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 아래의 카드들은 공통적으로 몬스터를 견제하는 효과와, 묘지에 보내지더라도 다음 자신의 턴에 제외해서 효과를 쓸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목차] == 스킬 석세서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3843_1.jpg]] || 한글판 명칭 ||'''스킬 석세서'''|| || 일어판 명칭 ||'''スキル・サクセサー'''|| || 영어판 명칭 ||'''Skill Successor'''|| ||<-2> 일반 함정 || ||<-2>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한다.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선택한 몬스터의 공격력은 400 포인트 올린다. 또한, 묘지에 존재하는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는 것으로, 자신 필드 위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몬스터 1장의 공격력은 이 턴의 엔드 페이즈시까지 800 포인트 올린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으며, 자신의 턴에만 발동할 수 있다.|| 1번째 효과는 수수하지만 어쨌든 간에 묘지로 가도 큰 손해는 없으므로, 일단 세트해 두어도 큰 손해는 보지 않는다. 2번째 효과는 상대의 턴과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못 쓰기 때문에 [[돌진(유희왕)|돌진]]처럼 기습적으로 상대의 의표를 찌르기는 힘들다. 이는 [[브레이크스루 스킬]]도 같다. 일러스트에 있는 것은 [[바바리안(유희왕)|바바리안 2마리]]. 원작 사용자는 [[후도 유세이]], [[로튼]]. 1번째 효과는 어이없게도 발동하자마자 [[스타더스트 드래곤/버스터]]로 무효화시켜서 묘지로 도망가는 용도로 사용했으며, 2번째 효과는 마지막에 스타더스트 드래곤의 공격력을 [[레드 데몬즈 드래곤]]보다 높게 만들어서 [[싱크로 디스트럭터]]의 효과로 [[잭 아틀라스]]를 발라버리는데 사용했다. 로튼은 첫 턴부터 세트하여 개틀링 오우거의 효과로 묘지로 보낸 후에 2번째 효과를 사용해 빅 캐논 오우거의 공격력을 올려 [[터렛 워리어]]를 파괴했다. 최초로 묘지에서 자신을 제외해 효과를 사용하는 카드지만, 정작 애니메이션 본편에서는 블랙 윙이 최초의 카드인 마냥 호들갑을 전부 가져가 버렸다. == [[브레이크스루 스킬]] == 문서 참조. == 스킬 프리즈너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15181_1.jpg]] || 한글판 명칭 ||'''스킬 프리즈너'''|| || 일어판 명칭 ||'''スキル・プリズナー'''|| || 영어판 명칭 ||'''Skill Prisoner'''|| ||<-2> 일반 함정 || ||<-2>자신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선택하고 발동할 수 있다. 이번 턴 선택한 카드를 대상으로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또한 묘지의 이 카드를 게임에서 제외하고, 자신 필드 위의 카드 1장을 선택해서 발동할 수 있다. 이번 턴, 선택한 카드를 대상으로 발동한 몬스터의 효과를 무효로 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대상 지정 몬스터 효과를 1턴 동안 무효로 한다. 턴 전체에 적용되는 프리 체인 효과이지만 효과의 특성상 상대 몬스터의 효과에 체인으로 발동시키는 경우가 아니라면 실용성이 없기 때문에 프리 체인으로서 가지는 의미는 적다. 1장을 대상으로 지정하는 효과만 막을 수 있는데다가 상대 몬스터를 제거하는 것은 아니고, 마법 / 함정은 터치하지 않기 때문에 직접적인 어드밴티지를 제공하는 카드는 아니지만, 상대에 의해 어드밴티지 손해를 볼 수 있는 상황을 제한적이지만 2번 회피할 수 있게 해주는 카드인지라 간접적으로 어드밴티지 관리에 도움을 준다. 일반적인 대상 지정 카운터 카드들과는 다르게 마법 / 함정이나 뒷면 표시의 몬스터도 보호할 수 있으며, [[브레이크스루 스킬]]과는 다르게 상대 턴에도 묘지에서의 발동이 가능하다는 점은 확실한 장점. 