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슈퍼 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슈퍼 마리오 Wii 시리즈)] ||<-2>
'''{{{+1 {{{#white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br]{{{#white スーパーマリオギャラクシー2}}}[br]''{{{#white SUPER MARIO GALAXY 2}}}'' || ||<-2><:>{{{#!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슈퍼 마리오 갤럭시2 고화질.jpg|width=50%]][[파일:external/www.mariowiki.com/500px-Smg2boxart.png|width=50%]]}}}|| || '''개발 / 유통''' ||[[닌텐도|[[파일:닌텐도 로고.svg|width=80]]]] || || '''플랫폼''' ||[[Wii|[[파일:Wii 로고.svg|height=16]]]] || || '''장르''' ||3D [[플랫폼 게임]] || || '''플레이 인원수''' ||1~2명 || ||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2]] [[2010년]] [[5월 23일]][br][[파일:일본 국기.svg|width=22]] [[2010년]] [[5월 27일]][br][[파일:유럽 연합 깃발.svg|width=22]] [[2010년]] [[6월 11일]][br][[파일:호주 국기.svg|width=22]] [[2010년]] [[7월 1일]][br][[파일:대만 국기.svg|width=22]] [[2010년]] [[12월 4일]][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2]] [[2011년]] [[1월 20일]] || || '''심의 등급''' ||[[게임물관리위원회|[[파일:게관위_전체이용가.svg|width=16]] '''{{{#000000,#dddddd 전체이용가}}}''']][br][[파일:ESRB Everyone.svg|width=16]] '''[[오락 소프트웨어 등급 위원회|{{{#000000,#dddddd ESRB E}}}]]'''[br][[파일:CERO A.svg|width=16]] '''[[컴퓨터 오락 등급 기구|{{{#000000,#dddddd CERO A}}}]]'''[br][[파일:PEGI 3.svg|width=16]] '''[[범유럽 게임 정보|{{{#000000,#dddddd PEGI 3}}}]]''' || || '''홈페이지''' ||[[http://www.nintendo.co.jp/wii/sb4j|일본]] [[http://web.archive.org/web/20190823162047/http://nintendo.co.kr/Wii/software/sm_galaxy2/main.php|한국]] || [목차] [clearfix] == 개요 == || [youtube(O7steQttNTo)] || || 2009년 [[E3]] 트레일러 || 3D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4번째 작품으로,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의 후속작. 전작의 시스템을 베이스로 하여, 더욱 선형적으로 변한 레벨 디자인과 요시 등 다양한 아이템과 장치를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2017년 닌텐도가 소개한 3D 마리오 분류에 따르면 '코스 클리어 형태'에 해당한다. == 게임플레이 == 본래 3D 마리오 게임은 한 기종 당 하나씩이란 법칙이 있었는데, 이번에 후속작이 나온 이유는 1에서 얻은 중력에 대한 아이디어가 [[https://www.eurogamer.net/articles/e3-mario-galaxy-2-is-90-per-cent-new|버리기에는 꽤나 많아서였다고 한다.]] 실제로도 초반부터 1에서는 나오지 않은 적이나 장치들이 많이 보인다. 특히 [[요시(마리오 시리즈)|요시]]에 대해서는 전작에서 구현시키지 못했던 점이 크게 아쉬웠는지 첫 기획부터 요시가 들어가는 것을 전제로 2편을 제작했다고 한다. 그 덕분에 선샤인에 비해서도 요시의 비중이 크게 늘었는데 튜토리얼 바로 다음이 요시를 활용하는 갤럭시이고, 요시를 활용해서 깨야하는 보스라던가, 요시 전용 파워업도 있고 여러 중요한 구간에서 요시를 활용하는 부분이 주어지는 등 요시를 활용하는 스테이지가 많다. 