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06년·2009년에 방영한 동명의 애니메이션, rd1=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애니메이션, other2=코믹스, rd2=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코믹스)] [include(틀: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 ||<-5>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ffffff {{{+1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br]각 권별 순서}}}]] || || ''(시작)'' || ▶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 || ▶ || [[스즈미야 하루히의 한숨]] || ||<-2>
{{{#373a3c '''{{{+2 {{{#!html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br]{{{-2 涼宮ハルヒの憂鬱 | The Melancholy of Haruhi Suzumiya}}}}}}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ttachment/suzumiya_haruhi_no_1.jpg|width=100%]]}}} || ||<-2> '''▲ 초판 표지''' || ||<-2>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개정판 표지 ▼ {{{#!wiki style="margin-bottom: -13px;"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uzumiyaHaruhi_1.jpg|width=100%]]}}} || }}}}}}}}} || || '''장르''' ||[[판타지]], [[로맨스]], [[시간여행]] || || '''작가''' ||[[타니가와 나가루]](谷川流) || || '''삽화가''' ||[[이토 노이지]] || || '''번역가''' ||[[이덕주#s-3]] || || '''출판사'''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카도카와 쇼텐]][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대원씨아이]] || || '''레이블'''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카도카와 스니커 문고]][* 츠바사 문고와 카도카와 문고도 있다.][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NT노벨]][br][include(틀:국기, 국명=미국, 출력= )] [[https://yenpress.com/|{{{#373a3c,#ddd Yen Press}}}]][* [[KADOKAWA]] 사가 세계 3위 규모의 서적 유통회사인 Hachette Book Group과 손잡고 인수하였으며 [[늑대와 향신료]], [[소드 아트 온라인]] 등을 출간하였다.] || || '''권수'''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1권 ,,(2003. 06. 10. 完),,[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권 ,,(2006. 02. 10. 完),, || || '''ISBN'''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9784044292010[*초판·ISBN13][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4044292019[*초판·ISBN10][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9788925274898[*초판·ISBN13][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8925274892[*초판·ISBN10][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9791168946583[*개정판·ISBN13][br][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1168946581[*개정판·ISBN10] || || '''관련 사이트'''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lists/?id=haruhiism|[[파일:디시인사이드 아이콘.svg|width=25]]]]^^스즈미야 하루히 마이너 갤러리^^|| >{{{-2 ''東中出身、涼宮ハルヒ。ただの人間には興味ありません。この中に宇宙人、未来人、異世界人、超能力者がいたら、あたしのところに来なさい。以上。''}}} > >'''히가시중 출신, 스즈미야 하루히. [[일반인|그냥 인간]]에게는 흥미 없습니다. 이 중에 [[나가토 유키|우주인]], [[아사히나 미쿠루|미래인]], [[쿈|이세계인]], [[코이즈미 이츠키|초능력자]]가 있다면, 저에게로 오십시오. 