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2015년 게임]][[분류:슈퍼로봇대전 시리즈]][[분류:롤플레잉 게임]][[분류:모바일 게임]][[분류:2021년 서비스 종료]] [include(틀:슈퍼로봇대전)] ||<-2>
{{{#ffffff,#dddddd '''{{{+1 슈퍼로봇대전 크로스 오메가}}}'''[br]スーパーロボット大戦X-Ω}}}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external/srw-x.suparobo.jp/chara.png|width=100%]]}}} || || '''개발''' ||[[세가 게임즈/세가 게임 어플리]][* 하청제작인지 저작권자 목록에는 포함이 안돼있다. 그래서 그런지 세가 NWS 카탈로그 목록에 해당 작품이 없다. 어느정도 공동제작으로 간주된 적세스 헤븐과는 대조적][br][[B.B. 스튜디오]] (기획/감수)[br][[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프로듀스) || ||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 || '''플랫폼'''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iOS|[[파일:iOS 로고.svg|height=16]]]] | [[안드로이드(운영체제)|[[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height=16]]]]}}} || || '''ESD'''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App Store|[[파일:App Store 아이콘.svg|height=16]]]] | [[Google Play|[[파일:Google Play 로고.svg|height=16]]]]}}} || || '''장르''' ||로봇액션 [[RPG]] || || '''출시'''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15년]] [[10월 6일]][* 정식 출시일은 10월 6일이나 실제로는 10월 5일 오후에 iOS와 안드로이드 마켓 모두에 등록되었다.] || || '''서비스 종료일'''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2021년]] [[3월 30일]] || || '''엔진'''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 #ffffff; border-radius: 4px; padding: 4px 3px 6px;" [[유니티(게임 엔진)|[[파일:유니티 로고.svg|height=18]]]]}}} || || '''한국어 지원''' ||미지원 || || '''심의 등급''' ||'''{{{#000000,#dddddd 심의 없음}}}''' || || '''관련 사이트''' ||[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http://srw-x.suparobo.jp/|공식 사이트 (폐쇄)]][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https://twitter.com/srw_xomg|공식 트위터]][br][include(틀:국기, 국명=일본, 출력= , 크기=20)] [[https://wiki.dengekionline.com/srw-x/|전격온라인 공식 wiki]][br][[https://bbs.ruliweb.com/family/511/board/183793|루리웹 게시판]] || [목차][clearfix] == 개요 == [[일본]]의 [[비디오 게임]]. ==# 발매 전 정보 #== * 2015년 6월 19일에 공개된 제1회 슈퍼로보채널에서 스마트폰 전용 슈퍼로봇대전을 세가 게임즈에서 제작한다는 내용이 공개되었으며, 7월 24일의 제2회 슈퍼로봇채널을 통해 본격적인 제목과 PV가 공개되었다. * 반다이 남코의 정책상 해외 IP를 차단하기 때문에 한국에서는 가입 및 사전 등록이 불가능했다. 이후 제작사인 세가 쪽에서도 사전등록을 받았기 때문에 반다이 남코가 안된다면 세가 측 공식 홈페이지에서 사전 등록을 신청할 수 있었다. == 특징 == [[슈퍼로봇대전 시리즈]]의 모바일 게임으로 약칭은 '''슈파크로'''. 제목은 슈퍼로봇대전이지만 플레이 방식은 전통적인 슈퍼로봇대전과 상당히 달라서, 초기에는 슈퍼로봇대전을 가장한 [[체인 크로니클]]에 가까운 모습으로 시작했으며 이후 VS 모드라는 새로운 배틀 방식을 도입해 이미지 쇄신을 진행했지만 이 역시 기존의 슈퍼로봇대전과는 많이 다른 플레이 방식이었다. 방식 자체가 기존 슈로대랑은 달라서 스크램블 커맨더 시리즈처럼 기존 팬 사이에선 이단아 취급을 받고있다. 슈퍼로봇대전 시리즈라는 이름을 단 게임이 기존의 형식을 완전히 벗어나서 다른 게임 플랫폼을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는 점에서 기존 로봇대전 팬들의 멘붕이 상당한 편. 거기다 시스템상 부분유료화 게임에 가챠뽑기 요소가 있어 기존 로봇대전 팬들의 DLC에 대한 히스테릭한 거부반응으로 인해 팬층이 심하게 갈라졌다. 고전 슈퍼로봇대전 팬 중에 이 게임까지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정말 극소수라 할 수 있을 정도로 팬층이 갈라졌다. 공개 후 한 달 가까이 지난 시점에서 일단 매출 100위권 안에 진입은 성공했으나 반다이 남코가 런칭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스타라이트 스테이지]]에 스포트라이트를 완전히 빼앗겨 매우 부진한 스타트를 했다. 모바일 게임의 특성상 초반에 강하게 치고 들어가야 안정이 이루어진다는 측면에서 아직 게임의 성공을 논하기는 이르지만 기대한 것에 비하면 그저 그런 성과였다. 그러나 그렇게 부진하게 운영되던 중에 [[아이돌 마스터 제노그라시아]], [[짱구는 못말려]] 같은 기존 슈퍼로봇대전에선 절대 못 나올 법한 작품이 크로스 오메가에서는 당당하게 참전함으로 화제 몰이를 하게 되었으며, 캐릭터 디자이너 와타나베 와타루(渡邉亘)가 담당한 오리지널 여성 캐릭터들의 부담스러울 정도의 풍만한 체형이 [[후타바 채널]] 등지에서 밈이 되면서 화제 몰이를 하기 시작하며 매출이 점점 오르게 된다. [[혜자]] 운영으로도 화제를 끌게 되는데 보통 다른 소셜게임이 주역기 SSR은 확률을 지나치게 낮게 책정하여 손에 넣지 못하게 함으로서 고액 과금을 유발하는 반면 이 게임은 주역기의 확률이 올라가는 이벤트 기간에 과금을 하면 적절한 과금으로도 원하는 유닛을 손에 넣을 수 있기 때문에 화제가 되었다. 이런 여러 호재가 겹치며 현재는 매출 30~100위권 안에서 킵을 하고 있으며 참전작에 따라서는 매출 10위까지 올라가는 등 성장세를 유지하며 현재까지 운영되기에 이른다. 거기에 원전이라 할 수 있는 체인 크로니클의 운영이 막장이 되면서 체인 크로니클의 유저층이 이쪽으로 흡수되고 이후 꽤 자리를 잡게 된다. 투멸 모드나 격퇴 모드에서 추가되는 신규 모드에서 SSR 유닛이나 고급 보상을 자주 뿌리는 지라 이때를 놓치지 않는다면 보상이 괜찮은 편. '''최소한, 갓챠 획득 방식치고는 참전작 중 원하는 유닛의 획득 자체는 희귀 한정 가챠가 아닌 한 아주 어렵진 않은 편이다.''' 물론 그 이상을 갈 때는 심각해지지만. 높은 인기에 힘입어 격월 단위로 슈퍼로봇대전 생방송을 하면서 신 참전작 소개나 이벤트를 하고 있는데, 팬층이 기존 슈로대와 완전히 다르다보니 반발이 심하다. 신작 발표하는 줄 알고 생방송을 봤는데 크로스 오메가 얘기만 하더라 라는 것이 주된 이유. 미운털이 단단히 박혔다 할 수 있다. 반면 꾸준히 비판받는 문제가 있는데 '''난이도가 굉장히 어렵다'''는 점이다. 강적 퀘스트나 답파전이 아닌 스테이지 클리어형 이벤트에는 난이도 99짜리 지옥급 미션이 나오는데, 이 쪽은 아무리 SSR 기체를 쏟아지게 가지고 있다고 해도 재수가 없으면 클리어가 안 되는 수준이다. 이러다보니 자신이 좋아하는 유닛만으로 팀을 짜서 플레이하는 것도 한계가 있고 해당 시즌 배수카드나 대기 총합이 30000대를 넘을만한 초고성능 유닛이 필요해진다. 결국 SSR의 혜자 확률은 표면적인 것이고 고난이도를 통해 더 많은 SSR을 손에 넣게끔 [[현질 유도|과금 유도]]를 하는 게임인 셈. 프로듀서인 오오치가 생방송에서 방송이 끝날 때까지 미션을 전부 클리어하면 선물을 주는 이벤트를 두 번 했는데, '''두 번 다 클리어하지 못해 [[도게자]]를 했다.''' 이를 두고 '''"프로듀서도 제대로 못 깨는 게임이 과연 게임으로서 정상인가?"''' 라는 얘기도 다수 나왔다. 그리고 유저층의 상당수가 체인 크로니클을 몇 년이고 했던 사람들로 바뀐 상황이다보니 이 사람들의 니즈를 충족시키려면 난이도를 올릴 수 밖에 없다는 딜레마도 있다. 즉, [[과금전사|강적&답파전에서 싸게 풀고 월말가챠에서 비싸게 회수하는 패턴의 반복.]] 자신이 좋아하는 유닛이 강적&답파전이 아닐 때 풀린다면 그때야말로 참으로 속쓰릴 상황. 그리고 록맨 기간한정 참전 이벤트의 경우엔 하드코어 과금유저조차 클리어가 안 될 정도로 정신나간 고난이도의 레어 보스를 넣어놔서 욕을 먹었다. 3.0 패치 기준으로 유닛 서열은 'SSR 대기 오메가 스킬 > SSR 대기 > SSR 일반 > SSR 이벤트 드롭 > 기타 유닛'으로 정리되어있다.[* 해당 유닛명의 끝에 ☆이 붙으면 이벤트 드롭. ◇이 붙으면 대기형 유닛이다. (Ω)가 붙으면 대기 오메가 스킬 유닛이다. 오메가 스킬 유닛은 타 가챠 게임의 홀로그램 SSR과 비슷한 등급으로 일반 대기보다도 능력치가 상향되어 있고, 전투 중 마나를 더 얻어 오메가 필살기를 쓰면 3D컷인과 음성이 파일럿 파츠와 무관하게 붙는다. 대신, 타 게임과 달리 오메가 스킬을 뚫으려면 2장을 먹어야 하므로 일반 홀로그램 가챠 방식보다도 더 악랄하다.] 여기에 콜라보, 한정 등이 붙으면 더 올라가는 식. 일반 SSR은 SSR 획득 가챠 방식이 제법 많고 많이 뿌리기 때문에 특정 유닛이나 시리즈의 팬이라면 SSR 일반 가챠 등으로 어렵지 않게 획득 가능하나, 한정 유닛이거나 대기, 오메가 스킬 등이 붙어있는 유닛이면 갑자기 획득 난이도가 급상승해 부조리해진다. 한정 유닛일수록 주역 혹은 인기 유닛일 가능성이 높아서 해당 유닛의 팬일수록 피눈물이 흐른다. 추가로 과금을 강요하는 상황은 아레나 모드. 2.0부터 새로생긴 유저들 간의 대결모드로, 턴제 배틀이며 스킬구성이 일반 전투와 다르기 때문에 매 시즌마다 대기형 유닛이 추가되면서 아레나 밸런스도 주 단위로 널뛰고 있어서, 고급 보상[* 상위권 보상에 한계돌파 소재 + 아레나 포인트 교환소에서 한돌계승 소개+한계돌파 소재를 교환할 수 있다.]