게임 표지나 각종 프로모션에서도 마리오 못지 않게 요시가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요시와 함께 구름마리오와 데굴바위마리오 등 새로운 액션이 추가되었다. 전작보다 어려워졌다. 전작이 입문작으로서 딱 좋은 난이도인 것을 감안하면, 본작부터 플레이하기보단 전작을 먼저 플레이해서 클리어한 후 확장판 느낌으로 하길 추천한다. 몰론 이걸 먼저해도 상관은 없지만, 전반적으로 이 게임의 물리엔진이나 3D 조작에 적응이 되어있지 않으면 굉장히 어려울 것이다. 그래도 [[슈퍼 마리오 64]]나 [[슈퍼 마리오 선샤인]]에 비하면 그렇게 어렵진 않고 적절한 편이다. 또한 기존 3D 마리오 게임들과는 달리 월드맵이 2D 마리오 시리즈의 선형 구조를 취하고 있다. 그러기에 단순히 스타만 많이 모으면 스테이지를 지나고 [[쿠파]]를 깰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월드 내에서 몇몇 스테이지는 꼭 클리어 해야 한다. 덕분에 기존 3D 게임처럼 스타 모으려고 뺑뺑이를 돈다라는 느낌보다는 정말 모험을 한다는 느낌이 다시금 들 것이다. 하지만 완벽한 선형구조는 아닌 것이, 1~4월드까지의 스타를 착실히 모았다면 5월드는 스테이지 한 개와 보스전만 클리어하고 6월드로 넘어갈 수 있는 등의 구조를 취하고 있다. 전작에 비해서 구 형태의 행성이 많이 줄어들고 평면 모양이나 원통 모양의 행성들이 많아져 대부분의 스테이지의 모습이 더 전형적인 슈퍼 마리오 게임에 가까워졌다. 한 스테이지 당 혜성 메달이 하나씩 존재하는데, 혜성 메달을 모으면 특정 갤럭시에 [[장난꾸러기 혜성]]이 나타나서 기존의 갤럭시에서 조건이 붙은 새로운 미션을 수행할 수 있다. 2P는 치코의 모습으로 게임에 등장하게 되며 전작에 비해 2P의 비중이 상당해졌다. 마리오처럼 스테이지를 누비지는 못하지만 적을 향해 스타구슬을 쏘고, 포인터로 스타구슬과 [[코인(마리오 시리즈)|코인(퍼플코인 포함)]]을 가져올 수 있다. 이외에도 1UP버섯과 체력UP버섯도 가져올 수 있는데, 이를 이용해 체력UP 버섯이 2개 있는 스테이지에서는 라이프 11로 플레이하게 만들 수 있다. 적을 향해 A버튼을 누르면 적을 마비시키고 위 리모컨을 흔들어 스핀 공격을 할 수 있다! 1P를 강제로 점프시켜 낙사하게 만들거나 함정으로 떨어지게 하는 [[트롤링]]은 못 하게 되었다. 일부 스테이지에서는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로 플레이할 수 있다. 스테이지 처음 부분에 가끔 루이지가 근처에 서 있는 경우가 있는데, 그에게 말을 걸면 교체할 수 있다. 후반부에는 마리오호에 합류하여 마리오호에서 언제든지 루이지로 교체할 수 있다. 루이지로 스테이지를 클리어한 이후에는 해당 위치에 루이지 고스트가 생기는데, 클리어를 위한 적정 경로를 알려준다. 루이지 고스트와 타임어택 경쟁도 할 수 있는 등 의외로 재밌는 요소. 일부 갤럭시에서는 같은 곳에서 몇 번 이상 실수하면 코스 안에 [[로젤리나]]를 닮은 도움마법사가 나타난다. 도움마법사에게 말을 걸면 "많이 힘들어 보이는군요··· [[파워스타]]까지 안내해 드릴까요?"하고 묻는다. 그러면 도움을 받으지 아니면 그냥 혼자 플레이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도움마법사에게 힘을 빌리면 마리오가 저절로 움직여서 파워스타 직전의 장소까지 이동한다. 도움마법사의 힘을 빌려 파워스타를 획득하면 일반스타가 아닌 브론즈스타를 획득하게 되는데 브론즈스타는 일반스타로 계산되지 않기에 [[챔피언십 갤럭시]]를 오픈하려면 브론즈스타가 하나도 없이 모두 일반스타, 그린스타가 있어야한다. 다시 도전해서 자력으로 클리어하면 일반스타를 획득할 수 있다. 한번 엔딩을 보면 스페셜 월드, 월드 S가 열리게 되고 월드 S를 포함한 모든 파워 스타를 얻은 후 다시 월드 6의 쿠파와 싸워 이기면 [[그린 혜성|그린 스타]] 미션이 추가된다. 스테이지에 숨겨져 있는 [[그린 혜성|그린 스타]]를 찾으면 되는 미션인데, 월드 S 이후에 추가되는 미션인만큼 상당히 어렵다. 그린--구린--스타가 근처에 있으면 특유의 그린 스타 효과음을 들을 수 있는데, 지형 아래에 숨겨져 있다거나 여기저기 돌아다니면서 백덤블링하고 다니지 않는 이상 잘 안 보일 정도로 높이 있거나 대포를 타고 허공에서 그린스타를 찾아야 하는 등 찾기 어려운 곳에 위치해있다. 