이펙트나 모션등이 더 자연스러워졌으며 막거나 패링하는 모션, 분신과 함께 베는 모션등에서 [[베요네타]], [[데빌 메이 크라이]] 같은 느낌이 든다는 평이다. 같은 시기 소니 글로벌 파트너쉽 부사장 크리스티안 스벤슨이 스텔라 블레이드가 플레이스테이션의 세컨드 파티 게임이라고 밝히면서, 소니가 상당한 투자와 지원을 하고 있다는 추측이 기정사실화 되었다.[[https://bbs.ruliweb.com/news/board/1001/read/2273216|#]] ==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LsSuuSAIys)]}}} || || '''{{{#ffffff,#dddddd 시프트업 공식 유튜브 티저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p3YKZJhbctY)]}}} || || '''{{{#ffffff,#dddddd 시프트업 공식 유튜브 첫 전투 플레이 영상}}}'''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3X3JR3pG0I8)]}}} || || '''{{{#ffffff,#dddddd 첫 번째 트레일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ayek3ZzWb1E)]}}} || || '''{{{#ffffff,#dddddd 스토리 트레일러}}}''' || == 등장인물 == * '''EVE''' {{{-1 - 성우: [[박리나]]}}} Project EVE의 부대원 중 한 명이자 [[주인공]]. 다른 부대원들과 함께 지구로 강하했으나 어떠한 이유로 모두 실패하고 유일하게 강하에 성공한 듯하다.[* 컨셉아트를 보면 주인공과 비슷한 다른 여성 부대원들이 죽어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녀린 외형과는 달리 네이티브와 홀로 맞서 싸우고, 우주로 튕겨나가도 멀쩡하며, 거대 괴수의 망치를 힘겹게나마 들어올려 휘두르는 등 평범한 인간이 아니라 강화인간 혹은 안드로이드로 보인다. 2020년 전투 플레이 영상에서는 처음에 공개된 단발 캐릭터와는 다른 외형의 포니테일 캐릭터가 등장했는데 주인공의 디자인이 변경된 건지, 서로 다른 캐릭터인지는 불명이다. 2021년 트레일러를 근거로 디자인 변경인 것 같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자세히 보면 처음 공개된 단발 캐릭터는 강하할 때 탑승한 포드와 머리카락의 리본에 '''EVE 06'''이라고 적혀있으나 트레일러 및 전투 플레이 영상의 포니테일 캐릭터는 옷에 '''07 EVE'''[* 전투 플레이 영상에서는 '''EVE 02'''라고 적혀있었다.]라고 적혀있는 것으로 보아 별개의 캐릭터인 것이 유력하다. * '''ADAM''' {{{-1 - 성우: [[정재헌]]}}} 이브의 조력자. 첫 번째 트레일러 당시에는 이브 옆에 붙어다니는 소형 로봇으로만 나와 [[니어:오토마타]]의 [[포드(니어 시리즈)|포드]]와 같은 서포트 인공지능 로봇으로 추측됐지만, 두 번째 트레일러에서 방독면을 쓴 인간 남성의 모습으로 나와 로봇은 원거리에서 서포팅을 위해 이브 옆에 붙여둔 것임이 밝혀졌다. 이브에게 자신들을 도와달라고 요청하는데 네이티브의 침공 때 버려진 하층민일 가능성도 있다. 이브처럼 아담과 이브에서 이름을 따온 게 분명한만큼 중요한 비중을 지닌 인물로 예상된다. * '''LILY''' {{{-1 - 성우:}}} 두 번째 트레일러에서 공개된 캐릭터. 청소년 정도의 외관을 한 소녀로 정황상 이브와 아담과 같이 다니는 동료나 보호대상으로 보인다. 여담으로 다른 캐릭터에 비해 지나치게 성우의 연기톤이 튀어서 불호 의견이 많은 편이다.[* 트레일러로 공개된 릴리의 목소리가 전형적인 일본식 [[모에]] 캐릭터 톤이라서 진중한 톤인 다른 캐릭터나 음울한 아포칼립스 세계관과 괴리감이 크다는 감상이 많다.] 이름인 릴리는 [[릴리스]]에서 따온 것으로 추정된다. * '''오르칼''' {{{-1 - 성우: [[설영범]]}}} 두 번째 트레일러에서 공개된 캐릭터. 인류 최후의 도시인 자이온의 지도자를 맡고 있는 노인으로, 수명을 초월해 연명하기 위해서인지 머리와 상반신을 비롯해 몸 대부분이 기계화되어 있으며 몸을 다른 기계에 연결하고 있는데 이 모습이 제법 섬뜩하다. 이브에게 지구를 네이티브에게 빼앗겼을 당시의 일을 얘기하면서 이번엔 우리를 구원할 수 있겠냐고 묻는다. * '''NA:TIVE''' [[에일리언 아포칼립스|인류를 지구에서 몰아낸]] 침략자 세력. 네이티브라고 읽는다. 지구는 네이티브의 침공으로 큰 피해를 입었고 상류층은 궤도 콜로니로 탈출, 지구에 남겨진 하층민들은 대다수가 몰살당해 일부 생존자만 남아있는 상태다. 이런 절망적인 상황에서 다시 지구를 되찾기 위해 프로젝트 이브가 시행된다. 