이상.''' >---- >[[스즈미야 하루히]]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이하 「우울」)은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의 제1권에 해당하는 [[라이트 노벨]]로 [[타니가와 나가루]](谷川流)가 저술하였다. 흔히 시리즈 전반을 「우울」로 지칭하는 경우가 많으나, 엄밀히 말하자면 「우울」은 동일 타이틀로 발매된 라이트 노벨 1권과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만화|만화]] 및 [[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만을 지칭한다. 본래 시리즈로 만들 생각이 없었던 스니커 대상 응모작이었기 때문에, 단권만으로도 충분히 [[기승전결]]이 되어 있고 주요 등장 인물의 인물상을 완벽하게 제시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영화 [[매트릭스]] 1편과도 비슷하다.] 업계 전반을 통틀어도 매우 모범적인 작품으로 꼽히며 초보 라이트 노벨 [[작가]]들에게 자주 추천되는 책 중 하나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약간의 [[복선]]은 잔존해 있기 때문에 이를 기반으로 하는 후속작들이 지속적으로 출간되어오고 있으나 시리즈 4권인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을 제외한다면 본작에 비견할 작품이 없을 정도이다. 「우울」은 일본의 문화산업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2011년 6월 23일에 발표된 카도카와의 홍보자료에 의하면 라이트 노벨 사상 최초로 '''100만부''' 판매(전세계 종합)를 달성했으며, 애니메이션은 수많은 수상과 함께 [[하루히즘]]이라는 신조어를 만들어낼 정도로 세계적인 인기를 누렸다. 평론적으로는 「[[신세기 에반게리온]]」이 정립한 문화 사조 '[[세카이계]]'[* 포스트 에반게리온으로도 불린다]의 정점에 있다는 찬사를 듣는다. == 줄거리 == [include(틀:스포일러)] 미래인, 우주인, 이세계인, 초능력자 따위의 존재를 믿지 않는 [[키타 고등학교]] 신입생 [[쿈]]은 [[키타 고등학교]]에서 기이한 행동을 하는 [[미소녀]] 반 친구 [[스즈미야 하루히]]를 만나게 된다. 쿈과 반대로 미래인, 우주인, 이세계인, 초능력자가 자기 앞에 간절히 나타나기를 바라던 하루히는 학교 내 어떤 동아리에서도 만족하지 못하고 자신이 직접 [[SOS단]]이라는 정체불명의 서클을 만든다. 쿈은 반강제로 이 서클에 편입되며, 처음부터 부실에 있었던 문예부원 [[나가토 유키]], 하루히가 2학년 교실에서 납치해 온 [[아사히나 미쿠루]], 수수께끼의 전학생 컨셉으로 자의 반 타의 반 하루히에게 끌려온 [[코이즈미 이츠키]]가 단원이 된다. 하루히는 이들을 데리고 바보같은 활동을 계속한다. 쿈은 SOS단원 한 명 한 명과 친해지게 되고, '''이들이 각각 [[나가토 유키|우주인]], [[아사히나 미쿠루|미래인]], [[코이즈미 이츠키|초능력자]]'''임을 알게 된다. 그리고 하루히는 자신은 자각하지 못하고 있지만 사실은 자신이 생각하는대로 [[현실 조작]]을 하는 능력을 가진 [[신]]적인 존재이며, 자신이 스즈미야 하루히를 제어하고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그녀로부터 선택받았다는 사실 또한 알게 된다. 처음에는 이런 사실들을 믿지 못했지만, 쿈은 보다 먼 미래에서 온 어른 [[아사히나 미쿠루]]를 만나고, 자기 반 반장으로서 현실세계에 존재하지만 실은 [[나가토 유키]]의 [[백업]] 프로그램인 [[아사쿠라 료코]]에게 칼로 찔려 죽을 뻔하지만, 나가토 유키에게 구출되고, 코이즈미의 능력으로 [[폐쇄공간]]을 구경하여 모든 것이 사실이라는 걸 알게 된다. 그리고 하루히가 수틀리면 현실세계를 파괴하고 새로운 세계를 만들기 위해 마음 속에서 만들어내는 [[폐쇄공간]]의 [[신인]]이 존재한다는 것마저 알게 된다.[* 이 신인은 스즈미야 하루히의 정신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만약 하루히가 이 세계에 짜증을 내고 있다면 폐쇄공간을 마구 파괴하려 들며 이 신인이 폐쇄공간을 파괴하는 만큼 현실에 반동이 온다고 한다. 그래서 코이즈미 이츠키 및 그가 속해 있는 조직은 이 신인을 물리치고 부서진 폐쇄공간을 회복시키는 일을 한다. 그런데 1권 클라이맥스에서 세계를 완전히 파괴하려는 하루히에게 쿈이 키스를 한 이후 코이즈미의 말에 의하면 신인은 왠지 폐쇄공간을 파괴하는 것에 흥미를 잃고 멍하니 있다가 가끔 생각났다는 식으로 폐쇄공간을 부수는 둥 마는 둥하고 있다고 한다. ~~장하다 쿈!~~] === 결말 === 어느날 어떤 사건 때문에 우울함이 극에 달한 하루히는 전례없이 거대한 폐쇄공간을 만들어내고, 하루히와 쿈 만이 폐쇄공간 안의 학교에 남겨진다. 자신의 능력으로 가까스로 폐쇄공간 안으로 들어온 코이즈미는 하루히의 감정 상태가 전례없이 안 좋아져서 지금의 현실 세계를 파괴하고 자신이 바라는대로 '''재구축'''하려는 단계에 도달했다고 알려주고 사라진다.[*해설 쿈이 아담과 이브를 언급하는 것과 코이즈미의 쿈의 존재가 의문이라는 의견 제시, 나가토 유키의 힌트인 잠자는 숲 속의 공주를 종합하면, 하루히가 세계를 재구축하는 데에 다른 인물이 아니라 쿈을 선택한 것은 하루히가 쿈을 좋아하기 때문이다. 