그리고 그것을 얻기 위해서 고급 테크닉을 구사해야하거나 고도의 컨트롤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높은 곳에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로 플레이하는 것을 추천. 그린 스타 수도 일반 스타와 똑같이 120개이다. [[그린 혜성|그린 스타]] 미션 덕분에 스타가 달랑 2개인 [[챔피언십 갤럭시]]를 제외하곤 모든 갤럭시가 일반 스타 3개/2개 + 그린 스타 3개/2개 형태를 취하고 있어 갤럭시들의 비중이 골고루 분배된 편이다. [[파일:external/www.mariowiki.com/200px-SMG2_Lubba.png]] 본작에서의 [[로젤리나]]의 역할은 보라색 몸에 파란 눈을 갖고 있고 체크무늬 바지를 입은 커다란 치코 루바(Lubba, ルーバ)가 대신한다. 성우는 [[2007년]] 이전까지 [[쿠파]]를 담당한 스콧 번스. === 우주선 마리오호 === [[파일:StarshipMario.png|width=500]] 이번 작의 허브는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의 모습을 한 여행용 행성인 '''마리오호'''다. 모자 부분이 잔디와 수풀이 자라 있어 초록색이기 때문에 처음 볼때나 잠깐 CD케이스에 그려진 작은 마리오호를 볼때면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 같아 보이기도 한다. 실제로 작 중에서도 버섯호 위의 한 키노피오가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를 닮았다고 한다. 전작의 [[별똥별 천문대]]와 비교하면 크기가 작다. 그렇기에 돌아다니는 데 있어서 전작의 넓디넓은 천문대에 비하면 상당히 편해졌다. 진행을 하다보면 NPC들이 우주선 내에 탑승하고 지형물, 변신 아이템을 수집하며, 어떤 월드에 있느냐에 따라 뒷배경이 바뀐다. 마리오호 테마는 총 3가지 버전이 있으며 게임을 진행할수록 점점 더 웅장한 음악을 쓴다. [[별똥별 천문대]] 왈츠와 동일하게 [[콘도 코지]]가 작곡했다. == 스토리 == 100년에 한 번 찾아오는 별똥별 축제의 아침에서 [[피치공주]]가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에게 같이 케이크를 먹자며 편지를 준다. 마리오는 [[피치 성]]으로 향하던 중 바닥에 떨어진 [[베이비 치코]]를 만나 베이비 치코와 함께 피치 성으로 향한다. 그런데 피치 성은 그랜드스타의 힘으로 거대해진 [[쿠파]]로 인해 난장판이 되어있었고, 슈퍼 사이즈 케이크를 먹고 싶다며 피치공주를 납치하고는 포탈 속으로 사라진다. 마리오는 피치 성의 문 앞에서 노란색 [[치코]] 2마리의 도움으로 쿠파를 쫓기 위해 스타링을 타고 [[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갤럭시/월드 1#하늘 섬 갤럭시|하늘 섬 갤럭시]]로 날아간다. 하늘 섬 갤럭시에서 파워스타 하나를 되찾은 마리오는 [[쿠파군단]]의 공격으로 인해 부서진 우주선으로 와서 루바와 다른 치코들을 만난다. 루바는 우주선의 동력이 될 파워스타를 찾아오는 조건으로 마리오를 위한 우주선을 만들어 주겠다고 한다. 그렇게 우주를 모험하기 위한 우주선 마리오호가 만들어지고, 마리오 일행은 스타를 모아 우주 저 멀리 납치당한 피치공주를 구출하고 쿠파를 무찌르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전작]]에서 이어지는 스토리가 아니며, 전작과 평행우주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 등장인물 == * 플레이어 캐릭터 * [[마리오(마리오 시리즈)|마리오]] * [[루이지(마리오 시리즈)|루이지]] * 조연 * [[피치공주]] * [[키노피오]] * [[키노피오 탐험대]] * [[키노피오대장]] * [[로젤리나]] * [[치코(마리오 시리즈)|치코]] * 루바 * [[베이비 치코]] * 악역 * [[쿠파]] * [[쿠파주니어]] * [[쿠파군단]] == 전작과의 차이점 == * 세이브 파일이 6개에서 3개로 줄어들었으며 로젤리나와 치코 아이콘이 추가되었다. * 전작에서는 스타구슬 50개 또는 코인 50개를 모으면 [[1UP]]이었지만 너무 쉽다고 생각했는지 본작에서는 스타구슬 100개, 또는 스테이지 종료 후 모인 코인 개수가 100단위가 되면 1UP하도록 바뀌었다. 