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CJ ENM)] [include(틀:스윙엔터테인먼트)] ||<-2> {{{#ffffff {{{+2 '''스윙엔터테인먼트'''}}}[br]'''SWING ENTERTAINMENT'''}}} || ||<-2> [[파일:스윙엔터테인먼트 로고 그라데이션.svg|width=200]] || || {{{#ffffff '''정식 명칭'''}}} ||스윙엔터테인먼트(주) || || {{{#ffffff '''영문 명칭'''}}} ||SWING ENTERTAINMENT Co., Ltd.|| || {{{#ffffff '''국가'''}}}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2018년 6월 8일 || || {{{#ffffff '''업종명'''}}} ||매니저업 || || {{{#ffffff '''대표'''}}}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75em" {{{#ffffff '''대표이사'''}}}}}} 조유명[* 가수 [[태진아]]의 장남(의붓아들)으로 과거 [[YMC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를 맡기도 했었다. 2019년 12월 23일 부로 [[http://kko.to/6x3QXO1YM|스윙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로 취임하였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000; font-size: 0.75em" {{{#ffffff '''설립자'''}}}}}} 신동길 || || {{{#ffffff '''모회사'''}}} ||[[CJ ENM|[[파일:CJ ENM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 {{{#ffffff '''최대주주'''}}} ||[[CJ ENM|[[파일:CJ ENM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지분 51%),,''' || || {{{#ffffff '''소재지'''}}} ||[include(틀:지도, 장소=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 26길 36, 너비=100%)] ---- [[서울특별시]] [[용산구]] [[녹사평대로]]26길 36, 2층 ([[이태원동]])|| || {{{#ffffff '''링크'''}}} ||[[http://swingent.co.kr/| [[파일:스윙엔터테인먼트.jpg|width=50]]]] [[https://post.naver.com/official_kjh|[[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20]]]] [include(틀:트위터 로고, 링크=Official_SWING/, 크기=20)] [[https://www.instagram.com/official_swing/|[[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www.youtube.com/SWINGENTERTAINMENT|[[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 [목차] [clearfix] == 개요 == [[CJ ENM]]의 자회사로 2018년에 설립된 [[연예 기획사]]. == 역사 == 2018년 설립 당시 2018년 5월까지 [[CJ ENM/엔터테인먼트 부문|CJ E&M]]으로부터 [[Wanna One]]의 매니지먼트를 위탁 받아 관리하던 [[YMC엔터테인먼트]]에서 [[Wanna One]]의 활동만을 분리 후 별도로 지원하기 위해 [[YMC엔터테인먼트]]에서 [[Wanna One]]을 담당하던 신동길 前 본부장이 독립하며 별도로 세운 회사였다. 