추측이지만, 츤데레 하루히의 성격 문제로 쿈은 그 사실을 모르고 있거나 알면서도 의도적으로 모른척 하는 상태가 지속되는 것이 지루하고 '''우울'''하기 때문에 세계를 재구축하려 한듯 하다.] 쿈은 결국 자신이 결코 세상에서 특별한 존재가 아니라는, 3년 전에 우연히 야구장에서 깨달았던 사실을 상기하며 우울에 빠진 하루히와 '''[[키스]]'''[* 애니메이션의 이 장면에서는 [[구스타프 말러]]의 [[교향곡 제8번(말러)|교향곡 8번]]의 1악장, "Veni, Creator Spritus(오소서, 창조주여)"이 사용되었으니 관심있는 사람은 유튜브를 한 번 들러보자. OST에는 수록돼있지 않다.]를 함으로써 진정시키며 결국 세계를 구하게 된다.[*해설2 이 때 쿈은 '''"나는 포니테일 모에다!"''' '''"언젠가 보았던 너의 포니테일이 아주 예뻤다.!"''' 라는 대사를 한 직후 이해하지 못하는 하루히에게 키스를 하고 폐쇄공간은 사라진다. 이 바로 뒤 장면을 보고 [[꿈 결말]]로 아는 사람도 있는데 일련의 사건들은 실제로 일어난 일이다. 그리고 (애니메이션에선 오프닝 곡이 흘러나오며)포니테일을 한 하루히를 보고 쿈이 '''"잘 어울려, 하루히."''' 라는 대사를 하며 1권이 끝난다.] == 평가 == 작품 내적으로는 이후 나온 2권 이후의 작품과 비교했을 때 명확한 기승전결이 있으며 긴장의 조성과 해소라는 예술의 기본적인 메커니즘도 매우 잘 갖추고 있다. 이는 원래는 단편으로 끝내려고 했던 것과 관련이 있다.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애니판]]에서는 나가토와 아사쿠라의 대결, 코이즈미의 초능력, 엔딩 장면이 박진감 있게 묘사되었다. TV 방영시에는 작품이 시계열 순서로 방영되지 않았지만, 우울 부분만 따로 모아서 순서대로 보면 사실 다른 시리즈를 굳이 볼 필요가 없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 단편성을 가진 내용이다. 물론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복선]]은 존재하며, 이는 이후 [[스즈미야 하루히의 소실]]을 비롯한 후속편의 소재가 된다. [[Angel Beats!]]의 여주인공 [[나카무라 유리]]가 하루히와 외모가 흡사하다. 성격에도 유사점이 있다. 이는 [[스즈미야 하루히]]라는 캐릭터가 저돌맹진형 캐릭터의 전형적인 모습을 개척했다고 해도 좋을 만큼 선구자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이다. >안녕하세요, 이제 오셨군요. 저와 함께 [[하루히]]의 마수에 빠져 드셔봅시다. >---- >옮긴이 이덕주 >저는 번역을 하면서 무척 즐겁게 [[스즈미야 하루히]]의 세계에 빠질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미약한 번역이었지만 그래도 같이 즐겨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그리고 편집부 해설 마지막에 나온 말처럼, 재미있게 보셨다면 주위에 추천, 또 추천 부탁드립니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퍼뜨리지 않는 건 죄악이라고 보는 번역자 입니다. >---- >역자 후기(이덕주) 일본 문단에서 영향력 있는 인물 [[츠츠이 야스타카]]는 라이트 노벨을 매우 혐오하는 사람인데도 이 작품은 라이트 노벨이 아닌 순문학 SF에 들어가는 작품이라고 고평가했다. 완결이 안 났지만 세상에 그런 작품은 많고 이 우울 1권만으로도 작품성이 있기 때문에 별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딱 이 1권만 고평가하는 것이다. 나중에 일러스트를 지운 문고판이 발매됐을 때는 "이게 이 작품 본연의 모습" 이라며 또 극찬을 했다. 애니메이션도 다 봤다고 한다.[[https://kadobun.jp/reviews/686.html|#]] == 어린이판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2>
'''{{{#373a3c,#dddddd 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br](카도카와 츠바사 문고)}}}''' || ||<-2> [[파일:하루히우울츠바사.jpg|width=100%]]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009년 06월 15일''' || }}} [[후리가나]]를 넣고 표현을 쉽게 바꾼 어린이판으로, 아동용 레이블인 카도카와 츠바사 문고에서 발매되었다. == 미디어 믹스 == === [[/애니메이션|애니메이션]] === [include(틀:다른 뜻1, other1=TVA 1기, rd1=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6년 애니메이션), other2=TVA 2기, rd2=스즈미야 하루히의 우울(2009년 애니메이션))] === [[/만화|만화]]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코믹스)] === [[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스즈미야 하루히 짱의 우울)] [[분류:스즈미야 하루히 시리즈/줄거리]][[분류:시간여행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