덕분에 잔기를 많이 불릴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번작에서도 1UP 할 수 있는 곳은 널렸으니 게임 오버 화면을 보기는 힘들다. 게다가 무한 1UP이 가능한 곳도 있다! [[https://youtu.be/z5HhWVMauTA|영상]] * 전작에서는 세이브 깃발 따로 없이 특정 구간을 통과하면 자동으로 중간 세이브가 되었으나 본작에서는 세이브 깃발을 통과하면 중간 세이브가 된다. * [[장난꾸러기 혜성]] 시스템이 상당히 개선되었다. 전작에선 그 갤럭시로 혜성이 오면 무조건 혜성 스테이지만 클리어 했어야 했지만 본작에선 혜성이 와도 이전의 미션을 클리어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작에선 혜성 스테이지만 유일하게 죽어도 자동 리플레이가 되지 않아서 불편했으나, 본작에선 자동 리플레이가 되며, 전작에서는 어떤 혜성이든 중간 세이브가 존재하지 않았으나 본작에선 세이브가 여전히 건재하는 혜성 미션도 존재한다. * 타임어택 또는 제한시간이 있는 혜성 미션 중 전작에서는 스타가 나타나도 시간이 흘렀지만 본작에서는 스타가 나타나면 시간은 멈춘다. * 물속에서 스핀을 연속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 전작에서는 포인팅으로만 해야 했던 선택지 선택 조작을 스틱으로도 할 수 있게 되었다. * 체력UP버섯으로 체력이 늘어난 상태로 다시 체력UP버섯을 먹으면 체력을 모두 회복한다. 이미 체력이 가득 차 있으면, 대신 1UP의 효과를 얻는다. * 전작에서는 스타링을 타기 전에는 경로가 표시되지 않고 한 번 스타링을 타면 그 뒤로 경로가 표시되었으나, 본작에선 처음부터 경로가 표시되어 있다. * 블랙홀에 빨려들어갔을 때 빨려들어간 경로가 사라졌던 전작과 달리 빨려들어간 경로가 끝까지 남는다. * 다크 매터와 같은 몇몇 오브젝트의 그래픽이 살짝 바뀌었다. * 전작과 달리 [[글리치]]가 아닌 이상 감전사해도 뼈만 남지 않는다. * 전작에서는 모든 UI가 사라져도 스타구슬이 없거나 스타링을 탈 때 외에는 항상 스타구슬 UI만은 화면에 표시되었지만, 이번작에는 평소에도 스타구슬 UI가 사라지기에 화면이 더욱 깔끔해졌다. * 스타 커서와 'MISS!'(또는 'TOO BAD!') 문구, 'GAME OVER' 문구 그리고 스타 획득 문구의 크기가 화면의 16:9 비율에 맞춰서 커졌다. * 'GAME OVER' 문구의 색이 바뀌었다. * 대포 조준점의 가운데에 A버튼 아이콘이 생겼다. * [[위모콘]]의 배터리가 부족할 시 뜨는 경고 아이콘의 'P1' 또는 'P2' 글자의 색이 빨간색에서 각각 파란색, 주황색으로 바뀌었다. 또한 배터리가 얼마 남지 않으면 경고음이 2번 재생되면서 전지가 텅 빈 아이콘이 뜨며, 배터리를 교체하거나 배터리가 전부 떨어질 때까지 화면에서 사라지지 않는다. * 전작에선 보스를 잡고 스타가 나타나면 특유의 [[https://youtu.be/5DENfL-RRWM|스타 BGM]]이 나왔으나, 본작에선 어떤 미션이든 스타가 나타나는 순간 해당 BGM이 나온다. * 스테이지에 입장하고 스타를 획득했을 때와 스타 획득 후 허브에 도착했을 때 나오는 음악이 더 낮은 톤으로 어레인지 되었다. * 체력이 1만 남았을 때 나오는 경고음이 재생되는 속도가 전작에 비해 다소 느려졌다. * 물속에 들어갈 때 등의 일부 효과음이 새로 바뀌었다. * 새로운 마리오의 음성이 추가되었다. == 조작 == 전작에서 변경된 점 위주로 서술한다. 전체 조작법은 이 문단과 함께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 문서의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조작|조작 문단]]을 참고할 것. === 기본 조작 === * (1P) '''마리오/루이지의 조작'''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조작|1편 문서의 '기본 조작' 문단]] 참고. * (1P+요시) '''요시의 조작''' 요시를 탄 상태의 기본 조작. 스타구슬은 쏠 수 없다. * 컨트롤 스틱: 이동 * A버튼: 점프 등 * Z버튼: 웅크리기 * 휘두르기[*A 가속도 센서 사용. Wii 리모컨 또는 눈차크를 흔들어 조작한다.]: 헤드 셰이크 스핀과 마찬가지로 적을 기절시키고, 장애물을 부수고, 장치를 움직이는 공격 기술. 공중에서 체공 효과는 없다. * 포인터[*IR 센서바의 적외선 광원을 Wii 리모컨의 IR 센서가 감지한다.]: 화면을 향해 포인트하기, 스타구슬 모으기 * B버튼: 혀 내밀기 포인트한 대상을 먹는다.