발매 당시에는 [[엑시즈 소환]]을 주력으로 삼는 덱들이 대세였고, [[세이크리드 프레아데스]]나 [[신룡기사 펠그란트]], [[No.11 빅 아이]], [[No.101 사일런트 아너즈 아크 나이트]]처럼 대상 지정으로 강력한 효과를 자랑하는 카드들을 많이 사용하는 추세였기에 이러한 덱들을 상대로 강력한 성능을 보였다. 이후에도 [[조총사 카스텔]] 같은 엑시즈 소환의 강세가 꽤 오래 이어졌고 [[링크 소환]] 시대 이전까지는 적지만 꾸준히 수요가 있었다. 발매 당시를 기준으로 보면 [[BK(유희왕)|BK]] 덱, [[라이트로드]] 덱과의 궁합이 좋은 카드다. 전자의 경우 유명한 [[BK 구속만병 리드블로]]를 파괴 이외의 효과로부터 지키는데 안성맞춤이고, 후자의 경우에는 갈려서 묘지에 보내져도 패에 잡혀도 유용하게 쓸 수 있다. 그렇지만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를 필두로 한 비대상 카드들은 항상 주의. 심지어 이 카드가 묘지에 존재할 경우 빙결계의 용 트리슈라에 의해 제외되어 재활용이 봉쇄당하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실로 천적 수준. 일러스트는 [[멘탈 드레인]]에서 이어지며, [[심연의 명왕]]이 가로챈 영혼으로 [[AT 필드]] 모양 방어막을 펼쳐서 [[소생 마왕 하데스|하데스]]가 발사한 청백색 광선을 막고 있다. 자신만만해하는 명왕과 어이없어하는 하데스의 표정의 대비가 깨알같다. [[명왕결계파|그리고 하데스가 발사한 광선을 막고 있던 명왕은 오히려 광선을 하데스에게 발사해서 하데스를 역관광해버린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 || LVAL-KR078 || [[레어]] || 한국 || 한국 최초수록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JP078 ||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 [[레거시 오브 더 밸리언트|Legacy of the Valiant]] || LVAL-EN078 || [[슈퍼 레어]] || 미국 || 미국 최초수록 || == 융폭 == [[파일:external/www.ka-nabell.com/card100035305_1.jpg]]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 명칭=융폭, 일어판 명칭=融爆(ゆうばく), 영어판 명칭=Induced Explosion, 효과1=①: 자신 필드의 카드가 마법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효과2=②: 자신 필드의 카드가 마법 카드의 효과로 파괴되었을 때\, 묘지의 이 카드를 제외하고\, 상대 필드의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이 효과는 이 카드가 묘지로 보내진 턴에는 발동할 수 없다.)] 참고로, [[기폭수 볼캐논]]의 효과명이 융폭이었다. 발음 자체는 유폭과 동일. 아마 효과를 여기서 따왔을 가능성이 있다. 효과의 발동 조건 상, 마법으로 자신의 카드를 파괴할 일이 많은 [[염왕]]이나 [[아티팩트(유희왕)|아티팩트 덱]] 같은 데에서 쓰면 좋다. 상대의 [[블랙홀(유희왕)|블랙홀]]이나 [[싸이크론]], [[트윈트위스터]] 등을 낭비시킬 수 있다.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극장판]]에서 [[어둠의 유우기]]가 발동한 [[디멘션 매직]]으로 [[카이저 블러드 볼스]]가 파괴되었을 때 [[카이바 세토]]가 발동하여 [[진 궁극의 푸른 눈의 백룡]]을 속박한 [[극장판 유희왕 더 다크 사이드 오브 디멘션즈/미 OCG화 카드|타임 체인]]을 파괴했다. '''수록 팩 일람''' || '''수록 팩''' || '''카드 번호''' || '''레어도''' || '''발매국가''' || '''기타사항''' || || [[유희왕 THE DARK SIDE OF DIMENSIONS MOVIE PACK]] || MVP1-JP009 || [[KC 레어|KC]] [[울트라 레어]] || 일본 || 세계 최초수록 || [각주] [[분류:유희왕/OCG/일반 함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