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스웨덴 관련 문서)] ||<-2> '''{{{+2 스웨덴 의회}}}[br]Sveriges Riksdag[br]Riksdag of Sweden''' || ||<-2> [[파일:스웨덴 의회 로고.svg|width=220]] || || '''구성''' ||[[단원제]], [[다당제]] || || '''[[국회의장|{{{#fecc00 국회의장}}}]]''' ||안드레아스 노를렌 ,,/ ([[온건당]]),, || || '''제1부의장''' ||케네트 G. 포슬런드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사회민주노동자당]]),, || || '''제2부의장''' ||율리아 크론리드 ,,/ ([[스웨덴 민주당|민주당]]),, || || '''제3부의장''' ||셰르스틴 룬드그렌 ,,/ ([[스웨덴 사회민주노동자당|사회민주노동자당]]),, || || '''[[국회의원|{{{#fecc00 국회의원}}}]]''' ||재적 349명 중 349명 || || '''임기''' ||4년 || || '''의사당''' ||스웨덴 국회의사당 || || '''최근 선거''' ||[[2022년 스웨덴 의회 총선거]] || || '''차기 선거''' ||[[2026년 스웨덴 의회 총선거]] || || '''공식 사이트''' ||[[https://riksdagen.se/|[[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스웨덴]]의 입법부. 정식 명칭은 '''Sveriges Riksdag'''. 릭스다그로도 부른다. 현행 스웨덴 의회는 [[단원제]]를 채택하고 있다. == 역사 == 1435년 [[아르보가]](Arboga)에서 소집된 귀족회의가 스웨덴 의회의 바탕이 된다. 이후 [[스웨덴 국왕]] [[구스타브 1세 바사]]가 4개의 신분[* 여담으로 이때는 [[핀란드]] 출신의 [[스웨덴계 핀란드인]]이나 [[핀란드인]]까지 포함되었다. 당시에는 핀란드가 스웨덴의 일부였기 때문.]을 대표하는 신분제 의회로 개편하였으며, 1866년에 [[양원제]]가 되었다. 1970년에는 다시 헌법을 개정하여 의원정수 350명의 단원제 의회로 개편되었지만 가부동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현재의 의원 정수인 349명으로 조정되었다. == 현황 == [[2022년 스웨덴 의회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차기 선거는 2026년으로 예정되어 있다. == 임기 및 선출 == [[의회 해산]]이 없다는 가정 하에 스웨덴 의회의 의원들은 4년 임기가 보장된다. 349명의 의원 중 310명은 권역별 비례대표 의원으로, 나머지 39명은 전국구 비례대표 의원이다. 즉 310명은 전국을 몇 개의 권역(지역구, 대선거구)으로 나눈 후, 각 권역별로 비례대표선거를 치러서 선출한다. 그리고 나머지 39명은 전국을 1개의 권역으로 가정할 경우, 각 정당이 얻어야 할 의석수와 실제 얻은 의석수 차이를 보정하는 방식으로 각 정당에 배분된다. 모든 의석이 비례대표로써 기존 의석이 사고 등으로 비게 되면 후순위자를 의원으로 올려보내므로 재보궐선거도 극히 적다. 각 권역은 평균 10~12명을 선출한다. 작은 곳은 2석, 많은 곳은 34석이다. 각 지역구는 대체로 행정구역과 일치하지만, 스톡홀름, 말뫼, 예테보리 등 대도시가 포함된 지역은 한 개의 행정구역이 여러 개의 선거구로 나뉘기도 한다. 권역별 비례대표 선거에선 해당 권역(지역구)에서 12% 이상 득표하면 의석을 배정받을 수 있다. 전국구 비례대표 의석은 전국에서 4%이상 득표할 경우 배정받을 수 있다. == 원내 구성 == [include(틀:스웨덴 의회의 원내 구성)]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스웨덴/정치, version=73)] [[분류:스웨덴의 정치]][[분류:나라별 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