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대상을 포인트하여 먹을 수 있다. 먹은 것 중 일부는 포인터로 조준하여 뱉어낼 수 있다. * C버튼: 카메라 리셋 * 십자버튼: 카메라 전환 * (+)/(-)버튼: 일시정지 화면 * (2P) '''도우미치코의 조작''' 1P 컨트롤러에 더해 Wii 리모컨을 하나 더 연결하면 2P가 도우미치코로 나타나 1P를 어시스트할 수 있다. * 포인터[*IR]: 화면을 향해 포인트하기, 스타구슬 모으기 * 포인터[*IR]+A버튼: 적 멈추기, 코인 획득하기, 중간 포인트 건드리기 * 휘두르기[*A]: 치코 스핀 적의 움직임을 멈춘 상태로 스핀하면 일부 적을 기절시키거나 쓰러뜨릴 수 있다. * 포인터[*IR]+B버튼: 스타구슬 쏘기 * 십자버튼/(+)/(-)/(1)/(2)버튼: 효과음 1P 또는 2P의 위 리모컨에서 환호성 소리와 동물 소리, 여러가지 마리오 효과음이 난다. 효과음은 각 버튼에 1~2개씩 배정되어 있다.[* 효과음이 2개 배정된 버튼에서 효과음 1개가 랜덤으로 나오는 방식인 것으로 보인다.] === 액션 === * '''마리오/루이지의 액션'''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마리오 액션|1편 문서의 '마리오 액션' 문단]]을 함께 볼 것. * 스핀이나 점프로 요시의 알을 부숴 요시를 깨울 수 있다. 요시 위로 점프하거나 요시 주위에서 스핀하면 요시를 탈 수 있다. * 드릴에 닿으면 드릴을 들 수 있다. * '''요시 액션''' 요시를 탄 상태의 액션. 엉덩이 찍기, 백 텀블링, 멀리뛰기, 잠수를 할 수 없다. * 먹기/뱉기: 포인터[*IR] + B 포인트한 대상을 혀를 내밀어 먹는다. 짧은 시간 안에 여러 대상을 포인트하여 먹을 수 있다. 먹은 것 중 일부는 포인터로 조준하여 뱉어낼 수 있다. * 버티기 점프: 점프 중에 A 누르고 있기 공중에서 열심히 버텨서 평소보다 길게 떠 있는다. 오래 버티면 평소보다 높은 곳으로 갈 수 있다. * 내리기: Z + A 마리오가 요시 등 뒤에서 내리며 높이 점프한다. 이 때 공중 스핀을 할 수 없다. * 대미지를 입으면 마리오가 요시에서 떨어지고 요시가 도망간다. 도망간 요시를 오래 방치하면 요시가 둥지 위에 알 상태로 되돌아간다. 전기나 불 등에 대미지를 입으면 요시가 곧바로 알 상태로 돌아가버린다. * 요시에 탄 채로 마리오의 파워업을 얻으면 요시에서 곧바로 내린다. * '''특수 지형 조작'''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특수 지형, 장치|1편의 수중, 빙상 조작]]도 함께 참고할 것. * '''슬라이더''': 빠른 속도로 내려가는 미끄럼틀 코스. 스틱 위아래로 속도를 조절하고, 스틱 좌우로 방향 전환, A로 점프한다. 공중 스핀도 가능. * '''데굴바위 코스''': (데굴바위마리오) 구르는 상태로 한 번 진입하면 해제할 수 없는 코스. 통과할 때까지 방향 전환과 점프를 적절한 타이밍에 해야 한다. * '''여러가지 장치'''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특수 지형, 장치|1편의 스타링, 스타중계소, 스타볼, 토관, 쑥쑥풀, 발사대]]도 등장한다. * 텔레포터 위에서 컨트롤러를 휘두르면 텔레포터를 탈 수 있다. * 잎사귀보트: 가장자리에 서면 서 있는 방향으로 보트가 움직인다. 가운데에 서면 멈춘다. * 글라이버드: Wii 리모컨을 수평으로 잡는 것이 기본 자세. 좌우로 비틀면 방향을 전환하고, 위로 기울이면 감속, 아래로 기울이면 속도를 내며 급하강한다. === [[슈퍼 마리오 시리즈/변신|변신 및 파워업]]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슈퍼 마리오 시리즈/변신)] 마리오의 변신 아이템으로, 아이스플라워와 레드스타를 제외한 1편의 파워업이 모두 등장하며, 구름플라워, 데굴바위버섯, 드릴이 추가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안내 문서 참조. * '''요시의 변신''' 특수한 과일을 먹으면 요시가 변신한다. 요시에서 내리면 요시의 변신을 해제할 수 있다. * '''대시요시'''(빨간 과일) 일정 시간 자동으로 대시하여 빠르게 이동한다. 컨트롤 스틱으로 방향을 조절하며 A로 점프한다. 가파른 경사로나 수면 위를 달릴 수 있다. * '''풍선요시'''(파란 과일) 일정 시간 자동으로 숨을 내쉬며 높이 상승한다. 컨트롤 스틱으로 방향을 조절하고, A로 숨을 참는다. 