이전까지의 공식보도에 따르면 원래 [[YMC엔터테인먼트]]가 2018년 말까지 그대로 [[Wanna One]]의 매니지먼트를 담당하기로 되어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014/0003923531|있었으나]] 2018년 중순에 스윙엔터테인먼트가 설립되어 [[Wanna One]]의 매니지먼트 관련 계약이 이관 되었다. 이후 [[YMC엔터테인먼트]]는 [[드림티엔터테인먼트]]에게 합병되어 2018년 말을 끝으로 자연소멸 되는데, 이 합병을 앞두고 [[YMC엔터테인먼트]] 소유 [[지적재산권|IP]]가 아닌 [[Wanna One]]만을 따로 분리해 정산 및 활동 지원을 관리할 필요가 생겼던 것으로 보인다. 2018년 6월 1일부터 같은해 12월 31일까지 [[Wanna One]]의 전담 소속사였다. 2018년 설립 당시에는 [[YMC엔터테인먼트]]에서 신동길 부장이 독립해서 세운 별개의 회사로, 실제로 [[https://entertain.naver.com/read?oid=109&aid=0003794121|언론 보도]]를 통해 'CJ E&M이 투자해 일부 지분을 갖고 있으나 CJ E&M의 자회사/음악 레이블/계열사는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후 CJ E&M과 CJ오쇼핑의 합병으로 [[CJ ENM]]이 출범하면서 [[http://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180706000323|공시]]를 통해 [[CJ ENM]]이 51%의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로 알려지게 되었다. 실제로 대중들은 물론 연예계 내부의 관계자들도 [[CJ ENM]]의 자회사로 인식하고 보도도 그렇게 이루어지고 있다. 2018년부터 2019년까지, 공식적으로는 [[YMC엔터테인먼트]]와 스윙엔터테인먼트는 별개의 회사였지만, [[YMC엔터테인먼트]]의 지분이 [[드림티엔터테인먼트]]로 완전히 넘어가 회사가 자연소멸된 이후부터는 사실상 [[YMC엔터테인먼트]]를 이어받은 회사로 취급 되었다. 그러다가 기존의 신동길 대표 체제에서 새로 취임한 조유명 대표 체제로 바뀐 2019년 12월 23일 조유명 대표의 스윙엔터테인먼트로써의 성격이 뚜렷해졌다. 조유명 대표가 가수 [[태진아]]의 장남이다 보니 언론보도에는 부친이라는 표현으로 [[태진아]]의 이름이 자주 거론되기도 하는데, 스윙엔터테인먼트 자체는 조유명 대표의 부친인 [[태진아]]와 직접적인 관련은 없다. 다만 부자 관계이기도 하거니와, 조유명 대표가 기존에 대표로 있던 [[YMC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태진아|진아엔터테인먼트]]와의 구분이 애매했고, [[태진아]] 본인이 스윙엔터테인먼트가 자리하고 있는 건물 1층 카페를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대외적으로는 [[아는형님|명예회장]] 정도의 느낌으로 인식되고 있다. 일례로 2020년 3월부터 스윙엔터테인먼트가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와 공동으로 매니지먼트를 맡았던[[IZ*ONE]]은 멤버가 12명으로 다인원에 속하는 그룹인데, 2020년 6월 미니앨범 3집 타이틀곡 '환상동화' 활동 당시 같은 시기 타이틀곡 '고향 가는 기차를 타고'로 음악방송 활동 중이던 [[태진아]]가 본인 몫으로 배정된 넓은 대기실을 빌려주어 [[IZ*ONE]] 본인들 이름으로 배정된 대기실과 함께 12명 멤버와 스탭들이 나눠서 사용한 적이 있다. 2019년 1월 9일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의 소속으로 되어있던 [[Wanna One]] 출신 [[김재환(가수)|김재환]]을 영입했다.[* 그러나 2023년 9월 21일, [[김재환(가수)|김재환]]은 [[CJ ENM/엔터테인먼트 부문|CJ E&M]]의 다른 자회사인 [[웨이크원]]으로 계약이 이관되었다.] 