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일본]]의 포크 [[밴드]] == [[파일:attachment/스키마스위치/11.jpg]] [[http://www.office-augusta.com/sukimaswitch/|공식 홈페이지]] スキマスイッチ 좌측부터 '''도키타 신타로'''(常田真太郎, 건반, 코러스, 프로듀스)[* 처음엔 [[아프로]] 헤어로 시작해 강렬한 인상을 심어주었는데, [[솔로]] 활동 때부터 풀고 그 후로는 주로 [[모자]]를 쓰고 다닌다. 원래 불편해서 진작 풀고 싶었는데, [[소속사]] [[사장님]]이 조금 더 하고 다니라고 했다고.][* J리그 프로축구팀인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팬으로, Hello especially에서 두 멤버가 [[가와사키 프론탈레]] 유니폼을 입고 등장하는 장면이 있다. 거기다 [[가와사키 프론탈레]]의 원 클럽맨인 '카와무라 켄고'와도 친하며, 싱글 さいごのひ의 B-side인 human relations의 배경 피아노 연주는 도키타 신타로가 카와무라 켄고에게 바치는 피아노 곡이라고 한다.(나레이션의 내용은 보컬인 오하시 타쿠야가 어린 시절부터의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오오하시 타쿠야'''(大橋卓弥, 보컬, 기타)[* 초기엔 [[아라시(아이돌)|아라시]]의 멤버 [[니노미야 카즈나리]]가 본인과 닮아서 놀랐다고 하는 둥 그럭저럭 잘생긴 얼굴이었으나 [[솔로]]활동을 전후로 살찌고 [[수염]]도 길러서 후덕한 아저씨가 되었다.][* 음색에 독특한 특징이 있어서 쉽게 따라하기 어렵다.] 이 두 명으로 이루어져 있다. 둘 다 [[아이치현]] 출신이지만 멤버 둘의 사이가 좋지 않은 것 같다는 추측이 많았다. 공식 프로필에는 오하시 쪽에서 도키타에게 곡을 의뢰한 게 계기가 되었다고 되어 있지만, 오하시는 '''도키타의 사기로 눈깜짝할 사이에 갑자기 듀엣이 되어있었다'''고 주장한다. 사실 둘 다 틀린 말은 아닌데, 원래 오오하시 타쿠야는 길거리 [[라이브]]를 하며 실력을 키우며 [[솔로]]로 데뷔할 생각을 하고 있었는데, 그 때 타쿠야가 작곡한 곡을 CD로 만들어 보려고 토키타 신타로에게 [[편곡]]을 맡겼다. 이전부터 오오하시와 함께 하고 싶었던 토키타는 편곡을 맡아 주었고, 그렇게 만들어진 곡 중에서 오오하시가 작곡하고 토키타가 편곡한 곡이 큰 호평을 받았다. 그 때 ‘함께 하는 친구?’라는 질문을 듣고 토키타가 그렇다고 말한 바람에 그 둘은 함께 하게 되었다.[* 실은, 토키타와 오오하시가 처음 만났을 때 토키타는 [[피아노]]를 막 배우기 시작하던 때라 오오하시보다 못 쳤다고 한다. 그래서 오오하시는 토키타가 그리 탐탁하지 않았었다고.] [[2003년]]에 [[메이저]] 활동을 시작해 [[2007년]]에 베스트 앨범을 내고 휴지 선언, [[2008년]]엔 각자 이름을 걸고 [[솔로]]활동을 했으나 [[2009년]]에 결성 10주년을 기념, 다시 스키마스위치로 활동하고 있다. 이들이 [[2005년]]에 부른 [[전력소년]]이라는 곡이 대 히트를 쳐서 [[코나미]]의 음악게임 [[기타프릭스]]&[[드럼매니아]], [[응원단 시리즈]], 그리고 [[유비트]]에도 수록된 바가 있다. [[도쿄 마블 초콜릿]]에도 삽입되었다. 전력소년에 의해 묻혔지만, 이와 같이 수록된 앨범에 "キレイだ(아름답다)"라는 노래가 있는데, 이 노래에 작은 해프닝이 있었다. 이 노래는 [[2004년]]에 일본의 아이돌그룹인 '''[[w-inds]]가 같은 이름으로 불렀던 노래'''인데, 1년 뒤인 [[2005년]]에 스키마스위치가 앨범에 수록한 노래가 가사도 똑같고, 가사의 멜로디도 매우 유사하며, 심지어 w-inds의 노래는 CM으로도 사용되어 유명한 노래였다. [[표절]]이라 하기엔 너무나 노래가 비슷하고, 유명했던 노래라 당시 대중들은 "커버곡이겠거니" 하면서 역으로 [[표절]]이라 생각하지 못할 정도였다. 그러나 사실은 キレイだ는 스키마스위치의 노래였고, '''[[w-inds]]의 キレイだ는 스키마스위치가 자신들의 곡을 어레인지하여 제공해준 것'''이었다[* 이를 알고 다시 [[w-inds]]의 キレイだ를 들어보면 확실히 스키마스위치 노래들의 리듬이 느껴진다.]. 이에 대해 몇년 뒤 인터뷰 자리에서 "[[w-inds]]에게 제공해준 게 이렇게 유명해질 줄 알았으면 노래 주지 말고 우리만 부를 걸" 하고 후회하면서 본인들의 [[앨범]]도 수록했다고 반쯤 농담섞인 말을 한 적이 있다. 