컨트롤러를 휘두르거나 AIR 게이지가 모두 줄어들면 변신이 해제된다. 풍선요시 상태에서 다른 파란 과일을 먹으면 AIR 게이지가 끝까지 충전된다. * '''라이트요시'''(노란 과일) 일정 시간 요시가 빛나며 주변을 비춘다. 요시의 빛으로 평소에 보이지 않던 길이 나타난다. == [[/갤럭시|갤럭시(스테이지)]] == [include(틀: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 평가 == [include(틀:메타크리틱 선정 2010년대 최고의 비디오 게임)] [include(틀:죽기 전에 꼭 해야 할 비디오 게임 1001)]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플랫폼}}}''' || '''{{{#fff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808080; font-size: 0.75em" [[Wii|{{{#fff Wii}}}]]}}}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 code=super-mario-galaxy-2, g=, score=97)]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wii, code=super-mario-galaxy-2/user-reviews, g=, score=9.1)] || 전작인 '''[[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와 동급의 매우 훌륭한 평가를 받았다.''' [[IGN]]은 물론 점수를 짜게 주는 [[GameSpot]]에서도 '''10점'''[* 전작은 IGN 9.7점, GameSpot 9.5점을 받았다.]을 받았다. 메타크리틱 점수 역시 87개나 되는 평단의 총합 점수 '''97점'''으로 전작과 더불어 최상위이며, 2010년에 나온 게임임에도 불구하고 2010년대에 나온 게임들 중 가장 점수가 높은 게임 중 하나이다. 유저 스코어 역시 2022년 기준 9.1로 전작과 동일하다. 레벨 디자인이나 수집 요소 등의 게임플레이 요소가 전작에서 더욱 발전하였다. 전작과 액션이나 조작, 그래픽, 게임 구성 등이 크게 다를 것이 없는 게임이지만 이 점이 전작이 높은 평가를 받았던 요소였고, 그걸 그대로 받아들였기에 이에 대해선 이의를 제기하는 사람은 없다. 거기에다 새롭게 추가된 액션이나 스테이지 구성 요소나 기믹들은 대부분 전작에선 볼 수 없었던 참신한 요소였고, 그에 대해 큰 호평을 받았다. 그러면서도 전작에서의 불편한 요소를 대부분 유저들이 편하게 플레이 할만한 쪽으로 과감히 수정하면서 이에 대해서도 호평을 받았다. 난이도 역시, 전작은 쉬운 축에 속해서 그런지 이번 작은 조금 더 어려워졌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초보자들에겐 별 무리없이 쿠파 정도는 쓰러뜨릴 수 있는 난이도를 가지고 있고, 고수들에겐 그린 혜성과 월드 S 그리고 [[챔피언십 갤럭시]] 같이 극악의 도전이 기다리고 있는 등, 코어 유저들을 위한 도전 요소도 풍부하여 역대 마리오 게임 중에서 가장 밸런스가 맞는 게임으로 평가되고 있다. 전작인 [[슈퍼 마리오 갤럭시]]가 '[[우주]]'를 컨셉으로 압도적인 비주얼과 사운드를 보여주었고, 특히 공포스러움까지 느껴지는 프롤로그의 피치공주 납치 장면[* 비슷하게 성을 통째로 납치해간 [[마리오 스토리]]와 비교해보자. 분위기부터 전혀 다르다.]과 시종일관 진지한 대마왕 포스의 쿠파, 여운이 깊게 남는 로젤리나의 그림책과 엔딩의 스토리텔링은 그 어떤 마리오 작품에서도 보기 힘든 충격적인 인상을 남겼던 반면에 슈퍼 마리오 갤럭시 2는 우주보단 '[[하늘]]'에 중점을 둔 듯한 구성을 보여주며 실제 배경에서 하늘의 비중이 매우 커 전작의 웅장함보다는 가벼움을 추구한 면모가 보인다. 또한 비주얼 자체가 전작에 비해 상대적으로 아기자기하며 2D 구간이 여럿 존재해 기존의 3D 마리오 작품이라기엔 조금 이질적이다. [[슈퍼 마리오 3D 랜드]]나 [[슈퍼 마리오 3D 월드]]의 원조격에 가까운 모습. 스토리 또한 전작은 분위기가 제법 무거웠으나 이번 작에선 기존의 슈퍼 마리오 시리즈에 맞게 조금 더 가벼워졌다. 전작에선 진지한 분위기의 로젤리나가 스토리를 무겁게 만들었으나 본작의 로젤리나 포지션인 루바는 로젤리나에 비하면 훨씬 가벼운 분위기로 마리오를 대하면서 무거운 스토리를 가볍게 만드는데 일조했다. 