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일:external/bluedevil.uatu.net/star_labs.jpg]] [목차] == 개요 == S.T.A.R. Labs [[DC 코믹스]]에 등장하는 단체. 정식 명칭은 "[[과학]] 기술 고급 연구소(The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d Research Laboratories)"지만 흔히 스타 연구소로 줄여 쓴다. 1971년 [[슈퍼맨]]에서 처음 등장한 이후, DC 세계 곳곳에 있다고 나온다. 스타 연구소는 [[과학자]] 개리슨 슬레이트(Garrison Slate)가 설립했으며, '''정부와 기업의 간섭을 받지 않는, 국경을 초월한 연구소'''를 목표로 삼았다. [[미국]]은 물론이고 [[유럽]], [[캐나다]], [[호주]], [[일본]] 등 세계 각지에 연구 시설이 있다. 개중 가장 유명한 곳은 [[메트로폴리스]](Metropolis)에 있는 [[연구소]]다. 이 메트로폴리스는 슈퍼맨이 있는 도시인데... 좀 안 좋은 의미로 유명하다. 툭하면 [[빌런]]들이 슈퍼맨하고 싸울 장비를 갖춘답시고 연구소를 털지를 않나, 심지어 [[렉스 루터]]가 [[현질]]한 적도 있다. 그 밖에 제1대 [[플래시]]인 [[제이 개릭]]이 활동하는 키스톤(Keystone) 시, [[샤잠]]이 활동하는 포셋(Fawcett) 시에도 있다. 물론 [[고담(DC 코믹스)|고담]]시에도 있는데, 이 쪽 연구소는 '''무기''' 연구에 특화되어 있다. 또한 [[틴 타이탄즈]]의 [[사이보그(DC 코믹스)|사이보그]] 스토리에 연관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부모님]]이 둘 다 스타 연구소 직원이었고, 아들인 빅터가 사고를 당하는 바람에 연구소에서 사이보그로 만든 것이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Victorgin.png]] 다른 틴 타이탄즈 멤버인 [[스태틱 쇼크]]가 스타 연구소 맨하튼 지부에서 인턴으로 일하고 있다. == [[CW버스]] ==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S.T.A.R._Labs.png|width=500]] ~~시즌 2 에피소드 1에서 보안을 강화시켰는데도 개나 소나 다 들어오는 스타 연구소~~ [[플래시(드라마)|플래시]]에서 본격적인 등장을 했으며, [[해리슨 웰스]]가 [[입자가속기]]를 만들기 위해 만든 연구소로 등장한다. 입자 가속기 폭발 사건 이후로는 해리슨 웰스와 [[케이틀린 스노우]], [[시스코 라몬]]만 빼고 전부 철수했지만, 아직까지 최첨단 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고 소개되어진다. 정식 명칭은 "과학기술차세대 연구소(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dvanced Research Laboratory, S.T.A.R. Lab)". 사실 해리슨 웰스는 이 연구소의 이름을 자신의 약혼자인 테스 모건의 이름을 따서 "과학연구, 기술공학 연구소 : 테스 연구소(The Technological Engineering Scientific Studies Laboratory, T.E.S.S. Lab)"로 하려고 했으나 테스가 스타 연구소로 명명했다. 아직까지도 입자 가속기 시설이 있는데, [[범죄]]를 저지른 메타휴먼들을 수용하는 장소로 개조되어 이용되어진다. [[애로우(드라마)|애로우]]에서도 과학기술 관련 문의나 최첨단 장비의 등장 이유, [[그린 애로우(CW버스)|올리버 퀸]]의 새로운 장비를 제작할 때 자주 인용되며, 이 때 시스코 라몬이 대부분의 자문을 담당한다. 애로우 시즌 2 에피소드 19의 묘사에 의하면 [[스타 시티]]에 물품 창고가 있었으나, 입자 가속기 폭발 사건으로 인해 철수하게 된다. 플래시 시즌 2에서는 [[지구-2]]의 스타 연구소가 등장하는데, 여기서도 설립자는 해리슨 웰스이며 1991년에 창설되었다. [[인공지능]], [[유전자]], 메타휴먼 연구를 하고 있으며, 메타휴먼의 존재를 감지하는 [[시계]] 형태의 '메타휴먼 앱'을 만들어 엄청난 돈을 벌었다. 또한 'CFL 쿼크 물질'처럼 [[배리 앨런(CW버스)|배리]]의 세계인 지구-1에서는 아직까지 개념이나 이론상만으로만 존재하던 여러 가지 물질들이나 기술들을 발견 혹은 개발했거나 연구 중에 있다. 또한 지구-2의 스타 연구소에서도 입자가속기가 폭발하면서(...) 대량의 다크매터(암흑물질)를 [[센트럴 시티(DC 코믹스)|센트럴 시티]]에 방출시켰고, 그 결과 '''[[제이 개릭(CW버스)|플래시]],''' '''[[줌(CW버스)|줌]],''' [[케이틀린 스노우|킬러 프로스트]], [[로니 레이먼드|데스스톰]], [[시스코 라몬|리버브]], 닥터 라이트, 아톰 스매셔, 킹 샤크, 지오맨서,[* 시즌 2 에피소드 13, 에피소드 14에 등장한 메타휴먼. 단 이 에피소드에서 등장한 지오맨서는 배리의 세계인 지구-1의 빌런으로, 제이의 세계인 지구-2의 지오맨서는 이미 죽은 상태다.] [[로럴 랜스#s-3|블랙 사이렌]], 럽쳐(지구-2의 단테 라몬) 등의 수많은 메타휴먼을 만들게 된다. 다만 지구-2에서는 입자가속기 폭발로 인한 피해를 잘 수습한 건지 아니면 대량의 다크매터 방출만 있었을 뿐 사상자는 별로 없어서 그런 건지 지구-2의 사람들은 해리슨 웰스와 스타 연구소에 호의적인 편. [[슈퍼걸(드라마)|슈퍼걸]] 시즌 1 에피소드 18에 따르면 슈퍼걸의 지구에도 센트럴 시티는 있지만 스타 연구소는 없는 모양이다. == [[DC 확장 유니버스]] == DCEU 세계관에서는 미국 국방부 소속으로 메트로폴리스에 추락한 크립톤 우주선의 잔해 주변에 연구소 건물이 지어져 외계 기술들을 연구하는 목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빅터 스톤의 아버지인 사일러스 스톤 박사도 이곳에 근무하는 연구자 겸 소장으로 교통사고로 하반신을 비롯한 신체의 절반 이상을 잃은 아들을 살리기 위해 이곳에서 마더 박스로 실험을 한 덕분에 패러데몬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스나이더 컷의 엔딩에선 사일러스 스톤 박사의 조수였던 라이언 최가 사일러스의 후임 소장으로 부임한다. [[더 수어사이드 스쿼드]]에서도 언급된다. 폴카도트맨의 어머니가 이 곳 소속이였다고 하며, 슈퍼 히어로에 대한 집착으로 자식들을 실험했는데 폴카도트맨을 비롯해서 몇명은 살기는 했지만 대부분 실험을 하다가 죽었다고 한다. [[분류:DC 코믹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