이 많은 아레나에서 상위권을 지키려면 결국 매 시즌 과금하고 사기유닛을 뽑아서 돌려막아야 하는 아주 골치 아픈 상황이다.[* 실제로 문제가 엄청 심각한 게, 예를 들어 한 달 전에 끝판왕 네오그랑존이 나오고 아레나를 잠식했으나, 이후 한 달 만에 뉴커머 가챠로 유니콘(각성), 크샤트리아, 밴시 등 서로 버프를 해주는 3인방 대기를 복각하는 바람에 아레나를 잠식했다. 기존 유닛으로 카운터도 안 되는 조합이라 3인방 같은 조합 아니면 상대가 안 되는데, 이렇게 아레나 메타가 너무 자주바뀌는 것 때문에 몇십만 원을 써서 뽑아도, 아레나에선 몇 주 만에 휴지조각이 된다. 이 때문에 한두번의 대기 갓챠 폭사만으로도 심히 꼬일 지경.] 또한, '''게임 내 성우 음성이 적다는 것이 심각한 문제점.''' 체인 크로니클 역시 실시간 액션게임 치고는 음성이 적고 성우 1명이 1인 30역을 하는 등 우려먹기가 많았지만, 최소한 필살기 사용시 음성과 이벤트 자기소개 음성 2가지 정도는 들을 수 있었는데, 그런 것들은커녕 [[슈퍼로봇학원|판권작 OST조차 기본적으로 재생되지 않는다는 것]]은 게임 완성도를 문제삼을 수 있는 꽤 큰 약점. 특히나 성우 연기와 연출을 중요시하는 기존 슈로대 팬층을 받아들이는데 중요한 요소인 만큼 이것이 개선되기 전까지 기존 슈로대 팬들의 유입은 기대하기 힘들 수 밖에 없었다. 이전에는 성우 음성도 판권작 OST도 전혀 없었지만, 이런 문제점을 인식하고 있는지 유저를 대상으로 실시했던 앙케이트를 보면 추가해주었으면 하는 항목에 원작의 BGM, 음성 등의 항목이 전부 들어가 있었다. 차후 업데이트를 통해 추가할지도 모르는 사항이었고, 이후 로봇대전 25주년 기념 이벤트인 초감사제에서 2.0 대형 업데이트를 예고 했고 6월 30일로 예정했는데, 드디어 음성을 추가한다는 발표를 하였다. SSR 유닛들에 사용되는 파일럿 파츠 중 일부 유닛에 음성이 첨부되는 식으로 업데이트되었다. 판권 작품 BGM 또한 이벤트 진행 중 특정 조건을 만족시킬 시 재생되도록 변경. 10월 중순에 타이틀 화면에 [[Live 2D]]라는 글자가 붙더니 일부 오리지널 캐릭터들의 필살 스킬 컷인에 움직임이 추가되었다. 이후 일부 SSR 등급의 판권 유닛들에도 서서히 Live 2D 컷인이 추가되었다. Ver2.5부터는 통상 30fps에서 60fps까지 설정할 수 있도록 업데이트되었다. 2017년 8월 21일 공개된 니코나마 정보에서 Ver3.0 업데이트를 통해 기존 슈퍼로봇대전의 맵 이동 방식을 접목시킨 멀티 플레이 모드 '투멸 모드'가 추가되는 것이 발표되었다. 또한 3.0 업데이트부터 추가된 Ω스킬을 발동시키면 전용 컷인이 붙은 애니메이션이 재생된다. [[슈퍼로봇대전 DD]]가 런칭한 이후로도 한동안 두 모바일 작품의 동시 운영이 계속되었으나, 이후 2021년 3월 30일에 서비스를 종료하게 되었다. 종료 이후 2021년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 오프라인으로 일부 기능(시나리오 회상, 플레이 이력, BGM 시청, 도감 관람 등)을 이용할 수 있는 Ver.5.6으로 업데이트하게 해주었다. 2021년 6월 30일 이후로는 온라인 서포트가 완전히 종료되어 더이상 스토어에서 다운로드할 수 없게 되었다. == 게임 시스템 == === 전투 === 서비스 초기부터 있었던 '일반 배틀 모드'에 대해서는 시스템의 원류인 [[체인 크로니클]]와 비교하는 내용이 많으므로 체인 크로니클(이하 첸크) 문서를 읽어보고 오길 권한다. 첸크과 동일한 부분은 디펜스형 맵에서 실시간 전투를 벌이는 시스템이다. 기본적인 사항은 다음과 같다. ||1. 4 x 6 맵이며 여분의 공간이 한줄 더 있어서[* 아군이 진입 불가능하나 공격은 가능한 화면 맨 오른쪽 줄. 여기서 적 유닛이 끼면 오토 시스템의 문제점이 그대로 드러난다.] 실질적으로는 4 x 7크기로 첸크보다 맵이 넓다. 또한 맵상 최대 5기밖에 나올 수 없으므로 공간이 넓어서 생각보다 방어가 어렵다.|| ||2. 화면 맨 오른쪽에는 터치라인이 아니라 아군 기함이 있다. 따라서 첸크와 달리 '''적이 화면 맨 오른쪽에 도달해도 바로 게임오버되지는 않는다.''' 아군 기함은 자체 HP를 가지고 있으며, '''아군 기체를 수납하여 자유교체가 가능하다.''' 물론 회복 기능도 있으므로 유사시에 서브기체를 교체하여 활용하는 전략 역시 가능. 아군 기체가 전멸하거나, 화면 우측에 적기가 도달하거나, 적기의 원거리 공격이 기함을 공격하는데, 아군 기체가 남아있어도 기함이 파괴될 경우 게임 오버가 된다.|| ||3. 아군은 정신기와 필살기 스킬 2개를 가지고 있는데 정신기는 게임당 1회 노코스트로 사용하며, 필살기는 적을 파괴하거나, 보스전에서 기함이 보급하는 마나 슬롯을 이용해 사용할 수 있다. 기존 첸크와 동일한 필살기 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첸크와 같이 필살기 연속 사용시 체인 기능이 있다. 슈로대에선 크로스 개념으로 MAX에 도달하면 오메가 크로스가 발동되며 고급 기체의 경우 필살기 컷인 추가와 동시에 대미지가 대폭 상승한다.|| ||4. 게임의 승리조건은 기존 슈로대와 유사하게 적군 기함이나 보스를 파괴하거나 전멸되기 전에 적군을 전멸시키는 것. 가끔 적군도 기함이 나타나서 적을 무한 리젠하므로 이 경우에는 전함을 공격하면 된다. 모든 퀘스트에는 기본 랭크 시스템이 있는데, 일일 퀘스트를 비롯한 상당수의 퀘스트가 1)시간 제한 내, 2)전함이 공격받지 않고, 3)아군 유닛이 죽지 않고 클리어할 경우 S랭크 보너스 보상을 받는다.[* 단, 챌린지 퀘스트의 경우는 조건이 각각 다를 때가 있다.] 1번에서 서술한대로 맵이 넓은데다 게임이 약간 느린편이라 2)번 조건을 지키기가 꽤 까다롭다. 특히 오토 시스템이 영첸과 비슷하게 슈터들도 자동으로 수직 이동해서 공격하므로 오토를 켰을 경우 화면 상 하단에 갑툭튀하는 저격수들을 주의할 것. 첸크와 달리 모든 퀘스트에 아이템 박스 4개가 있으며 컴플릿 추가보상까지 있으므로 S랭크를 얻었다고 보상이 끝나는 게 아니다. 컴플릿 보상까지 확보해야 퀘스트 완전 종료.|| 2.0 이전에는 위의 일반 배틀 모드가 주류였으나, 이후로는 'VS 배틀 모드'가 추가되면서 이것이 대인 대전 모드인 아레나 모드는 물론 각종 이벤트의 주된 방식이 되면서 슈퍼로봇대전의 스킨을 씌운 체인 크로니클이라는 당초의 모습에서는 점점 멀어지게 되었으며 메인 스토리 모드의 전투도 전부 VS 배틀 모드로 교체되었다. VS 배틀 모드는 퀘스트마다 정해진 코스트 이내로 최대 5기로 구성된 덱을 짜서 3×3칸으로 구성된 필드에 배치해 진행하는 턴제 배틀 모드로, 유닛의 행동 순서는 각 유닛마다 설정된 행동력 패러미터에 따라 결정되는 방식이다. 일단 VS 배틀 모드가 추가된 이후로도 일반 배틀 모드를 이용하는 이벤트 퀘스트 방식인 '진격 이벤트'와 '강적 이벤트'가 마지막까지 계속 개최는 되었으며 모든 유닛에 일반 배틀용 스탯과 VS 배틀용 스탯이 따로 설정되어 있는 식으로 유지는 되었으나, 고난도 스테이지에 도전하는 정패 모드를 제외하면 지나치게 오래된 유닛만 사용하는 것이 아닌 이상은 전혀 어려울 것 없이 당연히 클리어되거나 특효 유닛이 얼마나 많으냐만으로 결과가 갈리는 무의미한 수준의 퀘스트로만 남게 되어 사실상 게임의 주된 플레이 방식이 VS 모드로 대체된 상태로 마지막까지 운영되었다. 신규 유닛의 성능도 VS 모드에서의 성능을 위주로 홍보하고 평가받았으며 V파츠나 초개조 등의 추가되는 유닛 강화 요소들도 VS 모드에서만 적용되고 일반 모드에서는 적용되지 않는 것이 많았다. 이외에도 비정기적으로 개최되는 20대 20 자동 배틀인 격퇴 모드, VS 배틀 모드에 전통적인 슈퍼로봇대전과 비슷한 맵 이동 방식을 결합시킨 투멸 모드 등도 병행하여 진행되었다. === 유닛 === 2.0이후 개편된 구성으로 어태커, 디펜더, 슈터, 블래스터, 파이터 5종이 있으며, 어태커는 첸크의 전사, 디펜더는 첸크의 기사, 슈터는 첸크의 궁수&마법사와 비슷하며 어태커>디펜더>슈터>어태커로 상성이 존재한다. 블래스터, 파이터는 각자 상성이 있으며 기존 어태커,디펜더,슈터와 달리 마나 슬롯을 공유하기 때문에 필살기 부담이 덜한 편. 첸크와 달리 전문 힐러가 없는데, 전함 수납 또는 [[메타스]]([[화 유이리]]), [[아프로다이 A]]([[유미 사야카]]), [[다이아난 A]]([[호노오 쥰]])등 슈로대에서도 수리,보급계통의 캐릭터에 붙어 있는 회복계 [[정신 커맨드]]나 어빌리티를 통해 회복이 가능하다. 보유 유닛에 대해서는 [[http://bbs1.ruliweb.daum.net/gaia/do/ruliweb/detail/nds/read?articleId=8533109&bbsId=G001&itemId=83793&pageIndex=3|해당 페이지 참조.]] ||"신뢰"는 MAX HP의 약 35% 회복 (HP가 가장 적은 유닛 1체 회복)|| ||"신뢰 +"는 MAX HP의 약 25% 회복 (유닛 전체의 HP 회복)|| ||"근성"은 MAX HP의 40% 회복(발동 기체의 HP 회복)|| ||"수리"는 MAX HP의 약 15% 회복(웨이브 시작시 HP가 제일 적은 유닛 1체 회복)|| 아군 전투 유닛에는 서포터 유닛을 붙일 수 있다. 팀 편성 화면에서 캐릭터 아이콘 우측 하단에 작은 창을 클릭하면 서포터 장착가능. 서포터는 코스트와 레벨이 없으며, 추가 스킬이 달려있으므로 스킬 특성을 연계해 사용하면 된다. === 이벤트 === 기본 이벤트로는 일일 퀘스트, 챌린지 퀘스트가 있다. 일일 퀘스트는 기존 첸크류에도 있던 강화소재, 셀, 마테리얼 획득용이며, 챌린지 퀘스트는 고난이도에 특정 조건을 만족해야 S랭크가 되는 정패모드의 전신 격 이벤트 일일 퀘스트의 경우 2.3패치에서 추가된 스킵 패스포트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는 한번 클리어해 S랭크를 따면 그다음은 스킵 패스포트 장수 × 소모AP 만큼 퀘스트를 자동 클리어하여 보상을 얻을 수 있게 했다. AP를 단시간에 태워버리거나, 강화소재를 단시간에 많이 얻어야할때 나름 유용한 시스템. ==== 상시 이벤트 ==== 상시로 진행되는 이벤트는 하드모드인 정패 모드와 아레나가 있다. 정패모드는 챌린지 퀘스트보다도 심화 난이도가 높은 이벤트로, 퀘스트 클리어를 위해 특정 유닛 구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상급자용 컨텐츠. 마나슬롯이 직업별로 제한되며 전투중 보급이 없는 경우가 많아서 철저한 계산과 컨트롤, 유닛 구성을 요구한다. 2.0 이후 신설된 대기 클래스 유닛이 거의 필수급. 아레나는 대전모드로, 원판과 달리 턴제 배틀 게임인데 어빌리티 구성 및 공격패턴이 기존 게임 구성과 달라서 본게임에선 천대받는 유닛이 아레나에서는 고성능인 경우도 가끔 있다. ==== 준 상시 이벤트 ==== 기간 한정이벤트처럼 정해진 기간에만 열리지 않지만 항상 열리지 않는 상시 이벤트로는 3.0을 통해 새로생긴 투멸모드와 격퇴모드가 있다. 