기계나 생명체에 끈적거리는 검은 액체가 들러붙은 듯한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인간과 비슷한 정도부터 우주정거장을 뒤덮은 거대한 규모까지 천차만별이다. 게임 내 등장하는 보스급 몬스터들은 조각상을 깎은 뒤 그걸 3D 스캔하여 구현하는 방식으로 만들고 있다고 한다.[[https://twitter.com/ProjectEVE01/status/1436548502025228288|#]] 등장한 네이티브 모두 괴물의 외형을 하고 있지만 트레일러 끝 부분에서 주인공 이브와 흡사한 외모를 가졌으나 알파 네이티브라고 불린 인간 혹은 이브가 등장한다.[* 네이티브가 기계나 시체에 들러붙어서 조종하는 특성을 보이고 첫번째 트레일러 3분 25초 부분에서 팔이 변형된 알파 네이티브가 나오는 것으로 보아서 네이티브가 이브에 기생한 것으로 추정된다.] == 평가 ==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ddd 플랫폼}}}''' || '''{{{#fff,#ddd 메타스코어}}}''' || '''{{{#fff,#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333; font-size: 0.75em" [[플랫폼|{{{#ffffff 플랫폼}}}]]}}}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플랫폼, code=타이틀명, (g= or y= or r=), score=메타스코어)]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플랫폼, code=타이틀명/user-reviews, (g= or y= or r=), score=유저 점수)]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고유번호, title=타이틀명, rating=레이팅, average=평론가 평점, recommend=평론가 추천도)] == 흥행 == == 기타 == * 두 번째 트레일러에서 릴리가 아담에게한 대사인 '그건 신성모독이에요!'는 일종의 성우장난이다. 아담 역의 정재헌 성우가 [[디아블로 3]]에서 연기했던 [[임페리우스]]의 명대사이기 때문. * 작품의 메인 성우진인 [[박리나]], [[정재헌]]은 모두 같은 제작사 게임인 [[데스티니 차일드]]에 캐스팅된 바 있다. * 스토리 트레일러가 공개된 뒤 [[데스티니 차일드]] 초창기에 [[메갈리아]] 관련 사건으로 퇴사한[* 2022년 기준으로 6년 전.] 일러스트레이터인 루키아나가 아직도 원한을 가지고 있는지 스텔라 블레이드를 보이콧 해달라고 트윗을 했다가 외국인들의 조롱만 받은 사건이 있었다. [[데스티니 차일드/사건 사고#s-2.2.2|해당 항목 말미]] 참조. * 같은 개발사 시프트업이 [[승리의 여신: 니케]]로 일본에서 매출을 제대로 뽑아내면서 스텔라 블레이드 개발만 하면 되는 상황에서 시프트업의 IPO(주식 상장)이 내년으로 확정되었다. 그러나 서비스 종료 사유는 모르지만 현재로써는 매출이 안 나오는 것으로 추정되는 [[데스티니 차일드]]를 갑자기 서비스 종료를 하는 등 행보를 보인다. 또한 데차와 본작 개발진들이 니케 개발진과 함께 차별과 푸대접을 받았다는 글도 나오는 바람에 이 게임이 사실상 시프트업의 사운을 건 게임이라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다.[* 가뜩이나 니케도 개발사 시프트업과 퍼블리싱 레벨 인피니트의 막장 운영으로 민심은 좋지 않은데다가 버그 픽스도 느려서 가용 가능한 모든 개발자를 스텔라 블레이드 개발에 쏟아 넣는것 아니냐는 의혹을 유저들이 거론할 정도다. 그런 스텔라 블레이드가 시프트업이 상정한 것보다 저조한 판매량을 기록한다면 시프트업은 다른 차기작 모바일게임을 내놓을때까지 니케로 어떻게든 매출을 당겨서 회사를 존속시켜야 할 상황이 도래한다.] 시프트업의 공식 FAQ에서도 연내 출시 여부가 4분기 진입 시점에서도 미정이라고 답하여 2023년 발매는 불발이 확정되었다. == 외부 링크 == * [[http://shiftup.co.kr/EVE/|티저 홈페이지 및 개발자 모집 페이지]] *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92926/|디스이즈게임 기사 시프트업 신작 2종]] * [[http://www.thisisgame.com/webzine/special/nboard/5/?n=92927|디스이즈게임 기사 질의응답]] [[분류:액션 게임]][[분류:오픈 월드]][[분류:한국 게임]][[분류:소니 인터랙티브 엔터테인먼트]][[분류:PlayStation 5 전용 게임]][[분류:공개 전 정보(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