쿠파 역시 기존의 우주 정복이라는 목적과 더불어 초거대케이크라는 조금 더 유치한 컨셉을 들고 왔고, 조금 더 예측가능한 전개로 진행된다. 좀 더 가벼운 분위기라는 걸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컷신은 전부 동화책을 넘기듯이 전개된다. 그렇기에 전작만큼의 깊이가 없는 것은 약간 아쉬운 점.[* 사실 전작이 별종이었던 것뿐이고 마리오 시리즈는 원래 스토리가 깊지 않다. 이 작품도 전체적으로 보면 깊은 스토리를 가진 편이다.] 하지만 모든 것이 뻔할 정도로 마냥 유치한 건 아니고, 후반부에는 예측하기 어려운 스토리로 전개가 된다. 새롭게 등장한 [[https://m.youtube.com/watch?v=fObqGnM9z7w&index=2&list=PLC583980D7806298E&t=0s|BGM]]들 역시 전작의 BGM들과 같이 [[오케스트라]]를 채용하여 크게 호평을 받았지만, 전작에 비해 웅장한 곡의 비중이 적고 전체적인 곡의 분위기가 활기차고 화사해졌다. 또한 신비로운 느낌의 BGM들이 다소 늘어났으며 기존작들의 리믹스곡 비중이 많아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작에서 우려먹은 곡들의 비중이 상당히 낮은 것이 특징이다. 전작이 넘사벽급 평가를 받았지만 후속작인 본작도 전작만큼 동급의 평가를 받았기에 [[소포모어 징크스]]의 좋은 반례이기도 하다. == 관련 상품 == * [[슈퍼 마리오 갤럭시 2 오리지널 사운드트랙]]: 클럽닌텐도 회원 포인트 보상으로 배포한 OST 앨범. * [[Wii U]]의 [[닌텐도 e숍]]에서 다운로드 버전으로 이식하여 판매했다. 다른 Wii 이식작과 마찬가지로 내용은 동일하며 플레이 시 [[Wii 리모컨]]과 눈차크, 센서바가 필요하다. == 기타 == * 원래 개발 당시 확장팩으로 나올 예정이었던지라 롬파일 이름이 [[슈퍼 마리오 갤럭시 2]]가 아니라 '''슈퍼 마리오 갤럭시 more'''이다. * 2018년 5월 기준으로 741만 장이 팔렸다. * 2015년 1월 15일에 [[Wii U]] eShop에 다운로드 소프트웨어로 출시되었다. 가격은 북미 기준 20달러 정도로 저렴한 편이다. * 스토리가 다시 가벼워진 것은 [[미야모토 시게루]]가 의도적으로 지시한 사항이다. [[슈퍼 마리오 선샤인]] 이후로 [[슈퍼 마리오 시리즈]]의 스토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계속 고민했고, [[슈퍼 마리오 갤럭시]]에서도 스토리가 [[젤다의 전설 시리즈]]처럼 되어간다고 느꼈는데, 본작도 개발 초기에 전작보다 더 진지한 전개로 갔는지 미야모토 시게루를 포함해서 [[테즈카 타카시]]와 나카고 토시히코까지 뭔가 아니라는 것을 느꼈고 이대로는 안될 것 같아서 [[코이즈미 요시아키]]와 담판을 벌인 결과 지금과 같은 스토리가 되었다고 한다. 현재의 스토리를 보다 보면 진지한 분위기로 가려던 흔적을 여럿 발견할 수 있다. * 마리오호에서 버섯호로 이동한 후 마리오의 시선을 창문 쪽으로 둬서 버섯호의 창문만이 보이게 한 뒤 위 리모컨의 십자버튼을 누르면 2P의 Wii 리모컨으로 내는 효과음과 같은 효과음이 나온다. * 버그와 이스터에그 * [[요시(마리오 시리즈)|요시]]의 버티기 점프를 계속 반복하는 방법이 있다. 일단 평범한 버티기 점프를 하는 도중에 공중에서 Z를 눌러 웅크린 다음 떨어지기 전에 Z에서 손을 떼고 재빨리 다시 A를 눌러 버티기 점프를 계속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못 올라가는 높은곳에 올라갈때 사용할 수 있다. 하지만 재빨리 Z를 누르고 떼야 하기 때문에 자칫 요시에서 내리지 않게 조심하자. 참고로 이 버그는 [[슈퍼 마리오 선샤인]]에서도 존재했었다. * 텔레포터에 타는 순간 B버튼을 잘 눌러주면 요시의 혀가 텔레포터에 붙는데 이렇게 되면 요시의 혀가 늘어나 어디를 가던 간에 반대편 텔레포터까지 이어져 있게 된다. * 꽁꽁 용암 갤럭시에서 구름마리오를 먹고 뒤로 멀리뛰기와 구름 생성을 해 주면 다음 구간으로 하이패스할 수 있는 버그가 있다. * 꽁꽁 용암 갤럭시의 시작 지점에서 마리오의 시선을 절벽 위에 고정시켜놓고 시야를 확대하면 절벽 위에 정체불명의 형체가 보이는 [[이스터 에그]]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LhnQbrDD_18|그 외 이스터에그]] * 전작의 타이틀 화면에 "U R MR GAY(You are Mr. gay/너는 미스터 [[게이]])"글자에 별이 붙어 있어 [[검은 닌텐도]] 논란이 있었는데, 본작이 나온 후 확실시되는 분위기다. 