투멸모드는 일종의 20인 동시 슈로대로 [youtube(OOiMm6YncX4)] 최대 20인의 유저가 한 맵에 들어가서 맵을 활동하면서 아이템을 탐색하거나 맵상에 흩어진 적들을 격파하고, 중간중간 소환되는 거대보스를 협력으로 격퇴하는 반 실시간형 슈로대이다. 표면적으로는 본가 슈로대와 가장 닮아있는 구성. 격퇴모드는 부정기적으로 오픈되는 20대20 시뮬레이션 배틀로, 강적 군단을 아군 20유닛(레벨 30 이상만 출격가능)을 내보내 자동전투로 격퇴시키는 것이다. 아직 완성이 덜됐는지 투멸모드에 비해 오픈 횟수가 적다. ==== 기간한정 이벤트 ==== 기간 한정 이벤트는 일반,답파전,강적전 3종류로 주로 구분된다. 3종 모두 기간 한정으로 배수 유닛이 있으며 가챠로 뿌리거나, 기존 유닛중 일부가 해당기간 배수 유닛이 되기도 한다. 주로 이런 이벤트때는 한정적으로 SR급 유닛을 공짜로 배포하기도 한다. 일반 이벤트의 경우 이벤트 시나리오, 이벤트 퀘스트, 고난이도 이벤트 퀘스트 3종 구성이며, 누적 격파수나 클리어 횟수에 따라서 이벤트 티켓을 뿌리고 그것으로 무료가챠를 돌리는 시스템이 일반적이며, 가끔 포인트 칩 교환 방식으로 확정 획득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주로 지옥급이라 불리는 고난이도 퀘스트에 보상이 많으므로 배수 유닛이 있다면 고난이도 퀘스트를 노리는 것이 방법. 답파전은 첸크의 답파전과 유사한 스테이지 클리어와 누적 포인트,포인트칩 교환을 반복하는 방식. 이 이벤트의 배수 유닛들은 포인트 추가획득이 배수 스킬에 출격팀에 넣고 [[함내청소요원]]으로 전함에 처박아둔채 클리어만 해도 되기 때문에 배수 유닛을 최대한 많이 가지고 있는 쪽이 유리한 이벤트이다. 강적전은 첸크의 강적전과 유사한 전투 후 등장하는 강적을 쓰러뜨려서 얻는 보상과 강적코인으로 가챠를 돌려서 얻는 보상이 있다. BP 1소모당 90초 전투가능하며, 3소모시 150초, 체력,공격력 1.5배로 전투가능. 답파전과 강적전 모두 이벤트 보상 SSR은 R등급→SR등급→SSR등급으로 업그레이드 하는데, 각각 MAX한계돌파를 할때마다 상위 단계의 유닛이 지급되는 방식으로 상위등급 유닛을 얻기 위해는 총 4번의 MAX 한계돌파 와 17장의 유닛이 필요하므로 인벤 압박이 되는 편. 이때문에 5월경부터는 R등급 보상을 생략하고 SR등급 풀한돌로 SSR등급이 나오는 방식으로 단순화되었다. === 콜라보레이션 === 모바일 게임 특성상 타 미디어믹스와 콜라보가 잦은데 이 게임도 예외는 아니다. 단, 첫 콜라보 작품이 다름 아닌 [[아이돌마스터 제노그라시아]]라 양쪽 팬덤 모두 [[충공깽]] 상태. 12월 18일자로 임벨이 공개되었는데, 15코스트의 디펜더로 이벤트 기간동안 이벤트 퀘스트 박스 컴플릿 보상으로 4장, 이벤트 기간 6일 로그인으로 1장, 총 5장으로 풀한계돌파가 가능하도록 무료배포되었다. 제노그라시아 콜라보에서는 임벨과 하루카 뿐만 아니라 아즈사, 이오리, 야요이까지 모두 제노그라시아 당시의 그림체와 설정으로 등장한다. 네뷸러나 누비엄 같은 다른 IDOL 기체들은 등장하지 않았다가 이후, 제노그레시아,키사라기,신데마스 3대 아이돌마스터 시리즈 콜라보에서 추가되었다. 2월 12일자로 [[코드 기아스 망국의 아키토]]가 콜라보로 참전하였다. 제노그라시아의 임벨과 동일한 방식으로 [[휴가 아키토]]의 알렉산더를 풀한계돌파 할 수 있도록 무료배포되었다. 4월달에는 원본이 로봇물도 아닌 '''[[크레용 신짱]]과 극중에 나오는 로봇물인 [[칸탐로봇]]'''이 참전하는 것이 결정되었다. 이러한 본판이 로봇물이 아닌 작품도 참여하게 된지라 사실상 작품 내에 어찌됐건 로봇만 나오면 이 게임에서 전부 콜라보가 가능해질지도 모른다는 가능성이 열린 셈이다.(...) 급기야 6월에는 Og Md 발매기념으로 SSR 랭크 그란티드와 토우야를 주는 이벤트도 나왔다. 더 나아가서 에바와 함께 신 고지라도 기간한정 참전이 결정됐다. 그리고 9월에는 [[슈퍼로봇OG 라디오 우마스기 WAVE]]의 코너인 [[스기타 토모카즈]]의 열혈 로봇 아카데미의 극중 캐릭터인 모이모이까지 참전하게 된다. 그리고 2017년 2월에는 애니마스의 극중극인 [[무진합체 키사라기]]도 콜라보로 등장한다. 그리고 3월에는 [[사쿠라대전]]의 광무들이 콜라보로 등장한다. 기여코 2017년 12월에는 '''[[록맨 시리즈]]'''와 콜라보를 이루어냈다. 참전 기체는 [[록맨]],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블루스]],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로 총 3명. 성우진은 [[록맨 8]]을 따른다. 2018년 9월 4일에 트위터에 실루엣이 공개됐는데 [[아이카츠!]] 오오조랏콘과 [[오오조라 아카리]]가 등장. === 로봇 강화 및 육성 === ==== 강화 합성 ==== 첸크와 동일하게 전투 보상이나 프렌드 가챠 등으로 얻는 로봇과 강화소재 등을 합성해서 강화하는 방식이다. 한계돌파 역시 존재하며 전체 로봇 공통으로 최대 4회까지 한계돌파 가능. 2.0 업데이트 이후 성장타입에 [[대기만성|대기]]형이 추가되어 일부 SR,SSR의 성장타입이 변경되었는데, 이 대기타입의 기체는 한돌 1번 이상 하면 능력치가 폭등해 일반타입의 풀한돌과 맞먹는 스펙이 나오기 때문에 자기 기체의 성장타입을 확인하여 대기기체를 주력으로 육성하는 것이 좋다. 2.0 업데이트 이후 추가된 레어리티 각성이라는 시스템이 있는데, 이는 레어각성 칩으로 R+유닛을 교환한 뒤, R+(40)→R++(45)→SR(50)→SR+(55)→SSR(60) 순으로 레벨업 뒤 셀을 합성하여 상위 등급으로 진화시킨뒤 최종 SSR유닛을 얻도록 한다. SSR유닛을 획득함과 동시에 24시간 동안 핀포인트 저격가챠가 등장하는데, 50연을 6번 하면 해당 SSR카드를 1장씩 주므로 크리스탈이 남아돈다면 이용할 수도 있다(...)[* 이는 위에 언급한 대기 유닛의 한계돌파 때문에 필요한데, 대기 기체는 가챠로 매우 낮은 확률로 드랍되기 때문에, 대기 기체의 한돌에 이용가능한 같은 이름의 SSR 통상 유닛을 얻은 뒤 대기 기체에 먹여서 한돌을 시키기 위해 SSR 통상 카드가 필요한 것.] ==== 개조 ==== 카드 합성을 통한 강화와는 별개로 슈퍼로봇대전 스타일 고유의 개조 시스템이 존재한다. HP, 공격력, 장갑, 운동성의 4가지 수치를 개조가능하며 개조에는 개조 소재라는 별도의 비용이 들어간다. 이 개조 소재는 각종 퀘스트를 통해 획득가능. 레어도에 따라 개조단계가 다르고 4회까지 한계돌파해야 풀개조를 할 수 있으며, 풀개조시 특수효과가 붙는다. ==== 필살기 강화 & 선택 ==== 캐릭터 화면에서 필살기 및 정신커맨드 선택이 가능하다. 캐릭터 레벨을 올리면 유닛 퀘스트가 해금되고 이를 클리어하면 어빌리티가 해금되는 방식. 정신커맨드 역시 레벨이 올라가고 사용 횟수가 늘어나면 강화된 정신커맨드를 사용할 수 있거나 새로운 정신커맨드를 쓸 수 있다. 필살기의 경우는 별도의 필살기 강화용 아이템 합성으로 강화가 가능하며, 레벨이 올라가면 필살기도 강화된 필살기가 해금된다. 필살기 레벨은 최대 6단계까지 강화 가능. ==== 강화파츠 & 전함관리 ==== 캐릭터 화면에서 2번째 페이지로 가면 강화파츠를 장비할 수 있다. 강화파츠는 카드, 개조소재와는 또 다른 마테리얼이라는 비용을 소모하는데, 마테리얼은 RGBY 4종류가 존재하며 각각 4종류의 마테리얼을 지불하고 구입하는 형식이다. 또한 강화파츠에도 코스트가 존재하여 고급 강화파츠는 코스트도 높고 장착 제한이 붙는다. 마테리얼의 용도는 한가지가 더 있는데, 바로 전함의 강화. 마테리얼 교환 페이지에 아군 전함교환 및 강화 페이지가 있는데 여기서 아군 전함 교환은 물론 전함의 능력치 강화까지 가능하다. 전함을 강화하면, 자체 HP는 물론, 전함 수납시 회복 HP량이 상승한다. 전함은 메인스토리를 진행하면서 교환이 가능하고, 메인스토리를 완료할 경우에만 지급. 예외적으로 이벤트를 통해 기간한정으로 획득가능한 전함도 있는데, [date]일 현재 24+7종류의 전함을 입수 가능하며, 이중 SSR[Ω]는 아래에 별도로 기재한다.[* 나데시코C는 기간한정으로 현재 획득 불가. 원래 G1베이스도 기간한정이었는데 메인스토리 7장에서 복각되면서, 이 둘도 복각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4.0 업데이트 기념으로 지급된 아크엔젤[Ω]도 복각되었다. ] 메인스토리에서 획득가능한 전함을 입수하기 위해서는 RGBY 마테리얼을 지불해야한다. 4.0 업데이트 기념으로 풀린 아크엔젤[Ω]는 전함중 최초로 일반 플레이중 1번씩 지원사격(전체공격에 대미지 10만가량) 기능이 생기면서 VS,투멸등에선 거의 필수취급이다. 이후 아크엔젤 [Ω]를 시작으로 지원사격이 가능한 SSR 전함들이 점점 풀리게 된다. ||<:> 전함명 ||<:> 함장 ||<:> 레어도 ||<:> 초기[br]HP ||<:> 초기[br]회복량 ||<:> 코스트 ||<:> 스킬 ||<:> 입수방법 || ||<:> [[프톨레마이오스(기동전사 건담 00)|프톨레마이오스]] ||<:> [[스메라기 리 노리에가]] ||<:> UC ||<:> 4030 ||<:> 590 ||<:> 4 ||<:> 아군전원 회피율 상승 ||<:> 초기지급 || ||<:> 라딧슈 ||<:> [[헨켄 베케너]] ||<:> R ||<:> 8820 ||<:> 940 ||<:> 5 ||<:> (아군에리어에 유닛 있을때) [br] 아군 전원 장갑상승 ||<:> 제1장 제16화 클리어 || ||<:> [[아가마(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아가마]] ||<:> [[브라이트 노아]] ||<:> R ||<:> 11190 ||<:> 1050 ||<:> 6 ||<:> (아군에리어에 유닛 있을때) [br] 아군 지역내 전원 공격력 상승 ||<:> 제1장 제29화 클리어 || ||<:> 그란가란 ||<:> [[시라 라파나]] ||<:> SR ||<:> 13480 ||<:> 1530 ||<:> 9 ||<:> (전함의 HP가 1/2이상일때) [br] 아군 전원 장갑 상승 ||<:> 제1장 제39화 클리어 || ||<:> 고라온 ||<:> [[에레 함]] ||<:> SR ||<:> 14370 ||<:> 1060 ||<:> 9 ||<:> (아군에리어에 유닛 있을때) [br] 아군 크리티컬율 상승 ||<:> 제2장 제9화 클리어 || ||<:> 오케아노스 ||<:> [[시마#s-6|시마]] ||<:> SR ||<:> 11700 ||<:> 1530 ||<:> 8 ||<:> (전함의 HP가 1/2이상일때) [br] 아군 