이를 통해 본격적으로 아이돌 회사로 변모하기 시작한다. --인스타 꾸미기의 서막-- 2019년 8월부터, 설립초 매니지먼트를 담당했었던 [[Wanna One]]에 이어 또 다른 [[프로듀스 X 101]] 출신 프로젝트 그룹 [[X1]] 또한 스윙엔터테인먼트가 맡아서 2020년 1월까지 매니지먼트를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421/0004066682|했었다]]. 2019년 10월 18일, 기존에는 [[원펙트엔터테인먼트|MMO엔터테인먼트]]의 매니지먼트를 받던 [[god(아이돌)|god]] [[손호영]]이 스윙엔터테인먼트와 매니지먼트 계약을 체결했다는 사실이 공식보도 되었다. [[http://mstoo.asiae.co.kr/article.php?aid=58914963224|언론보드]]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손호영]]과 스윙엔터테인먼트는 오로지 매니지먼트 계약만 체결한 것으로, 마케팅 및 콘텐츠 관리는 기존처럼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가 계속 담당한다. 때문에 [[손호영]]의 모든 언론보도 관련 자료제공은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에서 하고 있다. 포털이나 위키 검색 프로필 자체에도 소속사가 이중으로 표기된다. 2019년 12월 재결합 예정인 [[아이오아이]]의 매니지먼트를 스윙엔터테인먼트가 진행하기로 확정되었었으나 [[프로듀스 101 시리즈 투표 조작 사건|해당 사건]]으로 인해 멤버들 전원 계약 및 재결합 계획이 캔슬 [[http://naver.me/5EPEcNhM|되었다]]. 이 사태로 인해 스윙엔터테인먼트의 [[아이오아이]]의 매니지먼트 계획도 백지화 되었다. 2020년 3월 [[IZ*ONE]]의 매니지먼트를 담당해오던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와 공동 매니지먼트 제휴가 [[https://n.news.naver.com/entertain/now/article/076/0003540332|확정되었다]]. 그때까지 [[IZ*ONE]]의 미니앨범 1, 2집과 정규앨범 [[BLOOM*IZ]]까지 프로듀싱을 담당하던 [[한성수]] PD가 프로듀서 계약 만료로 빠지게 되었고, 당시까지 기존에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의 구성원으로 섞여서 일하던 [[플레디스엔터테인먼트]]의 직원들 또한 자연스럽게 [[IZ*ONE]]의 매니지먼트에 한해서 빠지게 되었다. 이를 보충하기 위한 공동 매니지먼트 제휴로 보인다.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과 마케팅 및 콘텐츠 관리를 담당하고 스윙엔터테인먼트가 매니지먼트만을 담당하는 [[손호영]]의 경우와 일정부분 비슷한 방식이다. 다만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 자체가 매니지먼트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진 레이블이라 역할이 겹치기 때문이다. 그래서 언론보도 및 매니지먼트 관련 공식입장을 낼 때에는 항상 '공동 매니지먼트' 타이틀로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와 스윙엔터테인먼트의 이름이 같이 표기가 된다. 2020년 4월 15일 [[스톤뮤직엔터테인먼트]]의 소속이던 서바이벌 프로그램 [[SIXTEEN]]과 [[아이돌학교]] 출신 연습생 [[나띠]]를 영입했다. 그리고 영입 직후인 5월 7일 [[나띠]]는 스윙엔터테인먼트 소속 첫 여자 아이돌로 데뷔하게 되었다. 이때 각각 [[SIXTEEN]]과 [[아이돌학교]]의 친분으로 [[이채연]], [[조유리]]가 함께 응원영상을 찍었다. 2020년 8월 10일 서바이벌 프로그램 [[보이스 코리아 2020]] 출신인 가수 김영흠을 영입했다. 2021년 2월 5일 비트인터렉티브와 전략적 협업관계를 맺고 아이돌 [[에이스(아이돌)|에이스]]를 공동 매니지먼트하게 [[http://mksports.co.kr/view/2021/123782/|되었다]]. 