이외에도 [[도라에몽]] 극장판인 진구의 공룡대탐험 2006의 주제가 나의 노트(ボクノート)[* 일부는 '나의 목소리(僕の音/보쿠노오토)'라고 알고 있지만, '노'뒤에 붙는건 '오'가 아니라 장음이므로, 노트로 해석하는게 맞다. 가사중에 저 단어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헷갈린 만도 하지만, 이는 [[동음이의어]]를 활용한 것이다. 영문도 'boku note'로 되어 있다.], [[강철의 연금술사 FULLMETAL ALCHEMIST]]의 주제곡을 부른 밴드로도 알려져있다. 3기 오프닝으로 사용되었으며, 제목은 '골든 타임 러버(ゴールデンタイムラバー)'[* 흔히 'Golden Time Lover'로 해석되는 경우가 잦은데, [[아이튠즈]]나 보도 자료에서 확인 가능한 공식 영문 제목은 'Golden Time '''Rubber''''다. 다만, [[넷플릭스]]의 강철의 연금술사 브라더후드 영문판 오프닝 크레딧에서는 'GOLDEN TIME '''LOVER''''로 표기된다.]이다.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극장판|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극장판]] 13기 '환영의 패왕 조로아크' 주제곡도 불렀다. 곡명은 「아이스크림 신드롬(アイスクリームシンドローム)」. [[은수저 Silver Spoon]] 1기의 엔딩도 불렀다. [[http://www.youtube.com/watch?v=-5K5II52frQ|뮤비]] [[하이큐!!]] 1기 2쿨 오프닝도 불렀다. 제목은 「Ah Yeah」. 인터뷰에 따르면 '아우예'로 읽어야한다고.. 또한, [[나루토 질풍전]]의 오프닝에도 참가했는데, 제목은[[LINE(노래)|LINE]]. スフィアの羽根라는 곡은 [[2006년]] 여름 고시엔 공식 로고송이었다. [[카나데(노래)|카나데]](奏)라는 곡이 유명한데, 하즈키 맛차의 일상,순정 만화 원작의 애니메이션 [[일주일간 친구]]에서 주연 성우 [[아마미야 소라]]가 리메이크해서 불렀다. 스키마 스위치와 아마미야 소라가 같은 무대에서 같은 곡을 함께 부르기도 하였다. [[https://youtu.be/Mzu8uOoPY4M|Live on Utage 라는 프로그램]] [[슈퍼주니어]]의 [[규현]]도 라이브 콘서트에서 부르기도 했다. [[https://youtu.be/AIzow3jaVMc|영상]] 이후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의 [[하야미 카나데|하야미 '''카나데''']]가 커버하기도 했다. 또한, 카나데(奏)는 [[2006년]] 여름 고시엔 엔딩곡으로도 사용되었다. [[사이토 유키(1988)|사이토 유키]]가 [[다나카 마사히로]]를 결승전 재경기 9회 2아웃에서 삼진으로 잡아낸 그 대회이다. [[데레스테]]에서는 그 은수저 1기 엔딩곡인 [[Hello Especially]]가 [[카와시마 미즈키]]가 커버한 것으로 [[2020년]] [[6월 10일]]에 수록곡으로 발매 되었다. == [[동방 프로젝트]]의 [[2차 창작]] == [[동방 프로젝트]]의 [[2차 창작]] [[동인서클]]인 [[하루나츠 아키토|happy flame time]]에서 제작한 [[플래시]]. [[음악]] 및 효과음은 [[dBu music]]에서 담당. 항목 1과는 전혀 관계가 없다. [[https://flasharch.com/ko/archive/play/b6bfd10c57334eb3cc7e4bee5fbe36b4|링크]] ([[플래시아크]] 백업본) [[https://www.nicovideo.jp/watch/sm13100420|최신 업데이트까지 반영된 스키마 스위치 영상 모음]]. 오른쪽 아래의 구석의 스키마를 누를때마다 문이 닫혔다 열리면서 홍마향~성련선 + α의 캐릭터 등장하며 랜덤한 액션을 선보인다. 장지문 너머(혹은 장지문 바깥에서도) 정말 별별 일이 다 일어나는데, 장지문이 아무 일도 없다는 듯이 무심하게 열렸다 닫히는 것이 포인트. 가끔 아무것도 나오지 않지만, 그건 원래 그런 패턴이 있는 거니 이상해 할 것 없다. 어느샌가 귀찮은 사람들을 위한 ''오토 스키마 스위치''가 나왔다. 대부분의 장면들이 균일한 확률로 지정돼있지만, 등장확률이 낮은 레어 씬과 유니크 씬이 있기도 하다. [[분류:동음이의어]][[분류:일본 남가수]][[분류:아이치현 출신 인물]][[분류:동방 프로젝트/동인 게임]][[분류:플래시 게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