이동속도 상승 ||<:> 제2장 제18화 클리어 || ||<:> [[아크엔젤(기동전사 건담 SEED)|아크엔젤]] ||<:> [[마류 라미아스]] ||<:> SR ||<:> 13840 ||<:> 1410 ||<:> 9 ||<:> (전함의 HP가 1/2이상일때) [br] 아군 회피율 상승 ||<:> 제2장 제27화 클리어 || ||<:> [[라 카이람]] ||<:> [[브라이트 노아]] ||<:>SR ||<:> 13930 ||<:> 1300 ||<:> 10 ||<:> (배틀에 참가한 유니트의 경험치 업) ||<:> 제3장 제8화 클리어 || ||<:> 굿썬더 ||<:> 사바라스 ||<:> SR ||<:> 15260 ||<:> 830 ||<:> 7 ||<:> (아군 전체의 장갑 업) ||<:> 제3장 제12화 클리어 || ||<:> [[이터널(기동전사 건담 SEED)|이터널]] ||<:> [[라크스 클라인]] ||<:> SR ||<:> 14370 ||<:> 1470 ||<:> 10 ||<:> (아군 전체의 명중률 업) ||<:> 제3장 제18화 클리어 || ||<:> [[가란시엘]] ||<:> [[스베로아 진네만]] ||<:> R ||<:> 10400 ||<:> 1150 ||<:> 6 ||<:> (적군 에리어에 있는 아군의 장갑률업) ||<:> 제3장 제23화 클리어 || ||<:> [[월광호]] ||<:> [[타르호|타르호 유키]] ||<:> SR ||<:> 12590 ||<:> 1240 ||<:> 8 ||<:> (전함의 HP가 1/2이 되었을때) [br] 아군 전체의 크리티컬 업 ||<:> 제4장 제5화 클리어 || ||<:> [[엑셀리온(톱을 노려라!)|엑셀리온]] ||<:> [[타시로 타츠미]] ||<:> SR ||<:> 16160 ||<:> 770 ||<:> 10 ||<:> (전함의 HP가 3/4이 되었을때 ) [br] 아군 전체의 장갑 업 ||<:> 제5장 제10화 클리어 || ||<:> [[가루다(기동전사 건담 시리즈)|아우드무라]] ||<:> [[하야토 코바야시]] ||<:> R ||<:> 10400 ||<:> 940 ||<:> 5 ||<:> 아군 전체의 이동속도 업 ||<:> 제6장 제10화 클리어 || ||<:> G1베이스[* [[흑의 기사단(코드 기아스)|흑의 기사단]] 사양.] ||<:> [[오우기 카나메]] ||<:> R ||<:> 11980 ||<:> 1100 ||<:> 6 ||<:> (아군이 적진영에 있을때) [br] 아군 전체의 공격력 업 ||<:> 제7장 제10화 클리어[* 초기에는 「歴史の狭間で輝くモノ」 이벤트 퀘스트 올 클리어로 얻는 기간한정 전함이었으나 복각되었다.] || ||<:> 간돌 ||<:> [[하즈키 코타로]] ||<:> SR ||<:> 14920 ||<:> 1180 ||<:> 10 ||<:> (아군이 적진영에 있을때) [br] 아군 전체의 크리티컬 업 ||<:> 제8장 제10화 클리어 || ||<:> [[나데시코#s-2|나데시코C]] ||<:> [[호시노 루리]] ||<:> SSR ||<:> 17950 ||<:> 1700 ||<:> 13 ||<:> (아군이 적진영에 있을때) [br] 아군 전체의 회피율 업 ||<:> 기간한정[* 「じぶんらしくあるために」 강적 이벤트에서 강림칩 500개로 교환. 그리고 바로 다음 이벤트인 「復元される痛み」 이벤트에서 강림칩 125개로 교환 가능.] || ||<:> [[흑의 리바이어스]] ||<:> [[네야]] ||<:> SSR ||<:> 14980 ||<:> 420 ||<:> 11 ||<:> (아군이 진영에 있을때) [br] 아군 전체의 장갑大업 ||<:> 기간한정[* 「じぶんらしくあるために」 강적 이벤트에서 강림칩 500개로 교환.] || ||<:> 드바루카 ||<:> 이졸라 ||<:> SR ||<:> 11700 ||<:> 1530 ||<:> 8 ||<:> (전함의 HP가 4/5이상일때) [br] 아군 전체의 이동속도, 명중률업 ||<:> 기간한정[* 「復元される痛み」 이벤트에서 강림칩 100개로 교환.] || ||<:> [[엘트리움]] ||<:> [[타시로 타츠미]] ||<:> SSR ||<:> 18410 ||<:> 1050 ||<:> 13 ||<:> (전함의 HP가 1/4이상일때) [br] 아군 전체의 장갑大상승 ||<:> 제12장 제8화 클리어 || ||<:> [[프톨레마이오스 II]] ||<:> [[스메라기 리 노리에가]] ||<:> SR ||<:> 13040 ||<:> 1470 ||<:> 9 ||<:> (전함의 HP가 2/3이상일때) [br] 아군 전체의 회피율상승 ||<:> 제13장 제10화 클리어 || ||<:> 그란베리 ||<:> [[마리벨 멜 브리타니아]] ||<:> SR ||<:> 16160 ||<:> 1180 ||<:> 8 ||<:> (전함의 HP가 1/2이상일때) [br] 아군 전체의 이동속도大상승 ||<:> 제14장 제10화 클리어 || ||<:> [[솔레이유]] ||<:> [[디아나 소렐]] ||<:> SR ||<:> 11240 ||<:> 1560 ||<:> 9 ||<:> 아군 전체의 공격력상승 ||<:> 제15장 제10화 클리어 || 전체공격이 가능한 SSR 전함 성능은 별도로 기재한다. 현재는 2종만 스토리 클리어로 획득가능하나, 스토리가 업데이트 될수록 풀리는 SSR 전함이 늘어날 예정이다.(스탯은 1레벨 기준) ||<:> 전함명 ||<:> 함장 ||<:> 레어도 ||<:> 초기[br]HP ||<:> 초기[br]회복량 ||<:> 코스트 ||<:> VS전체공격효과(재사용) ||<:> 스킬 ||<:> 입수방법 || ||<:> [[아크엔젤(기동전사 건담 SEED)|아크엔젤]][Ω] ||<:> [[마류 라미아스]] ||<:> SSR ||<:> 15440 ||<:> 1720 ||<:> 13 ||<:> 200%위력 방어무효빔,적행동100%소멸(15턴)||<:> 아군 전체의 명중률 회피율 大상승 [br] [VS]행동력300,공격력10%,크리율10% 상승 ||<:> 4.0업데이트 특별 퀘스트 클리어 [br] 제16장 제10화 클리어 || ||<:> [[라 카이람]][Ω] ||<:> [[브라이트 노아]] ||<:> SSR ||<:> 15760 ||<:> 1660 ||<:> 13 ||<:> 150%위력 방어무효,바리어관통빔(10턴) ||<:> 아군 전체의 경험치 추가상승 [br] [VS]공격력,크리 10% 상승, 행동력 150 상승 ||<:> 제17장 제10화 클리어 || ||<:> [[투아하 데 다난(풀 메탈 패닉!)|투아하 데 다난]][Ω] ||<:> [[테레사 테스타롯사]] ||<:> SSR ||<:> 15160 ||<:> 1770 ||<:> 12 ||<:> 100%위력 분신무효,바리어관통(8턴)||<:> 전함HP 1/2이상일때 크리,이동속도,회피율 大상승 [br] [VS]명중 15%,회피 20% 상승, 행동력 200 상승 ||<:> 제18장 제10화 클리어 || ||<:> [[이카루가#s-2.1|이카루가]][Ω] ||<:> [[리 신쿠]] ||<:> SSR ||<:> 15280 ||<:> 1600 ||<:> 12 ||<:> 300%위력,적행동50%소멸,100%확률로 1턴간 적 슬로우(14턴) ||<:> 아군 지역내 아군 장갑 大상승 [br] [VS]장갑 10000, 명중 10% 상승 ||<:> 2019.2 「自由を我が手に」강립칩 보상 || ||<:> [[히류改]][Ω] ||<:> [[레피나 엔필드]] ||<:> SSR ||<:> 16000 ||<:> 1680 ||<:> 14 ||<:> 180%위력 분신무효,1턴간 적 회피율 50%다운(14턴) ||<:> 아군 전체의 획득자금 추가상승 [br] [VS]장갑 7000, 크리방어25% 상승, 행동력 300 상승 ||<:> 2019.3 진격이벤트 「鋼の魂」진격칩 보상 || ||<:> [[진 드래곤]][Ω] ||<:> [[고우(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고우]] ||<:> SSR ||<:> 17520 ||<:> 1440 ||<:> 14 ||<:> 250%위력 방어무효,장갑100%무효,바리어관통, 1턴간 적바리어,특수장갑 무효(15턴) ||<:> 아군 지역내 아군 크리배율,크리율 상승 [br] [VS]공격력 20%, 장갑 5000,크리율 15% 상승 ||<:> 2019.3 「約束のツバサ」강립칩 보상 || ||<:> [[솔레이유]][Ω] ||<:> [[디아나 소렐]] ||<:> SSR ||<:> 15000 ||<:> 1780 ||<:> 13 ||<:> 150%위력 2회 빔공격, 적행동30%소멸(12턴)||<:> 아군 전체의 공격력,장갑상승 [br] [VS] 행동력150,공격력10%,명중률20% 상승 ||<:> 2019.4 진격이벤트「交わる水平線、その先に」진격칩 보상 || ||<:> [[이터널(기동전사 건담 SEED)|이터널]][Ω] ||<:> [[라크스 클라인]] ||<:> SSR ||<:> 15280 ||<:> 1760 ||<:> 13 ||<:> 100%위력 바리어 관통 빔공격, 적행동100%소멸(9턴)||<:> 아군 전체의 명중률,크리티컬상승 [br] [VS]행동력200,크리율5%,크리방어15%,공격력10% ||<:> 2019.6 VS배틀이벤트「間暮れに消えゆく王の器」강림칩 보상 || ||<:> [[마더 뱅가드]][Ω] ||<:> [[베라 로나]] ||<:> SSR ||<:> 15800 ||<:> 1600 ||<:> 10 ||<:> 200%위력 방어, 바리어 관통 물리공격, 1턴간 적 필살기 소모량+2(14턴)||<:> 배틀종료후 획득자금상승 [br] [VS]행동력100,크리율20%,크리방어20%,명중률25% ||<:> 2019.7 VS배틀이벤트「綯い交じる、今」강림칩 보상 || === 가챠 === 크리스탈을 소모하는 유료 가챠의 경우는 1회당 5개, 10연당 50개를 소모한다, 초회의 경우 40% 할인 적용. 유료 가챠는 기간 한정가챠와 베이스가챠 2종류로 나누어지고 베이스가챠만 프리미엄 티켓을 돌릴 수 있다. 첸크와 동일하게 지역별로 드랍 테이블이 다르니 상단의 지역을 선택해서 드랍 테이블을 확인한 다음 가챠를 돌리도록 하자. 프렌드 가챠는 타 게임에도 있는 무료 가챠의 형태와 유사. 이벤트 가챠는 첸크의 마신가챠와 동일하게 강적전 보스를 격파해서 얻은 코인을 돌려서 보상을 얻는다. 낮은 확률로 SSR강적 획득 가능. === S칩 === 첸크의 포츈링과 유사한 기능의 화폐가 S칩이다. 레어 이상의 유닛 판매나 퀘스트 보상으로 얻을 수 있는 S칩을 교환해 카드나 아이템을 얻을 수 있다. 최초로 풀린 S칩 전용 SSR은 S칩 100개로 어태커 속성의 마징가 Z([[제트 스크랜더]]) 버전을 얻을 수 있다. 기존 첸크에서는 링캐 성능이 항상 가챠캐에 못 미쳤지만 JS 버전은 같은 레벨 가챠 SSR과 맞먹는 고성능이므로 기회가 된다면 얻어두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 외에도 SR 반아인을 S칩 50개에 기간 무제한으로 교환할 수 있다. 