2021년 10월 29일 [[빅플래닛메이드엔터]]와 매니지먼트에 관한 전략적 제휴 업무협약을 [[https://n.news.naver.com/entertain/article/112/0003492203|체결했다]]. == 소속 아티스트 == [include(틀:스윙엔터테인먼트)] === 이전 소속 아티스트 === * [[Wanna One]] * [[IZ*ONE]] * [[X1]] * [[손호영]] * [[나띠]] * [[김재환(가수)|김재환]] === 총괄 권리 소유 아티스트 === * [[아이오아이]] - [[프로듀스 101]] 프로젝트 걸그룹. * [[Wanna One]] - [[프로듀스 101 시즌2]] 프로젝트 보이그룹. * [[IZ*ONE]] - [[프로듀스 48]] 프로젝트 걸그룹. * [[X1]] - [[프로듀스 X 101]] 프로젝트 보이그룹. || 스윙엔터테인먼트는 모회사 CJ ENM을 통하여 프로듀스 101 시리즈 그룹들의 퍼블리티시권과 그룹 결성권, 활동권 등 여타의 권리를 가지고 있다. 아이오아이, 워너원, 아이즈원, 엑스원의 공식 사진 등이 스윙의 이름으로 제공되는 것이 이 때문이다. 향후 이들의 재결성 권리와 활동권도 같이 보유 중이다. || == 지배구조 == || '''주주명''' || '''지분율''' || ||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출력= )] [[CJ ENM|[[파일:CJ ENM 로고.svg|width=60&theme=light]][[파일:CJ ENM 로고 컬러 화이트.svg|width=60&theme=dark]]]] || 51.00%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조유명 || 33.00% || ||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신동길 || 8.00% || ||<-2> {{{-2 2023년 1월 기준}}} || == 경영 실적 == ||<-4> {{{#fff '''스윙엔터테인먼트 (단위:만원)'''}}} || || '''년도''' || '''매출액''' || '''순손익''' || '''총포괄손익''' || || 2018년 || 1,915,887 || 343,179 || 343,179 || || 2019년 || 1,824,933 || 119,521 || 119,521 || || 2020년 || 492,718 || 37,495 || 37,495 || || 2021년 || 202,818 || {{{#blue,#6495ed -98,204}}} || {{{#blue,#6495ed -98,204}}} || || 2022년 || 239,913 || {{{#blue,#6495ed -55,363}}} || {{{#blue,#6495ed -55,363}}} || || 2023년[* 3분기] || 189,402 || {{{#blue,#6495ed -35,787}}} || {{{#blue,#6495ed -35,787}}} || == 논란 및 사건 사고 == [[Wanna One]]을 지원하기 위해 [[YMC엔터테인먼트]]와 별도로 설립된 회사였지만, 지원의 수준이 부족해 [[Wanna One]] 팬들의 불만은 동일하게 이어졌다. [[YMC엔터테인먼트]] 관리를 받던 시절 건물 1층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태진아]]의 입을 통해 해외팬들에게 비공개 스케쥴이 유출되었던 사건이 있었는데[* [[YMC엔터테인먼트]] 항목 참조.] 그때부터 이어진 [[사생]]에 대한 불만이 스윙엔터테인먼트라는 전담 회사가 꾸려진 후에도 계속 이어진 것이다. 사생 처리에 대한 이런 불만과 불안감은 이후 그대로 [[X1]] 매니지먼트 시절에도 이어져 팬들 사이에 스윙엔터테인먼트에 대한 안좋은 인식이 박히는 계기가 된다. 이후 [[IZ*ONE]]의 매니지먼트를 맡은 후에도 여전히 문제가 많은 운영을 보여줘 아이즈원 팬들에게도 까이고 있다. 대표적인 것이 [[얼반웍스이엔티]]의 아이즈원 악플러 고소 사건. 