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오클랜드 애슬레틱스/로스터)] ---- ||
'''{{{#FFFFFF 스캇 에머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MLB 투수코치)] ---- ||
'''{{{#FFFFFF 스캇 에머슨의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65번}}}''' || || [[페드로 피게로아]][br](2012~2013) || {{{+1 →}}} || '''{{{#003831 스캇 에머슨[br](2015~2017)}}}''' || {{{+1 →}}} || [[세스 브라운]][br](2019) || ||<-5> '''{{{#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ffffff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등번호 14번}}}''' || || [[마이크 알드레티]][br](2015~2017) || {{{+1 →}}} || '''{{{#003831 스캇 에머슨[br](2018~)}}}''' || {{{+1 →}}} || [[현역#s-2]] || }}}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에머슨.png|width=100%]]}}} || ||<-2>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No.14''' || ||<-2> '''{{{#003831 {{{+2 스캇 에머슨}}}[br]Scott Emerson}}}''' || || '''본명''' ||스캇 매슈 에머슨[br]Scott Matthew Emerson || ||<|2> '''출생''' ||[[1971년]] [[12월 22일]] ([age(1971-12-22)]세) || ||[[메릴랜드주]] [[볼티모어]]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 || '''출신학교''' ||섀도우 마운틴 고등학교 - 스캇스데일 커뮤니티 대학교 || || '''신체조건''' ||180cm / 79kg || || '''포지션''' ||[[투수]] || || '''투타''' ||[[좌투양타]] || || '''프로입단''' ||1991 MLB 드래프트 40라운드 (전체 1044번 / [[볼티모어 오리올스|BAL]]) || || '''소속팀''' ||[[볼티모어 오리올스|볼티모어 오리올스 산하 마이너]] (1992~1995)[br][[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1995~1996)[br]리오 그란데 벨리 화이트윙스[* 텍사스-루이지애나 독립리그 소속팀] (1997)|| || '''지도자''' ||GCL 파이리츠[*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루키 팀] 투수코치 (2000)[br]윌리엄스포트 크로스커터스[*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싱글A팀] 투수코치 (2001~2002.11)[br]모데스토 애슬레틱스[*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하이A 팀. 현재 명칭은 모디스토 넛츠로, 시애틀 매리너스 산하.] 투수코치 (2003~2004)[br][[스톡턴 포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싱글A팀] 투수코치 (2005~2006)[br]피닉스 데저트 독스[* [[애리조나 가을리그]] 소속팀] 투수코치 (2005)[br][[미들랜드 락하운즈]][*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AA팀] 투수코치 (2007~2010)[br]사크라멘토 리버캣츠[* 오클랜드 애슬레틱스 산하 AAA팀] 투수코치 (2011~2012)[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마이너리그 피칭 코디네이터 (2013~2014)[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불펜코치 (2015~2017.06)[br]'''[[오클랜드 애슬레틱스]] 투수코치 (2017.06~)''' || [목차] [clearfix] == 개요 == 미국의 전 야구선수. 현재는 [[메이저 리그 베이스볼]] 오클랜드 애슬레틱스의 투수코치로 활동하고 있다. == 선수 경력 == === [[볼티모어 오리올스|볼티모어 오리올스 산하 마이너]] === 선수로서 빅리그에서 뛴 기록이 없다. 1990년 드래프트에서 [[샌디에이고 파드리스]]에 21라운드로 지명받았으나 대학 진학을 선택했다. 하지만 다음 해 드래프트에서 볼티모어 오리올스에 오히려 더 하위라운드인 40라운드 전체 1044번으로 지명받아 프로에 입단하게 된다. 볼티모어 마이너에서는 4년간 활동하였다. === [[보스턴 레드삭스|보스턴 레드삭스 산하 마이너]] === 1995년 시즌 도중 보스턴으로 이적한다. 하지만 보스턴에서 퇴단하는 1996년까지 AA에서만 뛰었다. 결국 빅리그는 커녕 AAA 마운드도 밟아보지 못하고 독립리그로 무대를 옮긴다. === 리오 그란데 벨리 화이트윙스 === 1997시즌 텍사스-루이지애나 독립리그의 리오 그란데 벨리 화이트윙스에서 활동하였으나, 22.1이닝 ERA 6.04의 성적만을 남긴 채 선수 생활을 마무리한다. == 지도자 경력 == 2000년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루키팀 GCL 파이리츠의 투수코치를 맡으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다. 이후 피츠버그 파이리츠 산하 마이너의 코치로 활동하다가 2002년 11월 오클랜드 산하 마이너로 자리를 옮겼고, 약 10년간 싱글A에서 AAA까지 많은 팀들의 투수코치를 맡았다. 2012년 11월부터 2014년까지는 마이너리그 피칭 코디네이터로 보직을 이동하여 활동했고, 2014년 11월 불펜 코치로 자리를 옮겼다. 2017년 6월 기존 투수코치 [[커트 영]]이 경질되자 후임 투수코치로 선임되어 현재까지 활동하고 있다. 2004년 비시즌에는 멕시코 리그 팀인 Los Mochis Caneros의 투수코치로 잠시 재직했고, 2005년에는 애리조나 가을리그 피닉스 데저트독스의 코치로 선임되기도 했다. 2009년부터 매년 비시즌에는 유럽 지역의 어린 야구 꿈나무들을 기르는 Purpose Driven Baseball의 피칭 컨설턴트로 일한다. == 관련 문서 == * [[야구 관련 인물(MLB)]] [[분류:미국의 야구 선수]][[분류:볼티모어 출신 인물]][[분류:1971년 출생]][[분류:좌완 투수]][[분류:좌투양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