또한 AP 회복약과 프리미엄 티켓 역시 S칩으로 구매가능. 이후 가챠항목에 S칩 250개를 소모하여 SSR이 저확율로 나오는 가챠인 S칩가챠를 추가하였다. == 참전작 == '''신참전작은 굵은 글씨로 표기''' '''스토리 퀘스트 및 이벤트 스토리, 기체가 전부 참전한 작품은 ★표, 스토리상에서 간접적으로 언급되는 작품은 ☆표. 이벤트 스토리에 참전 및 기체 참전은 ◆표. 기체만 참전한 작품에는 ◇표. ()에는 각 작품이 처음 등장하는 장을 의미한다.''' 어플 릴리즈 이전 및 이후 확정된 1기 참전작 이후로 게임안의 스토리 3장을 업데이트 한 뒤 추가로 2기 참전작품을 발표하였다. 이는 전에 일본의 소셜게임 서비스 사이트인 mobage에서 서비스 하던 [[슈퍼로봇대전 카드 크로니클]]과 비슷한 방식으로, 다른 점은 한번에 공개하는 것이 아닌 게임 안의 이벤트 참전 등으로 천천히 일부 작품을 공개하는 방식이라는 것. === 참전작 1기 === * [[마징가 Z]]★(제1장) * [[그레이트 마징가]]★(제1장) * [[UFO로보 그렌다이저]]◆[* "제2장 5화 에피소드 1에서 [[듀크 프리드|우몬 다이스케]]가 [[STAR DRIVER 빛의 타쿠토]]의 남십자 학원의 연극부 야간비행의 고문을 맡고 있는 것으로 첫등장. 하지만 정체를 밝히지 않은 상태라 오리지널 히로인 샤테만이 조금 의심쩍게 생각하고 넘어간 정도. 여담으로 같은 [[마징가 시리즈]]의 악역 [[아수라 남작]]은 바로 다음 에피소드에서 '''[[기라성십자단]]과 동맹을 맺고선 경례인 "키라보시!!" 를 외치는 등 완벽하게 그들과 동화되어있다'''(…) 이후 참전작 2기 업데이트와 함께 기체가 먼저 참전, 마징카이저 이벤트에서 이벤트 스토리에 참전하였다.] * [[겟타로보]]★(제1장) * [[초전자로보 컴배틀러 V]]★(제2장) * [[초전자머신 볼테스 V]]◇★(제3장) * [[무적강인 다이탄3]]☆◇★(제3장)[* 화성에서 메가노이드가 무장봉기를 일으켜 주인공 일행에게 쳐들어 오는 것으로 스토리가 시작된다. 다만 [[하란 반죠]]는 스토리나 이벤트 스토리 상으로는 참전하지 않고 기체인 다이탄3만이 먼저 업데이트 되었다.] * [[전국마신 고쇼군]]◆★(제5장) * [[성전사 단바인]]◇ * [[장갑기병 보톰즈]]◆★(제4장) * [[기동전사 Z 건담]]★(제2장) * [[기동전사 건담 ZZ]]◆★(제5장)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제5장) * [[기동전사 건담 SEED]]★(제2장) * [[기동전사 건담 OO]]★(제1장)(제3장)[* 퍼스트 시즌은 1장, 세컨드 시즌은 3장부터.] * [[기동전사 건담 UC]]◆ * [[초수기신 단쿠가]]★(제3장) * [[톱을 노려라!]]◆ * [[용자왕 가오가이가]]★(제1장) * [[풀 메탈 패닉!]]★(제3장) * [[오버맨 킹게이너]]◆ * [[창성의 아쿠에리온]]◆★(제4장) * [[교향시편 에우레카 세븐]]◆, * '''[[제가페인]]'''◆★(제4장)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제1장) * [[에반게리온 서|에반게리온 신극장판: 서]]◆ * [[에반게리온 파|에반게리온 신극장판: 파]]◆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제2장)[* 2장의 주요 무대가 남십자성이다보니 해상 전투가 많고, 때문에 대체로 해상 지형적응이 엉망인데다, 이곳이 주 무대인 타우반마저 해상 B라서 스토리가 더럽게 빡빡하다. 특히 해상적응 쓰레기인 [[나이트메어 프레임]]위주라면 더욱...] * '''[[특장기병 돌박]]'''◇★(제5장) * '''[[광속전신 알베가스]]'''◆★(3장) * '''[[코드 기아스 쌍모의 오즈]]'''★(제3장)[* 망국의 아키토 이벤트로 이벤트 스토리엔 먼저 참전했고 이후 3장 업데이트로 스토리에도 참전하였다. 다만 적으로서 등장.] === 참전작 2기 === * [[마징카이저]]◆★(제5장) * [[겟타로보G]]◆★(제5장) * [[기동무투전 G건담]]◆ * [[머신로보 크로노스의 대역습]]◆★(제4장) * '''[[기갑엽병 메로우링크]]'''◆ * [[풀 메탈 패닉!]] 원작 소설판◆ * [[신기동전기 건담 W Endless Waltz]]◆★(제4장) * [[기동전사 건담 SEED DESTINY]] ◆(제5장) * [[기갑전기 드라고나]] ◆ * [[기동전사 건담 F91]]◆ * [[톱을 노려라2!]]◆ * [[극장판 천원돌파 그렌라간 홍련편]]◆ * [[기동전사 V건담]]◆ * '''[[STAR DRIVER 빛의 타쿠토|STAR DRIVER THE MOVIE]]'''◆ *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R2]]◆ *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 [[용자왕 가오가이가 FINAL]]◆(제5장) * [[우주대제 갓시그마]]◆ * [[미래로보 달타니어스]]◆ * [[기동전사 건담 00 A wakening of the Trailblazer]]◆ * '''[[무한의 리바이어스]]'''◆ * '''[[에우레카 세븐 AO]]'''◆ * '''[[겟타로보 고]]'''◆ * [[수장기공 단쿠가 노바]]◆ === 참전작 3기 === * '''[[우주를 달리는 소녀]]'''◆ * '''[[가사라키]]'''◆ * [[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 * [[투장 다이모스]]◆ * [[∀건담]]◆ * [[풀 메탈 패닉! The Second Raid]]◆ * [[크로스 앙쥬 천사와 용의 윤무]]◆ * [[에반게리온: Q|에반게리온 신극장판: Q]]◆ * [[기갑계 가리안]]◆ * [[극장판 천원돌파 그렌라간 나암편]]◆ * [[마징카이저 SKL]]◆ * [[기동신세기 건담 X]]◆ * [[아쿠에리온 EVOL]]◆ * [[중전기 엘가임]]◆ * '''[[태양의 엄니 다그람]]'''◆ * '''[[비디오전사 레자리온]]'''◆ * '''[[캡틴 어스]]'''◆ * [[우주전사 발디오스]]◆ * '''마징가엔젤'''◆ * [[마징카이저 사투! 암흑대장군]] ◆ * [[풀 메탈 패닉? 후못후]] ◆ * '''머신로봇 배틀 해커즈''' ◆ === 참전작 4기 === * '''[[건담 빌드 파이터즈]]''' ◆ * [[진 마징가 ZERO VS 암흑대장군]] ◆ * '''[[프리크리]]''' * '''[[우주형사 갸반]]''' * [[마신영웅전 와타루]] * '''[[용자 엑스카이저]]''' * '''[[반드레드]]''' * [[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 * '''[[신세기 에반게리온 ANIMA]]''' ◇ * [[천공의 에스카플로네]] * '''[[해적전대 고카이저]]''' * [[NG기사 라무네&40]] * '''[[VS기사 라무네&40염]]''' === 기간한정 특별 참전작 === ()는 참전 기간. * '''[[아이돌 마스터]]''' * '''[[아이돌 마스터 제노그라시아]]''' ◆[* 각종 커뮤니티에서도 화제가 되고 있다. 농담으로 말하던 슈로대의 임벨 참전이 현실화된것(...)] * [[iDOL(제노그라시아)#s-2.1.1|프로메테우스 1 임벨]] & [[아마미 하루카(제노그라시아)|아마미 하루카]] (2015/12/18~2015/12/28) * [[iDOL(제노그라시아)#s-2.1.2|프로메테우스 2 네뷸러]] & [[미나세 이오리(제노그라시아)|미나세 이오리]], [[iDOL(제노그라시아)#s-2.1.2|프로메테우스 3 누비엄]] & [[키사라기 치하야(제노그라시아)|키사라기 치하야]] (2017/9/9~2017/9/14) * '''[[무진합체 키사라기]]''' (키사라기 (오버마스터) & [[후타미 아미·마미|아미·마미]], 하루카이저 & [[아마미 하루카|하루슈타인]]) ◆ (2017/02/01~2017/02/08, 2017/08/22~2017/09/23)[* 참전 기념으로 애니메이션판에서 메인 테마로 사용된 [[키사라기 치하야]]의 [[arcadia]]가 재편곡 되었다. 참전 소개 PV도 애니메이션판의 예고를 적절히 오마쥬한 게 특징.[[https://youtu.be/zkZYZZyFO4w|PV]]] *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 (키라링로보 & [[모로보시 키라리|키라리 박사]], 우사기로보 & [[후타바 안즈|안즈]], 글래시 로보 & [[카미조 하루나|글라선하루나]]) ◆ (2017/8/22~2017/9/23)[* 데레 5th 라이브에서 중대발표로 공개되었으며, 21일 슈파크로 니코나마에서 발표.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소셜 게임)]]에서도 기간한정 캠페인으로 [[마사키 안도|시로&쿠로]]와 코스프레 버전 [[사이바스터]]의 푸치데렐라 의상을 선물로 준다. ~~패밀리어 [[미쿠냥]]과 [[시마무]]바스터~~ 2017년 11월 28일에도 신데마스와 OG가 콜라보될 예정.] * '''[[코드 기아스 망국의 아키토]]''' ◆ * [[알렉산더(코드기아스 시리즈)|알렉산더 Type.1]] & [[휴가 아키토]] (2016/02/15~2016/02/21,) * [[레일라 말칼]], 코우사카 아야노 ( 2016/12/08~2016/12/14) * [[알렉산더(코드기아스 시리즈)|알렉산더・레드오우거]] & 애슐리 아슈라, [[알렉산더(코드기아스 시리즈)|알렉산더・리베르테]] & [[휴가 아키토]], [[알렉산더(코드기아스 시리즈)|알렉산더 Type.2]] & [[레일라 말칼]] (2016/11/1~2016/11/8) * '''[[크레용 신짱]] ([[노하라 신노스케]] & [[칸탐로봇]][* 그 극중극인 칸탐로보 맞다! 다만 칸탐로봇의 극중극의 진짜 제목인[[초전도 칸탐로보]]가 아닌 크레용 신짱으로 나왔다.])'''◆(2016/04/22~2016/04/30) * '''[[고지라]] 대 에반게리온''' ◆ ([[고지라]][* 디자인은 고지라 파이널워즈 고지라 기준.], [[메카고지라#s-2.3|3식 기룡]] & 야시로 아카네, [[메카고지라#s-2.4|3식 기룡 을형]] & [[이카리 신지]]) (2016/08/01~2016/08/08)[* [[신 고지라]]가 참전한 걸로 잘못 알려져 있으나 정확히는 2016년 만우절 기획이었던 고지라 대 에반게리온이 참전하는 것이다. 