이번에는 U, R, M, I, A, Y에 붙어 있고, 언뜻 보면 아무 의미가 없는 것 같지만 거꾸로 읽으면 "YA I M R U"(Yeah I am. Are you?/맞아. 너는 어때?)"가 된다. 전작의 문구에 대답하는 형태로 의미가 맞아떨어지면서 검은 닌텐도가 확신되는 분위기. 참고로 제목이 개명당해버린 한국에선 "URMIWi"가 되며 뒤집어도 "iW I M R U"이므로 한국 한정으로 별 의미가 없는 글자가 되어버렸다. * 이 게임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기믹은 이후 3D 마리오에서 계속 쓰이기도 하는데, 첫 시간을 20초~30초 밖에 안 주는 대신 시계 아이템을 먹어가면서 시간을 연장하는 스테이지 구성이라던가 스핀하면 앞뒤로 뒤집히는 레드블루패널[* 3D 랜드와 월드에서는 점프하면 뒤집힌다.], 박자에 맞춰서 꺼졌다 켜지는 비트블록이 그 예시. 시간 내에 적을 쓰러뜨리면 3UP를 주는 보너스 존의 경우 [[3D 랜드]]와 [[3D 월드]]의 미스터리 박스로 계승되었다. 전작에서 처음 등장하여 이번 작에서 더 자주 볼 수 있게된 2D 구간은 [[슈퍼 마리오 메이커 2]] 3D 월드 배경과 유사하다. * [[슈퍼 마리오 시리즈]] 25주년인 2010년에 발매되었다. [[슈퍼 마리오 컬렉션|25주년 스페셜 에디션]]이 그냥 예전 작품 짜깁기라 갤럭시2가 이 게임보다 더 기념작스럽다는 농담을 가끔 듣고 있다.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35주년]]과 비교하면 25주년 스페셜 에디션은 [[슈퍼 마리오 3D 컬렉션]], 갤럭시2는 [[슈퍼 마리오 3D 월드 + 퓨리 월드]]의 포지션을 갖는다. * [[슈퍼 마리오 3D 컬렉션]]에 64, 선샤인, 갤럭시1은 리마스터되어 수록되는 와중에 갤럭시2 혼자 빠져버렸다.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 참고. * 전작에 이어 'Kaizo Mario Galaxy 2'라는 [[개조 롬]]이 존재한다. 아예 스테이지 위치를 바꿔버리고, 구름 마리오로도 사람은 깨기 힘든 스테이지를 맨몸으로 지나가게 만들며, 30마리 잡기 스테이지는 99마리 잡기로 바꿔버리는 등의 [[막장 마리오]]를 체험할 수 있다. * 월드 2의 [[https://www.youtube.com/watch?v=NW26pwMDUHA|나무퍼즐 갤럭시의 BGM]]은 니코동에서 인기를 끌어 여러 MAD무비들이 파생되기도 했다. [[http://www.nicovideo.jp/watch/sm19310394|모든것의 원흉]] * [[라켓보이즈]] 2화 시작부분에서 이 게임의 프롤로그 중 베이비 치코를 만날 때까지의 부분에 나오는 음악인 '[[https://youtu.be/CuMrIZdeEIE|Another Story]]'를 사용했다. 저작권 문제가 되지 않는 건지는 알 수 없다. * [[켠김에 왕까지]]에서는 플레이하지 않았다. 이는 주로 켠왕에선 [[뉴 슈퍼 마리오브라더스 Wii]]같이 멀티플레이가 가능한 게임 위주로 플레이하기 때문이다. 국내 정발도 안 된 [[뉴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U]]와 [[슈퍼 마리오 3D 월드]]도 마찬가지 이유로 플레이 대상이 된 것. 켠왕 시작을 알렸던 [[슈퍼 마리오 갤럭시]]나 고전 슈퍼마리오 도전을 시도했던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3]]가 다소 예외적인 사례. [[마리오 카트 시리즈]]와 [[마리오 파티 시리즈]] 같이 각종 외전 게임도 대다수가 멀티플레이어 게임이다. 다만 전작이 16시간 동안이나 하고도 클리어하지 못하면서 '''켠왕 전설의 시작을 알린 1회'''의 게임인 걸 감안하면, 이 작품은 마지막화 같이 정말로 의미있을 때 할지도 모른다. 이 게임은 고수도 올클하려면 9시간은 기본으로 넘는다만 어차피 [[젤다의 전설 황혼의 공주]]마냥 83시간씩 찍은 적도 있으니 상관없을지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슈퍼 마리오 Wii 갤럭시 어드벤처, version=623, paragraph=12)] == 둘러보기 == [include(틀:마리오 시리즈)] [include(틀:3D 마리오 시리즈)] [[분류:슈퍼 마리오 Wii 2 갤럭시 어드벤처 투게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