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3 {{{#fff '''슈투트가르트 중앙역[br]Stuttgart Hauptbahnhof''' }}} }}} || ||<-6> {{{#!wiki style="margin: -5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Stuttgart central station, 너비=100%, 높이=225px)]}}}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고속열차 행선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6> {{{+2 {{{#fff '''Stuttgart Hauptbahnhof'''}}} }}}[br]{{{#fff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 ||<-2>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html
베를린 게준트브루넨역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11}}}]] ||<-2> [[뮌헨 중앙역|{{{#!html
뮌헨 중앙역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2> [[함부르크 알토나역|{{{#!html
함부르크 알토나 방면}}}]][[킬 중앙역|{{{#!html
킬 방면}}}]][[올덴부르크 중앙역|{{{#!html
올덴부르크 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22}}}]] ||<-2> {{{#!html
시종착}}} || ||<-2> [[함부르크 알토나역|{{{#!html
함부르크 알토나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30}}}]] ||<-2> [[오펜부르크역|{{{#!html
오펜부르크 방면}}}]][[오펜부르크역|오펜부르크]][br]-.-km → || ||<-2> {{{#!html
노르트아이히 몰레 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32}}}]] ||<-2> {{{#!html
시종착}}} || ||<-2> {{{#!html
노르트아이히 몰레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35}}}]] ||<-2> {{{#!html
시종착}}} || ||<-2> [[함부르크 알토나역|{{{#!html
함부르크 알토나 방면}}}]][[킬 중앙역|{{{#!html
킬 방면}}}]][[도르트문트 중앙역|{{{#!html
도르트문트 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42}}}]] ||<-2> {{{#!html
뮌헨 중앙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2> [[쾰른 중앙역|{{{#!html
쾰른 중앙 방면}}}]]파이힝엔[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45}}}]] ||<-2> [[뮌헨 중앙역|{{{#!html
뮌헨 중앙역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2> [[도르트문트 중앙역|{{{#!html
도르트문트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47}}}]] ||<-2> [[뮌헨 중앙역|{{{#!html
뮌헨 중앙역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2> [[파리 동역|{{{#!html
파리 동 방면}}}]][[카를스루에 중앙역|카를스루에]][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83}}}]] ||<-2> [[뮌헨 중앙역|{{{#!html
뮌헨 중앙역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2> [[프랑크푸르트 중앙역|{{{#!html
프랑크푸르트 중앙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km ||<-2> [[인터시티익스프레스|{{{#!html
ICE 90(RJ)}}}]] ||<-2> {{{#!html
부다페스트 방면}}}[[울름 중앙역|울름]][br]-.-km → || }}}}}}}}}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일반열차 행선표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6> {{{+2 {{{#fff '''Frankfurt Hauptbahnhof'''}}} }}}[br]{{{#fff '''프랑크푸르트 중앙역'''}}} || ||<-2> [[빈츠역|{{{#!html
빈츠•}}}]][[그라이프스발트|{{{#!html
그라이프스발트 방면}}}]] 파이힝엔 역[br]←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30}}}]] ||<-2> [[오펜부르크역|{{{#!html