고지라 측에서는 [[고지라]] 이외에도 [[메카고지라#s-2.3|밀레니엄 메카고지라 3식 기룡]]과 오리지널 기체~~끔찍한 혼종~~인 [[메카고지라#s-2.4|3식 기룡 을형]]이 유닛으로 등장한다.] * '''[[보더 브레이크]]''' (X-IIIcg & 피오나, 쿠거1형 & 오즈) ◆(2016/10/09~2016/10/17) * '''[[은하기공대 마제스틱 프린스]]''' ◆ * 레드파이브 & [[히타치 이즈루]] (2016/11/01~2016/11/08) * 프레에그제스 전용 기동병기 (지하드기) & 지하드, 레드파이브 & [[히타치 이즈루]] (Ω), 골드포 & 스루가 아타루, 퍼플투 & 쿠기미야 케이, 블랙식스 & 쿠로키 안쥬, 블루원 & 아사기 토시카즈, 로즈쓰리 & 이리에 타마키 (2018/11/16~2018/11/23) * '''[[사쿠라대전]]''' * 광무이식& [[제국화격단]] ◆(2017/03/18~2016/03/24) * 광무 X & [[이누이 아사히]], 광무 Ω & 샤테 쥬스베스틴, 광무 Ω & [[이누이 호노카]]◆ (2017/03/25~2016/03/31) * 광무이식 (레니기) & [[레니 밀히슈트라세]], 광무이식 (오리히메기) & [[솔레타 오리히메]] ◆(2018/03/09~ 2018/03/15) * 광무F2 & [[파리화격단]] ◆(2018/03/16~2018/03/23) * [[기동전함 나데시코 -The Prince of Darkness-]] (블랙사레나 & 덴카와 아키토)◆ (2017/04/01~2017/04/05) * '''[[공룡전대 쥬레인저]]''' ◆ ([[대수신]] & [[게키(공룡전대 쥬레인저)|공룡전대]] [[고우시(공룡전대 쥬레인저)|쥬]][[단(공룡전대 쥬레인저)|레]][[보이(공룡전대 쥬레인저)|인]][[메이(공룡전대 쥬레인저)|저]]) (2017/05/10~2017/05/16) * [[기동전사 건담 SEED ASTRAY]] ◆ ([[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s-6.4|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파워드레드]] & [[로우 귤]] ,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s-6.4|아스트레이 레드 프레임・파워드레드]] & [[로우 귤]], [[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세컨드#s-1.1.2|아스트레이 블루 프레임 세컨드 L]] & [[무라쿠모 가이]], [[아스트레이 골드 프레임 아마츠#s-2.2|아스트레이 골드 프레임 아마츠]] & [[론도 기나 사하크]]) (2017/07/01~2017/07/08) * '''[[윤회의 라그랑제]]''' ◆ (복스 아우라 & [[쿄우노 마도카]],복스 림파 & [[핀 에 루드 쉬 라핀티|란]], 복스 이그니스 & [[무기나미]]) (2017/07/09~2017/07/14, 2018/08/24 ~ 2018/08/31) * '''[[로봇 걸즈 Z]]''' ◆ ([[Z쨩]], [[그레쨩]],[[그렌다씨]],겟짱드래곤,트리플가짱) (2017/08/01~2017/08/08) * '''[[http://www.yatate.net/sunmusu/sunmusu-main.html|썬소녀~Girl's Battle Bootlog]]''' ◆[* 선라이즈에서 공식적으로 집필하는 소설로, 선라이즈 출신 로봇들의 힘을 빙의한 소녀들의 싸움을 다루는 작품이다. X-Ω에 등장하는 나나시로 마치는 레이즈너를 빙의해서 싸운다. [[맥스 팩토리]]에서 [[https://twitter.com/MXF_official/status/913579171229589505|프라모델화가 결정되었다.]]] * 나나시로 마치 (맥시멈 모드) (2017/08/01~2017/08/08) * 아마키리 시즈루 (맥시멈 모드) (2018/10/24 ~ 2018/10/31) * '''[[해커돌]]''' ◆ (절대진보 해커도리온 & 해커돌 1호) (2017/08/09~2017/08/16) * '''[[헤봇!]]''' ◆ (헤봇) (2017/10/09~2017/10/16) * '''[[세가 하드 걸즈]]''' ◆ (세하가리온 & 드림캐스트) (2017/10/09~2017/10/16) * '''[[리틀 위치 아카데미아]]''' ◆ (마법전사 그란샤리온 & 콘스탄세 아마리에) (2017/11/8~2017/11/15) * '''[[마크로스 Δ]]''' ◆ ([[VF-31]]C 지크프리드 (슈퍼팩) &[[미라쥬 파리나 지너스]] ,[[VF-31]]J 지크프리드 (슈퍼팩) & [[하야테 임멜만]]) (2017/11/16~2017/11/23, 2018/10/09 ~ 10/15) * [[마크로스 프론티어 작별의 날개|극장판 마크로스 프론티어 연리비익 ~작별의 날개~]] ◆ ([[VF-25]]S 메사이어(아머드팩) & [[오즈마 리]], [[YF-29]] 듀란달 (슈퍼팩) & [[사오토메 알토]], [[쿼드런 레아]] & [[크란 크란]]) (2017/12/1~2017/12/8, 2018/10/09 ~ 10/15) * '''[[록맨(게임)|록맨]]'''◆([[록맨]], [[블루스(록맨 클래식 시리즈)|블루스]], [[포르테(록맨 클래식 시리즈)|포르테]], [[메탈맨]], [[에어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에어맨]], [[버블맨]], [[퀵맨]], [[크래시맨]], [[플래시맨(록맨 클래식 시리즈)|플래시맨]],[[히트맨(록맨 클래식 시리즈)|히트맨]],[[우드맨(록맨 클래식 시리즈)|우드맨]] ) (2018/01/01~2018/01/08) * '''[[마징가 Z: 인피니티|마징가 Z / INFINITY]]'''◆ ([[마징가Z(로봇)|마징가Z]] &[[카부토 코우지]](INFINITY ver) ,[[그레이트 마징가(로봇)|그레이트 마징가]] & [[츠루기 테츠야]](INFINITY ver)) * '''[[어떤 마술의 버추얼 온|어떤 마술의 전뇌전기]]''' ◆(스페시네프 "Rusty Blood" & [[엑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엑셀러레이터]], [[템진 707 시리즈|템진 707]] & [[카미조 토우마]], [[3세대형 발 시리즈|발 르룬]] & [[인덱스(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인덱스]], [[페이 옌 더 나이트]] "저지 이그나이터스" & [[시라이 쿠로코]], [[2세대형 라이덴|라이덴]] "저지 이그나이터스" & [[미사카 미코토]]) (2018/02/15 ~ 2018/02/22) * '''[[중신기 판도라]]''' ◆(P1 & 레온 로우, P3 & 케이니 요우) (2018/08/09 ~ 2017/08/15) * '''[[아이카츠!]]''' ◆(오오조랏콘&[[오오조라 아카리]]) (2018/09/09~2018/09/15) * [[초시공요새 마크로스 사랑 기억하고 있습니까]]◆ ([[VF-1S]] 발키리 (스트라이크팩) & [[로이 포커]], [[VF-1A]] 발키리 (스트라이크팩) & [[이치죠 히카루]]/[[린 민메이]]) (2018/10/09 ~ 10/15) * '''[[큐티하니]] 유니버스''' ◆ ([[키사라기 하니|큐티하니 (Ver Univers)]] (2018/10/24 ~ 2018/10/31) * '''[[마브러브 얼터너티브]]''' ◆(XG-70d [[스사노오(마브러브 시리즈)|스사노오]]&[[시로가네 타케루]], TSF-Type00R [[타케미카즈치(마브러브 시리즈)|타케미카즈치]]&[[미츠루기 메이야]], TSF-Type00F [[타케미카즈치(마브러브 시리즈)|타케미카즈치]]&[[사카키 치즈루]], TSF-Type00A [[타케미카즈치(마브러브 시리즈)|타케미카즈치]]&[[아야미네 케이]], TSF-Type00A [[타케미카즈치(마브러브 시리즈)|타케미카즈치]]&[[타마세 미키]], ) (2018/11/01~2018/11/08) * [[열혈최강 고자우라]] ◆ ([[고자우라]] & 자우루즈) (2018/11/09~2018/11/16) *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 [[강철의 라인배럴]] * '''[[우주전함 티라미스]]''' * '''[[건전로봇 다이미다라]]''' * [[명왕계획 제오라이머]] ([[아키츠 마사토]] & [[그레이트 제오라이머]]) * '''[[마이히메]]''' * '''[[갤럭시 엔젤]]''' * '''[[메다로트]]''' * [[기동전사 건담 0083 스타더스트 메모리]] * [[취성의 가르간티아]] * '''[[Go! Go! 고마짱]]''' * '''[[배틀 스피리츠 브레이브]]''' ◆([[바신 단]] & [[초신광룡 사지트브룸 노바]]) * [[GUN X SWORD]] * [[개구리 중사 케로로]] * '''[[기동전사 건담 NT]]''' * [[마크로스 플러스]] * [[The Big-O]] * '''[[신칸센변형로보 신카리온 THE ANIMATION]]''' * [[용자특급 마이트가인]] * '''[[Robotics;Notes]]''' * [[패왕대계 류나이트]] * '''[[스크라이드]]''' * [[기신포후 데몬베인]] * [[New Story of Aura Battler DUNBINE]] * [[마크로스 7]] * [[수신 라이거]] * '''[[팝 팀 에픽]]'''[* 작품과는 별개로 [[오오바리 마사미]]가 찬조 출연한다. 시나리오 초반부에는 실루엣 형태에다 머리 부분에 오오바리 본인의 사인을 박아넣은 형태로 나오다가 시나리오 후반부에서 아예 본인이 직접 출연한다.] * [[혁명기 발브레이브]] * [[베터맨]] * '''[[신 사쿠라 대전]]''' * '''[[건담 빌드 파이터즈 배틀로그]]''' * [[초중신 그라비온]]Zwei * [[나이트 건담 이야기|SD 건담 외전 원탁의 기사]] * '''[[우주의 스텔비아]]''' * [[장갑기병 보톰즈 혁혁한 이단]] * [[기동전사 크로스본 건담 강철의 7인]] * [[버디 컴플렉스|버디 컴플렉스 완결편 -그 하늘로 돌아갈 미래에서-]] * '''[[건헤드]]'''[* ガンヘッド. 1989년 일본에서 개봉한 [[선라이즈(브랜드)|선라이즈]]와 [[도호]] 합작의 실사 특촬 영화다. 패미컴과 PC 엔진의 게임 및 [[아사미야 키아]] 작 만화판, 전 3권의 소설 등의 미디어 믹스가 이루어지기도 했다. [[https://pennyway.net/716|페니웨이™ 리뷰]] 본 작품에 참전하는 주인공 브루클린의 목소리도 당시 해당 배역을 맡았던 배우 타카시마 마사히로(高嶋政宏)가 담당하여 새로 녹음했다.] * [[무적초인 점보트3]] * '''[[성총사 비스마르크]]''' * [[푸른 유성 SPT 레이즈너]] * [[낙원추방|낙원추방 -Expelled from Paradise-]] * [[마크로스 제로]] * '''[[극장판 마크로스 Δ 격정의 왈큐레]]''' * '''[[신기동전기 건담 W 프로즌 티어드롭]]''' * '''[[마신영웅전 와타루 칠혼의 류진마루]]''' * [[닌자전사 토비카게]] * [[GEAR파이터 덴도]] * [[질풍! 