왜 그룹의 소속사가 아닌 멤버 개인의 소속사가 고소를 하냐며 이 일로 스윙은 대차게 까였다. === 2018년 DM을 통한 [[홈마|홈마 영상]] 삭제 요청 논란 === 2018년 6월 이후, [[Wanna One]]의 소속사가 갑자기 [[YMC엔터테인먼트]]에서 스윙엔터테인먼트로 변경되어 팬들이 어리둥절해 있던 상태에서, [[Wanna One]] [[홈마]]들에게 트위터 DM 기능을 이용해 공식 계정으로 [[직캠]] 영상을 내릴 것을 요구한 사건이 발생했는데 이에 당시 [[Wanna One]] 팬들 사이에 논란과 성토가 있었다. [[Wanna One]]의 [[지적재산권|IP]]를 가진 [[CJ ENM]]으로부터 [[Wanna One]]의 매니지먼트를 위탁받은 스윙엔터테인먼트의 경우 적극적으로 저작물 단속을 해야할 의무가 있기는 하다. 하지만 워낙 [[Wanna One]] 매니지먼트를 처음 시작했던 [[YMC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팬들의 불신과 불안감이 팽배해있던 상황이라 [[홈마]]에 대한 지적은 '''팬에 대한 공격'''으로 받아들여져 논란이 일었다. 당시 분노한 팬들의 입장은 "워너원이 장기 해외투어로 국내 팬들의 관심이 떨어질 위기에 처했지만, 이를 잡을 수 있는게 바로 직캠이다. 직캠 촬영을 금지시키면 과거 [[엠블랙]]의 소속사가 해외투어 기간동안 직캠이 도는 것을 금지시켰다 팬들이 떨어져 나간 것과 같은 현상이 일어날 것이다."라는 것이었다. 이 의견에 반대하는 팬들은 "직캠 영상 때문에 콘서트에서 선공개한 미공개 음원의 유출이 있을 수 있다"라는 의견이었지만, [[YMC엔터테인먼트]] 시절부터 신뢰를 잃은 상황이었던 터라 [[Wanna One]] 팬들 전반적으로 [[홈마]]보다는 소속사에 대한 분노를 표출했다. 이런 경우 느리더라도 구글이나 트위터 본사를 통한 조치 등이 공식적인 시도가 가능했음에도 불구하고 [[적당주의|당장의 해결을 위해 손쉽게 DM을 통한 일처리]]를 시도했다가 오히려 논란만 가중되었던 사건이다. === 2018년 매니저 팬 폭행 논란 및 보도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iK1enWSnFVA)]}}}|| 2018년에는 매니저까지 논란이 터졌었다. [[Wanna One]] 매니저가 해외 스케줄 이동 중 아티스트를 보호를 위해 에스코트를 하던 중에 아티스트에게 접근하고 싶어하는 팬을 매니저가 힘으로 밀쳐버린 것. 사건을 저지른 해당 매니저는 사건 발생 이전까지 [[Wanna One]] 멤버들에게 친절하게 대하는 모습이 화제가 되었던 매니저였기에 팬들의 실망과 분노는 더욱 컸다. 회사는 싫어해도 매니저에 대한 호감은 남아있던 팬들이었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팬들은 완전하게 스윙엔터테인먼트 모든 구성원들에게서 고개를 돌리게 된다. 직후 스윙엔터테인먼트가 낸 공식 사과문조차 [[사생]] 논란 등 다른 논란들에 대한 대처와 달리 빠르게 뜬 점 때문에 팬들의 분노를 자극했다.[[http://www.twitlonger.com/show/n_1sqm08h|#]] >안녕하세요. 스윙엔터테인먼트입니다. >현재 온라인상에서 논란이 되고 있는 영상과 관련하여 팬 여러분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죄송합니다. >해당 영상은 28일 태국 출국 시 공항에서 촬영된 영상이며, 해당 인물은 회사 소속 매니저가 맞습니다. >해당 매니저는 영상을 확인하고 과잉대응한 부분에 대해 깊이 반성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징계도 받게 될 것입니다. >어떤 상황에서도 발생되어서는 안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어 영상 속 해당 팬 분께 매우 죄송한 마음뿐이며, >이런 불미스러운 일로 심려를 끼쳐드린 점에 대해 모든 팬 여러분께 고개 숙여 사과드립니다. >앞으로 더욱 철저한 교육을 통해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 하겠습니다. >워너원을 사랑해주시는 팬분들께 다시 한 번 사과의 말씀 드리며, 더욱 노력하는 스윙엔터테인먼트가 되겠습니다. 