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후베이성의 지급시]][[분류:중국의 도시]][[분류: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include(틀:후베이성의 행정구역)] ||<-3> [[파일:중국 국기.svg|height=20]] {{{#000,#ddd '''[[중국|{{{#000,#ddd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000,#ddd 후베이성}}}]]의 [[지급시|{{{#000,#ddd 지급시}}}]]'''}}} || ||<-3> {{{#ff0 '''{{{+1 [ruby(十堰, ruby=Shíyàn)][ruby(市, ruby=Shì)]}}}'''[br]스옌시 | Shiyan City}}} || ||<-3>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十堰市, 너비=100%, 높이=100%)]}}} || ||<-2> '''{{{#ffff00 시정부 소재지}}}''' || [[후베이성]] 스옌시 마오젠구[br]베이징중루8호[br]湖北省十堰市茅箭区北京中路8号 || ||<-2> '''{{{#ffff00 지역}}}''' || [[중난]] || ||<-2> '''{{{#ffff00 면적}}}''' || 23,680km² || ||<-2> '''{{{#ffff00 하위 행정구역}}}''' || 3구 1현급시 4현 || ||<-2> '''{{{#ffff00 시간대}}}''' || UTC+8 || ||<-3> '''{{{#ffff00 인문 환경}}}'''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2> '''{{{#ffff00 인구}}}''' || 3,209,004명 ^^(2020)^^ || ||<-2> '''{{{#ffff00 인구밀도}}}''' || 136명/km² || ||<-2> '''{{{#ffff00 서기}}}''' || 후야보(胡亚波) || ||<-2> '''{{{#ffff00 시장}}}''' || 공석 || ||<|2> '''{{{#ffff00 GRDP}}}''' || '''{{{#ffff00 전체}}}''' || $208억 7,400만 ^^(2015)^^ || || '''{{{#ffff00 1인당}}}''' || $6,180 ^^(2015)^^ || ||<|2> '''{{{#ffff00 상징}}}''' || '''{{{#ffff00 시화}}}''' || [[석류|석류꽃]], [[백일홍]] || || '''{{{#ffff00 시목}}}''' || [[녹나무]], [[모감주나무]] || ||<-2> '''{{{#ffff00 차량번호}}}''' || '''鄂C''' || ||<-2> '''{{{#ffff00 행정구역 약칭}}}''' || '''郧''', '''十''' || ||<-2> '''{{{#ffff00 행정구역코드}}}''' || '''42'''0300 || ||<-2> '''{{{#ffff00 지역전화번호}}}''' || '''0719''' || ||<-2> '''{{{#ffff00 우편번호}}}''' || '''4420'''00 || ||<-2> '''[[ISO 3166-2|{{{#ffff00 ISO 3166-2}}}]]''' || '''CN-HB-03''' ||}}}}}}}}} || ||<-3> [[http://www.shiyan.gov.cn/|홈페이지]] || [[파일:우당산 중국 2.webp|width=450]] 주요 관광지인 우당산(武当山). 운무에 쌓인 [[도교]] 성지이다. [목차] [clearfix] == 개요 == 중국 [[후베이성]] 북서부의 지급시. [[난양]]에서 서쪽으로 140km, [[시안시]]에서 서남쪽으로 180km, [[샹양]]에서 서북쪽으로 100km 떨어진 분지에 위치한다. 주변의 [[안캉]], [[상뤄]]와 함께 친링 (진령) 산맥의 협곡에 입지한 도시이다. 관할 인구 330만명 중 도시 자체에는 90만이 거주하며, 북쪽 원양구에는 [[한수이]] 강이 흐른다. == 경제 == 전근대에는 별볼일 없는 마을에 불과하였으나 [[냉전]] 시기에 '숨겨진 산업도시'로 지어져 현재까지도 자동차 공업도시이다. 2007년 베이징 중국 도시 포럼에서 중국에서 살만한 도시 10위 안에 들었다. 관광지로 유명한 도시이기는 하지만 시내에는 별 볼거리가 없고, 동남쪽으로 15km 떨어진 우당산(武当山)이 주요 관광지로 작용한다. 우당산은 도교의 성지이기 때문에 중국 전역에서 관광객이 몰려온다. == 교통 == [[스옌둥역]]에는 [[우한]]과 연결하는 고속철인 한스고속철도(汉十高速铁路)가 지나고, 일반역인 스옌역에는 안캉-[[샹양]] 방면 일반 철도인 샹위철도(襄渝铁路)가 지난다. 시가지 동쪽 외곽에 스옌 우당산 공항이 있다. == 역사 == 한대에 북쪽 원양구에 서성군 (위흥군) 장리현이 설치되었다. 서남쪽으로 50km 떨어진 주산현은 [[삼국지]]의 [[상용]]현이었다. 송대에는 남쪽 50km의 방현에 방주 (房州), 동쪽 50km의 단장커우시에 균주 (均州)가 세워졌다. 명대에는 1476년에 설치된 훈양부 (勲陽府)에 속하였다. 청대에 관개를 위해 10개의 댐을 지으며 현 지명인 십언, 즉 스옌으로 불리게 되었다. 20세기 중반에는 훈양, 즉 쉰양으로 불렸다. 인구 수백에 불과하고 빈곤한 산골 마을에 불과하였으나, 1967년 미국의 핵공격을 우려한 [[마오쩌둥]]이 산업 시설을 더 외진 곳에 지을 것을 주장하여 도시 건설이 결정되었다. 1969년부터 둥펑 모터스의 자동차가 생산되었고, 2만 5천명의 노동자가 유입되었다. 이는 20만으로 늘어났고, 1969년 현급시를 거쳐 1994년 지급시로 승격되며 스옌으로 불리게 되었다. 다만 이후 교통이 더 편리한 대도시들로 산업의 중심이 옮겨졌고, 2003년 동펑 모터스 역시 주 공장을 [[우한]]으로 옮겼다. == 우당산 == {{{#!wiki style="margin:0px;margin-top:0px;margin-bottom:0px;padding:0px" ||<:><#CC0000> [[파일: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_4.png|width=65px]] ||<-2><:><#CC0000> {{{#ffff00 {{{+1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br] 全国重点文物保护单位[br]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공포}}} || ||<#ffffff><-3>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우당산 중국 1.jpg|width=100%]]}}} || ||<-3>[include(틀:지도, 장소=武当山,높이=250px, 너비=100%)]|| ||<:><|4><#CCC>명칭 || 한국어 || 우당산의 고대 건축물군 || || 간체 || 武当山建筑群 || || 번체 || 武當山古建築群 || || 영어 || Ancient Building Complex in the Wudang Mountains || ||<:><#CCC>분류 ||<-2> 고건축[br](古建筑) || ||<:><#CCC>시대 ||<-2> [[명나라|명]] || ||<:><#CCC>일련번호 ||<-2> 6-0666-3-369 || ||<:><#CCC>주소 ||<-2> [[중화인민공화국]] [[후베이성]] 스옌시 단창커우시 타이허가도 융러루13호[br]湖北省十堰市丹江口市太和街道永乐路13号 || ||<:><#CCC>등재 ||<-2> [[2006년]] || ||<:><#CCC>차수 ||<-2> 제6차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 || ||<:><#CCC> 국가 지정 명승지 등급 ||<-2> AAAAA급 ||}}} [clearfix] [[도교]]의 최대 종파인 [[무당파]]의 성지인 우당산이 존재하며, 무당파라는 명칭도 우당산에서 나온 명칭이다. 본래 70여개의 선원이 있었으나, 댐 건설과 [[문화대혁명]]으로 현재는 50여개가 남아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