아이언리거]] * '''[[겟타로보 하이]]''' * [[가이킹 LEGEND OF DAIKU-MARYU]] * '''[[GARO]]''' * '''[[요술공주 밍키 시리즈|요술공주 밍키]]'''([[밍키모모]] & [[밍키나사]]) * '''[[우리들의]]''' * [[전설거신 이데온]] * [[신혼합체 고단나|신혼합체 고단나!! SECOND SEASON]] * '''[[OBSOLETE]]''' * '''[[좀비 랜드 사가 시리즈]]''' * [[린의 날개]] === 번외 작품 === 공식 사이트에서 정식 참전 작품으로 표기되지 않은 작품군. 괄호의 경우 전격 온라인 공식 공략 Wiki에서 매긴 편의상의 분류다.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도 이쪽에 분류된다. * [[기동전사 건담 역습의 샤아 벨토치카 칠드런]](제1기) * 다이나믹 기획 오리지널 * [[마징엠페러 G]](제4기) * [[겟타 느와르|'''겟타 느와르 1호기''' / '''겟타 느와르 2호기''' / '''겟타 느와르 3호기''']] * [[진 겟타 드래곤(대결전)]] * [[슈퍼로봇대전 OG 시리즈|슈퍼로봇대전 OG]] * '''[[슈퍼로봇대전 OG 문 드웰러즈]] ([[시운 토우야]] & [[그랑티드]])'''◆ (2016/06/24~2016/06/30)[* OG 문 듀엘러즈 발매기념으로 등장한 콜라보 이벤트] * '''[[슈퍼로봇OG 라디오 우마스기 WAVE]] ([[신참로봇 모이모이]])'''◆(2016/09/09~2016/09/14) * [[슈퍼로봇대전 OG사가 마장기신 THE LORD OF ELEMENTAL|마장기신]] 시리즈◆ * [[사이바스터]] & [[마사키 안도]], [[그랑존]] & [[슈우 시라카와]], [[발시오네R]] & [[류네 졸다크]] (2016/12/15~2016/12/22, 2018/08/01 ~ 2017/08/08) * [[디아블로(마장기신)|디아블로]] & [[프레시아 제노사키스]] * [[네오 그랑존]] & [[슈우 시라카와]] * [[사이바스터]] (ver정령빙의) & [[마사키 안도]], [[그란벨]] & [[황 옌룽]], [[갓데스]] & [[튀티 노르바크]], [[잠지드]] & [[미오 사스가]], [[놀스 레이]] & [[세니아 그라니아 빌세이아]] (2018/10/16 ~ 2017/10/23) * [[그란벨]](ver정령빙의) & [[황 옌룽]], [[갓데스]](ver정령빙의) & [[튀티 노르바크]], [[잠지드]](ver정령빙의) & [[미오 사스가]], [[제르보이드]] & [[에란 제노사키스]] * '''[[슈퍼로봇대전 V]]''' ([[휘케바인]] & [[시즈키 시즈카와]])◆(2017/03/01~2017/03/08)[* 슈퍼로봇대전 V의 발매기념으로 공개된 기간한정 가챠로만 배포. 다만 유니트 퀘스트에서의 참전작 카테고리는 슈퍼로봇대전 OG 명의로 되어있다.] * [[ATX팀]] ([[알트아이젠 리제|알트아이젠・리제]] & [[쿄스케 난부]], [[라인 바이스릿터|라인・바이스릿터]] & [[엑셀렌 브로우닝]], [[그룬가스트 이식]] & [[쿠스하 미즈하]])◆ (2017/10/16~2017/10/23, 2018/08/01 ~ 2017/08/08) * [[다이젠가]] & [[젠가 존볼트]]◆ (2017/12/12~2017/12/25, 2018/08/01 ~ 2017/08/08) * [[바이사가]] & [[라미아 러블리스]], [[소울게인]] & [[엑셀 알마]] * [[게슈펜스트 하켄]] & [[하켄 브로우닝]] * [[SRX]] & [[R-GUN]]파워드 * [[용호왕]] * [[휘케바인 Mk-Ⅲ]] & [[료우토 히카와]] * [[얄다바오트(슈퍼로봇대전 시리즈)|얄다바오트]] & [[폴카 알버크]], [[비레폴]] & [[페르난도 알두크]] * [[엘 슈발리어]] & [[조슈아 래드클리프]], [[블랑슈네쥬]] & [[크리아나 림스카야]] === [[슈퍼로봇대전/오리지널|반프레스토 오리지널]] === ==== 알파오메가/H.I.A.W.D ==== ||
[[파일:SRWXΩ-chara_asahi_popup_02.png|width=100%]] || [[파일:SRWXΩ-chara_shutte_popup_02.png|width=100%]] || [[파일:SRWXΩ-chara_honoka_popup_01.png|width=100%]] || ||<)> [[이누이 아사히|'''{{{+2 이누이 아사히}}}'''[br]イヌイ・アサヒ]] ||<)> [[샤테 쥬드베스틴|'''{{{+2 샤테 쥬드베스틴}}}'''[br]シャッテ・ジュードヴェステン]] ||<)> [[이누이 호노카|'''{{{+2 이누이 호노카}}}'''[br]イヌイ・ホノカ]] || * [[반아인]] * [[반아인 알바]] * 반아우스 * 반레이즈 * 반발트 * 반하이트 * 반케후트 * 반오메가 ==== 알파 오메가 팀 ==== 주인공 아사히와 샤테가 소속된 화성 탐사팀. 프롤로그 시작하자마자 스플리터에 공격받는 바람에 스플리터 방호및 구출부대 솔리스와 자체 양산형 로봇인 하인헬름을 운영하게 된다. 솔리스대 여성 멤버들은 올리브와 함께 전원 하인헬름에 탑승하며 SSR 하인헬름은 한정 유닛으로 공개. 라이브 컷인을 가장한 [[바스트 모핑]]의 최초 적용 캐릭터가 되었다. 2017년 10월 24일에는 신규 캐릭터들이 등장하며. 이들의 전용기인 하인헤름改가 등장한다. * [[쿤 인유에]] 샤테 쥬드베스턴의 모친이자 알파 오메가팀의 핵심 인물. 딸과 사이가 안 좋지만, 프롤로그에서 아사히와 샤테의 탈출시간을 벌기위해 싸우다가 생사및 소식불명이 된다. [[파일:external/cdn.wiki.dengekionline.com/story_chara_00006.jpg|width=240]] * 미류 쥬스트(ミリュー・ジュスト) 화성조사단 알파오메가의 정비사. 느긋한 성격에 말을 늘어뜨리는 탈력계 아가씨. 샷테를 동생처럼 아낀다. ==== 구출부대 솔리스 ==== 알파 오메가가 화성유적 습격사건으로 해산되자 그 사건을 조사하기 위해 조직된 새로운 화성 조사단. 적대세력과의 전투를 상정해 인간형 기동병기 하인헬름이 배치되었으며 구성 멤버도 파일럿이 중심이다. ||
<-4> [[파일:external/pds26.egloos.com/e0060200_5837120268224.jpg|width=100%]] || || 올리브 오펠 || 베르타 베른슈타인 || 카탈리나 캄파니 || 아마노미야 아야메 || * 올리브 오펠(オリーヴ・オペール)(CV : [[미카미 시오리]])◆ 화성조사단 알파 오메가의 여성 멤버[* 설정상 19세로 아사히, 샤테보다 1살 많다.]로, 초기에는 오퍼레이터 및 게임 로딩 화면 등에 등장하는 얼굴 마담 역할만 했으나, 게임이 장기화되면서 창설된 로봇부대 솔리스대의 일원으로 들어가 하인헬름의 파일럿까지 겸하게 된다. 2017년 11월 같은 작가의 출연작 [[슈퍼로봇대전 V]]의 히로인 [[키사라기 치토세]]와 함께 [[슴가]] [[마우스패드]], [[다키마쿠라]]가 나오게 된다. ~~[[http://i2.ruliweb.com/cmt/17/10/15/15f1fd55b1610a2ff.jpg|치토세와 올리브 슴가패드 1타 2피 중인]] [[아카바네 켄지]]~~ * 아마노미야 아야메(アマノミヤ・アヤメ)(CV : [[야마무라 히비쿠]])◆, 화성조사단의 로봇부대 솔리스의 파일럿 3인방. 갈색 피부에 무술 유단자로 그냥 보면 [[대마인 아사기]] [[http://waterlotus.egloos.com/3555172|드립이 자연스럽게 나오는(…) 외모와 몸매의 소유자.]] 몸매답게 대식가. 작중에선 멤버들 중 유일하게 침착한 성격이자 츳코미 담당이며, 주로 베르타의 폭주에 반응해 츳코미를 날린다. 하지만 카탈리나의 말빨에 자주 당하는데다가. 덕분에 이벤트 스토리에서는 카탈리나의 페이스에 말려들어 '''"[[백합(장르)|카탈리나, 좋아해요, 사랑합니다!!]]"'''라고 외쳐서 타이밍 좋게 나타난 올리브에게 오해를 사버리기도 했다(…). 그뿐만이 아니라 멤버 4인중에서는 요리를 가장 못하는 독요리 제조가이자 요리치. * 카탈리나 캄파니(カタリーナ・カンパーニ)(CV : [[아이자와 마이]])◆, 솔리스의 파일럿으로 느긋한 성격에 여유만만한 아가씨. 올리브 포함 4명중 가장 거유. 실력도 있고 아야메,베르타를 가지고 노는 장난기 많은 성격이나 느긋하다 못해 게으른 편이라 올리브에게 잔소리를 자주 듣는다. 자주 호헤~(ほへ~)라는 감탄사를 말하는데, 시치미를 뗄 때 사용한다. 그래서 아사히가 카탈리나를 호헤~씨(ほへーさん)라고 부른다. ほへ~라는 이름의 어빌리티도 있을 정도. * 베르타 베른슈타인(ベルタ・ベルンシュタイン)(CV : [[사쿠라 아야네]])◆ 솔리스의 파일럿으로 자칭 명왕, 자신을 '''명왕13기둥 중 1명'''이라고 칭하는 중증 [[중2병]]에 입도 걸고 성질 급한 닥돌파. 슈로대 여캐, 특히 거유가 넘쳐나는 작중 주인공 팀에 보기 드문 [[무유|무유(無乳)]]로 이 컴플렉스가 있다. 의외로 4명 중 가장 연상이고 요리를 잘하는 듯. 최근에는 새로 가입한 자기 사촌 언니에게 시달리고 있다. 2주년 기념 오리지널 캐릭터 의상 인기투표에서 [[http://dengekionline.com/elem/000/001/541/1541962/srw-x_02_cs1w1_400x620.jpg|아이돌 버전]]이 [[샤테 쥬드베스틴|여주인공(파일럿 파츠 버전)]]을 제치고 409표로 1위를 차지했다. 3.0.1 업데이트 이후 메뉴 대기 화면에 올리브 대신 떠 있는 것이 베르타의 아이돌 의상 버전. [[파일:doetetrissen.jpg|width=240]] * 도르테 드리센(ドルテ・ドリーセン)(CV : [[쇼지 우메카]])◆ 솔리스에 새롭게 편입된 파일럿으로 카탈리나를 넘어서는 초 마이페이스에 천연계 아가씨. 베르타의 사촌 언니로, 그야말로 [[메가데레]]급으로 베르타를 좋아하는 극렬 시스콘. 덕분에 베르타는 도르테를 극도로 두려워 하고 있다. 2017년 10월 24일 이벤트에서부터 등장. 증원멤버 중 가장 먼저 하인헬름을 배정받아 참전했다. [[파일:emelelkin.jpg|width=240]] * 에멜 엘킨(エーメル・エルキン)(CV : [[노구치 유리]])◆ 솔리스에 새롭게 편입된 파일럿. 올리브보다 어린 팀내 최연소에 베르타를 능가하는 무유의 소유자(...)[* 여담으로, 담당성우 노구치 유리는 같은 회사의 [[아이돌 마스터 신데렐라 걸즈|아이돌 게임]]에서 [[오이카와 시즈쿠|작중 최고의 거유를 자랑하는 아이돌]]을 맡고 있다. 완전히 극과 극...].설명없이 보면 남자인지 여자인지 헷갈릴 정도. 11월 28일 이벤트에서부터 하인헬름을 배정받아 참전했다. 올리브를 매우 잘 따르는 착실한 성격의 후배. [[파일:floriafrank.jpg|width=240]] * 플로리아 프랑크(フローリア・フランク)(CV : [[이토 카나에]])◆ 솔리스에 새롭게 편입된 파일럿. 2018년 2월 23일부터 참전한다. 