팬들의 적극적인 시정 요구가 있었던 다른 논란들에 비해 공식입장이 빨리 나왔다는 점과 '징계'라는 회사 외부인으로써는 뭘 하겠다는 건지 알기 힘든 애매모호한 표현 때문에 공식 사과문 역시 팬들의 분노를 잠재울 수 없었다. === 2020년 공식 웹사이트 관리 부실 논란 === 공식 웹사이트가 2019년 이후 계속 방치되고 있다. 일례로 2020년 스윙엔터테인먼트에서 데뷔시킨 솔로 여자 아이돌인 [[나띠]]의 경우 데뷔 직후부터 2022년 시점에 이르기까지 계속 공식 웹사이트에 프로필은 물론 앨범이나 뮤직비디오 관련 그 어떤 페이지도 마련되고 있지 않았다. 멀쩡한 공식 웹사이트가 운영되고 있음에도 스윙엔터테인먼트 소속인 [[나띠]]는 rooki.link 같은 외부의 링크 통합 서비스를 통해 공식 유튜브 채널과 팬카페 및 각종 공식 SNS 링크 페이지만을 제공하고 있다가 결국 2022년 7월 12일 [[S2엔터테인먼트]]로 이적했다.[* 나띠는 새로 옮겨 간 S2엔터테테인먼트에서도 공식 웹사이트의 아티스트에 기재되지 않고 있으며, 트위터와 페이스북에 올라 온 추석 맞이 인사 외에 아무런 동정이 나오지 않는 등 푸대접을 받는 듯한 정황이 보이다가 뒤늦게 등재되었고 새 걸그룹 멤버로 공식 발표되었다.] == 여담 == * 2019년까지 스윙엔터테인먼트와 [[YMC엔터테인먼트]]는 명목상으로는 다른 회사였지만 운영 체계는 사실상 크게 다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2019년 9월 3일, [[X1]]이 음악 프로그램에서 1위를 하고 수상 소감을 얘기할 때 회사의 경영진이 [[YMC엔터테인먼트]] 때처럼 '조유명 대표님, 신동길 본부장님'이라는 호칭으로 언급되었다. 다만 --명목상으로나마-- 실제로 조유명 대표가 스윙엔터테인먼트의 정식 대표로 취임한 것은 이후인 2019년 12월 26일이다.[[http://m.tf.co.kr/read/entertain/1773291.htm?retRef=Y&source=http://www.google.com/|#]][* 기존에 대표 타이틀로 있던 신동길은 사내이사 타이틀로 물러났다.] * 2019년부터 다른 SNS보다 [[인스타그램]]에 집중하는 편이다. [[김재환(가수)|김재환]] 영입을 기점으로 [[김재환(가수)|김재환]] 인스타던 [[X1]] 인스타던 '''[[인스타그램]] 피드 꾸미기에 맛들리기 시작했다''' --뒤늦게 해당기술을 접하고 맛을 들렸는지-- 멀쩡한 사진을 --굳이-- 토막내서 열댓장씩 올리기 시작했다.[* 이는 이후 2020년 들어 새로 영입한 [[나띠]]와 [[오프더레코드 엔터테인먼트]]와 제휴 이후 공동 매니지먼트를 맡은 [[IZ*ONE]]도 예외없다.] --잘 하는 게 인스타 꾸미기 밖에 없다고 WIN:D와 [[ONE IT|원잇]]들한테 까였다.-- 이런 포스팅은 인스타그램 피드 장악과 지속적인 알림 때문에 대한 호불호가 있는 방식이고 새로운 사진이 한 장 추가되면 이전의 모든 게시물이 어긋나서 형태를 잃게 되다보니 팬덤에서도 호불호가 심하게 갈리는 방식이다.[* 참고로 이 방식은 [[Red Velvet]]이나 [[여자친구(아이돌)|여자친구]] 같은 다른 아티스트들도 대부분 하는 방식이다. ~~그런데 레벨이나 여친은 멤버들이 다 개인 계정이 있어서 공식 계정에는 사적인 포스트가 안 올라온다~~] * 용산구청 옆에 있는 사옥 1층에는 가수 [[태진아]]가 K212라는 이름의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스윙엔터테인먼트 설립 전인 2017년부터 운영해온 카페인데, 주인인 [[태진아]] 본인이 [[지박령|앉아있을 확률이 높다.]][* 이 경우에는 보통 구석 자리에 앉아있으며, 사인이나 사진 요청도 특별한 일이 없으면 대부분 들어준다.] 사옥 1층에 바로 위치하고 있다는 점 때문에 소속가수의 팬들이 자주 [[랜드마크|방문]]하기도 하고 소속가수의 이벤트 카페 열 장소 중 하나로 선정되는 경우가 많다. [[분류:스윙엔터테인먼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