그림으로 그린듯한 [[롤빵머리]]를 과시하는 금발 아가씨. 딱 봐도 누님계 외모다. 생긴 것과는 달리 잘 나서지 않고 남을 관찰하면서 즐기는 성격이나 친화력이 있어서 나서는 일이 종종 있다고. 이미지대로 엄청 부잣집 아가씨인듯 하며, 덩치큰 [[카네 코르소]] 빅트란자작을 애완견으로 키우고 있다. [[파일:guniragrainer.jpg|width=240]] * 그니라 그레이너(グーニラ・グレーナー)(CV : [[마에다 아이(성우)|마에다 아이]]) 솔리스에 편입하게 된 엔지니어이자, 하인헬름의 개발 총책임자다. 어이없게도, 위 플로리아를 제치고 2018년 1월 17일자 이벤트로 하인헬름에 직접 탑승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조종은 인공지능 올리브군이 한다고(...). 하인헬름 시리즈중 그니라가 직접 타는 기체에는 전부 이 AI가 탑재되어있다고 한다. 개인 이벤트 내용을 보면 하인헬름改를 보고 자기 딸이라고 주장하며 [[하악하악]]대는 단계의 중증 메카페치 [[파일:ziggy_star_0001.jpg|width=240]] * 지기 스타(ジギー・スター) (CV : [[오키아유 료타로]]) 2018년 2월 23일부터 전용기 하인헬름 우라로 참전하는 솔리스의 특수 교관. 금발의 인남캐로 솔리스의 [[청일점]]으로 등극. 첫 등장때부터 본명은 지기 진델[* 지기(Ziggy)가 보통 [[지그문트]]의 애칭이라 실제로는 지그문트 진델이 본명이라고 보면 된다. 참고로 저 지기 스타라는 이름을 영어든 가타가나든 검색해봐야 [[Ziggy Stardust|ジギー・スターダスト]]이미지만 잔뜩 뜬다. --이걸 노린건가?-- ]이지만 "나를 알고 있는 적과 아군들 모두 경외심을 담아 이렇게 부르지, 지기 스타!"라고 드립을 치면서 솔리스 대원들한테 이상한 사람으로 박힌 나르시스트 개그캐릭터지만 실력은 확실한 듯. [[파일:Ct20wNXUEAAe0fA.jpg|width=240]] * 하인헬름 솔리스가 개발한 양산형 기동병기. 범용성을 중시한 기체로 [[백팩]]파츠를 추가하여 파일럿의 전투방식에 맞춘 장비환장이 가능하다. 플라즈마 체인소드, 실드 액스, 플라즈마 캐논을 상황에 따라 장비한다. * 하인헬름 강습형(強襲型) 등에 플라즈마 너클 유닛을 장비한 우주전 고기동형. * 하인헬름 강방형(強防型) 플라즈마 할버드를 장비하고 양 어깨에 대형 방패를 장비한 장갑강화형. * 하인헬름 강화형(強火型) 메가 플라즈마 블래스터를 장비하고 양팔에 트윈 플라즈마 샷을 장비한 포격강화형. * 하인헬름 改 솔리스의 신 멤버들을 위한 테스트기. 기존의 테스트기(하인헬름)에서 제네레이터를 비롯한 몇군데를 조정해 성능이 약간 상승했다. * 하인헬름 우라 지기 스타의 전용 하인헬름. * 멜스기어 엘라(メルスギア・エルラーナ) 하인헬름의 차세대 기종으로 솔리스 부대원들에게 지급되었다. ==== 오르브로 ==== 작중 등장하는 오리지널 적측 진영. 당시 [[스메라기 리 노리에가]]를 통해 스플리터란 이름으로 임명되었으나, 5 장에 등장한 간부급 인물인 코요토르에 의해 진짜 이름인 오로브로란게 밝혀지게 된다. * 가면의 인물 오로브로의 간부중 한명인 가면을 쓴 괴인.탑승하는 수수께끼의 붉은 기체 코우가이를 타고, 시도 때도 없이 아사히 일행에게 나타나서 방해한다. 그런데, 그때마다 반아인이 각성하는 등... 묘하게 노린 듯한 느낌. 그리고 4장에서 드러나는 '''[[쿤 인유에|그 정체는...]]''' * 코요토르 5장 막판에 등장한 신부의 모습을 한 남자. Z 마스터와의 결전을 끝낸 H.I.A.W.D에게 나타나서 공격, 열세로 몰아붙이지만, 쿠와카가의 난입으로 방해받아 잠시 퇴장한다. 탑승하는 기체는 스나크. * 나이아라 이벤트 퀘스트 한정으로 등장하는 수수께끼의 양성[* 크래용 신짱의 콜라보 이벤트에서 [[노하라 신노스케]](...)가 성별을 물어봤으나 "그 어느 쪽도 아냐." 라고 답했다. 1인칭도 다소 양성적이라 할 수 있는 [[보쿠]].]의 존재. X-Ω 세계관과는 별개의 평행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플레이어들에게 늘어놓는다. 이때는 작중 표기는 "???".로 되어있으며 본명은 불명.. 일본 슈퍼로봇대전 wiki 사이트에서는 임시적으로 스토리 텔러란 가칭으로 불렀다. 5장에서 오르브로의 간부중 한명으로 확인되었으며, 6장에서 본명이 드러나게 된다. * 페일 ◆ 5장 제10화 마지막에 쿤이 데리고 온 분홍 머리의 여성 파일럿. 반아인을 닮은 수수께끼의 기체인 반아우스를 타고 적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8장에서 세츠나의 트란잠의 영향으로 발생한 입자 공간에서 [[샤테 쥬드베스틴|그녀의 정체가 드러나는데]].... ==== 루포스 ==== 오르브로와 대립하는 세력이자 14부 이후의 주 적. * 와쿠카가 아사히가 처음으로 반아인에 탔을때 환상으로 나타난 수수께끼의 남자. 가끔식 아사히가 위기에 처할때마다 환상으로 나타나서 반아인 내부에 잠들어있는 오메가 시스템을 각성 시킨다. 5장 막판에서 본격적으로 등장.. 지금까지 나타난 적들과 마찬가지로 스플리터의 멤버지만, 동족들과 대립하고 있으며, H.I.A.W.D에게 자신의 이름을 밝히면서 조력을 하였으나, 오르보르가 괴멸한 이후로는 새로운 적으로서 H.I.A.W.D와 대치하게 된다. * 오키쿠루미 & 자마이클 ==== 요인 불명 ==== * 펜디 * [[오우라]] == 기타 == * 스토리 퀘스트는 갱신이 빠르다고는 할 수 없는 편이나, 이벤트 퀘스트를 통해 스토리 퀘스트에 참전하지 않았던 작품들을 먼저 참전시키고 본편스토리에 참전시키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이는 [[슈퍼로봇대전 카드 크로니클]]에서 사용했던 방식과 비슷한데, 그런 방식을 취했던 카드 크로니클은 결국 본편 스토리 갱신을 중지하고 이벤트 스토리만을 갱신하였다. 다만 카드 크로니클에선 적측 캐릭터만 오리지널 캐릭터가 존재했던 것에 반해, 이쪽은 기존 로봇대전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완벽하게 오리지널 캐릭터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쉽게 스토리 퀘스트의 갱신을 종료하지는 않을 수도 있다. 다만 이벤트 퀘스트에도 이미 오리지널 캐릭터들이 참전하고 있기 때문에 방심할 수는 없다만, 이벤트 퀘스트는 사실상 패러럴 월드에서 벌어지는 이야기라 별 상관없다. * 또한 [[니콜 아말피|스포일러]], [[닐 디란디|스포일러]] 같이 원작에서는 가차없이 사망하는 인물들이 스토리가 급하게 진행되는 덕에 원작 내용이 생략된 덕분에 죽지 않고 계속해서 생존한채로 진행되는 것도 특징이라면 특징... * [[마징가 Z]]와 [[그레이트 마징가]], [[겟타로보]]의 경우 세계관과 스토리, 캐릭터 설정과 메카닉 디자인 등은 원작 TV판과 거의 동일한 설정을 사용하고 있지만, 캐릭터 디자인과 성격 등은 각각 [[마징카이저(OVA)|마징카이저 OVA]], [[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 버전을 기초로 독자적으로 어레인지되어 있으며, OVA에서 등장하지 않은 캐릭터([[브로켄 백작]], [[잭 킹]] 남매, 배트 장군 등)도 그에 맞춰 새롭게 디자인되어있는 것이 특징. 이후 이전 작품인 [[슈퍼로봇대전 카드 크로니클]]의 전례처럼 2기 참전작에 마징카이저 OVA가 참전이 확정되었고 겟타 시리즈도 이후 [[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진 겟타로보 OVA 세계 최후의 날]]이 참전하게 되었다. ~~[[나가레 료마(진 겟타로보 세계 최후의 날)|그 험상궂게 생긴 겟타선 중독자]]가 '''TV판에서 입던 촌스러운 티셔츠를 입고 [[츠루기 테츠야|전투의 프로]]를 테츠야 씨라고 부른다고 상상해보자'''[* 일단 진 겟타 1을 타고 나온 겟타 팀은 [[슈퍼로봇대전 V]]에서 쓰인 OVA판 파일럿 슈트 포트레이트를 가지고 왔다.]~~ [[기동전사 Z건담]]의 경우에도 [[슈퍼로봇대전 Z]]에서부터 사용된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극장판 기동전사 Z건담 A New Translation]]의 디자인을 기초로 디자인되어 있는 것 또한 특징. * 공식 유튜브 채널에서 참전작을 소개하는 PV가 올라올 경우 이벤트 기간 동안만 볼 수 있고 이벤트가 끝나면 칼같이 내리는지 시청 불가 동영상으로 되기 일쑤다. === [[충격과 공포]]의 참전 라인업 === 시리즈 중에서도 가장 충격적이고 다양한 참전작을 보유한 것으로 이름높다.[[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143/read/52996194|#]] 물론 [[슈퍼로봇대전 Operation Extend|전작]]의 [[개구리 중사 케로로]]부터 기미가 보이긴 했지만 본작은 그것을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전부터 판권 때문에 참전이 어렵다고 생각한 작품들을 시작으로 실사특촬물, 컨셉 상의 마스코트 캐릭터, 극중극만 존재하는 작품,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전뇌물과 프라모델 배틀물, 카드 배틀물 등 일일이 세기 힘들 정도. 메카물이 아닌 작품의 경우 아예 판권작 제작진 측에서 본 작품에 참전시키기 위해 오리지널 메카물을 만들어 참전시키는 작품까지 생길 지경이다.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참전작이 계속 늘어난 결과, 이 시리즈 이후 '이 로봇 애니는 이래서 못 나온다'든가, '슈로대에 참전하기 위해선 이러이러한 조건을 갖춰야 한다' 식의 무분별한 팬덤발 루머 살포는 거의 사라졌다. 오히려 예전 같았으면 이슈가 되었을 작품들이 되려 평범해져서 묻힐 정도(…)가 되었다. 예전엔 크로스 오메가를 통해 참전한 작품들이 정식 판권 슈로대에 신참전작으로 나온 경우가 없었기 때문에 일부에서는 판권 슈로대에 내보낼 계획이 당분간 없는(+내보내기 힘든) 로봇들을 크로스 오메가로 몰아넣고 있는 게 아니냐는 얘기도 나왔었다. 다만, 오오치 PD 말로는 절대 그런 일은 없으며 가정용 슈로대가 모바게보다는 개발 기간이 길어서 발매는 최근이라도 2~3년 전에 기획된 작품이 많다보니 반영이 안 된 것이라고 한다. 이후 [[슈퍼로봇대전 T]]에서 [[마징가 Z: 인피니티]]가 참전하면서 해당 징크스가 깨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