오펜부르크 방면}}}]]브룩살 역[br]-.- km → || ||<-2> [[베를린 중앙역|{{{#!html
베를린 중앙 방면}}}]]파이힝엔[br]←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32}}}]] ||<-2> [[클라겐푸르트|{{{#!html
클라겐푸르트 역 방면}}}]][[인스브루크|{{{#!html
인스브루크 방면}}}]]{{{#!html
오베르스도르프 방면}}} [[튀빙겐 중앙역|{{{#!html
튀빙겐 방면}}}]]플로힝엔 역[br]-.- km → || ||<-2> [[바젤 SBB역|{{{#!html
바젤 방면}}}]]브룩살[br]← -.-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60}}}]] ||<-2> [[잘츠부르크|{{{#!html
잘츠부르크 방면}}}]]플로힝엔[br]-.- km → || ||<-2> [[카를스루에 중앙역|{{{#!html
카를스루에 방면}}}]]파이힝엔[br]← -.-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61}}}]] ||<-2> [[라이프치히 중앙역|{{{#!html
라이프치히 방면}}}]]쇼른도르프[br]-.- km → || ||<-2> [[자르브뤼켄 중앙역|{{{#!html
자르브뤼켄 방면}}}]][[만하임 중앙역|만하임]][br]← -.-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EC 62}}}]] ||<-2> [[클라겐푸르트|{{{#!html
클라겐푸르트 방면}}}]]플로힝엔[br]-.- km → || ||<-2> [[프랑크푸르트 중앙역|{{{#!html
프랑크푸르트 중앙 방면}}}]][[하이델베르크 중앙역|하이델베르크]][br]← -.- km ||<-2> [[인터시티(유럽)|{{{#!html
IC/EC 62}}}]] ||<-2> [[그라츠|{{{#!html
그라츠 방면}}}]]플로힝엔[br]-.- km → || ||<-2> {{{#!html
시종착}}} ||<-2> [[인터시티(유럽)|{{{#!html
IC87}}}]] ||<-2> [[취리히 중앙역|{{{#!html
취리히 방면}}}]]뵈블링겐-.- km → || ||<-2> {{{#!html
시종착}}} ||<-2> [[인터시티(유럽)|{{{#!html
IC87}}}]] ||<-2> [[콘스탄츠|{{{#!html
콘스탄츠 방면}}}]]뵈블링겐-.- km → || }}}}}}}}} || ||<-6> {{{#fff '''주소''' }}} || ||<-6> Arnulf-Klett-Platz 2, 70173 Stuttgart, Germany || ||<-6> {{{#fff '''개업일''' }}} || ||<-6> 1922년 10월 23일 || ||<-6> {{{#fff '''승강장 구조''' }}}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2> {{{#ffffff 일반열차}}} ||<-4> 지상 두단식 16면 || }}}}}}}}} || ||<-6> {{{#fff '''운영 기관''' }}} || ||<-6>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4> {{{#ffffff 일반열차}}} ||<-4> [[도이체반|[[파일:도이치반 로고.svg|width=60]]]] || ||<-4> [[SNCF|[[파일:SNCF 로고.svg|width=60]]]] || ||<-4> [[오스트리아 연방 철도|[[파일:오스트리아 연방 철도 로고.svg|width=60]]]] || ||<-4> [[파일:플릭스트레인 로고.svg|width=150]] || }}}}}}}}} || ||<-6> {{{#fff '''등급''' }}} || ||<-6> 1급 관리역 || ||<-6> {{{#fff '''관리''' }}} || ||<-6> [[도이체반|DB Station&Service]] || ||<-6> {{{#fff '''소유''' }}} || ||<-6> [[도이체반|DB Netz]] || == 개요 == 슈투트가르트 중앙역 (Stuttgart Hauptbahnhof)은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주요 철도역이다. == 구조 == 지상은 16면의 두단식 승강장, S반은 2면, U반은 4면이 있다. == 슈투트가르트 21 == [[파일: 2013-03_Visualisierung_Vogelperspektive_Hauptbahnhof.jpg]] 유감스럽게도 현재 슈투트가르트 중앙역은 21세기 이래 슈투트가르트 최대의 가십거리가 되었다. 슈투트가르트 21 프로젝트 때문인데 간략히 설명하자면 현재 터미널식 역사를 중간역으로 바꾸는 것이다.[* 그 밖에도 슈투트가르트-벤델링엔-울름 고속선 건설 및 그에 따른 터널 건설, 철도 이전부지의 신도시 개발 등이 포함된다.] [[도이체반]], 독일정부, [[유럽의회]]는 공통적으로 찬성을 하였는데 이는 슈투트가르트를 동유럽과 서유럽을 잇는 허브로 키울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인데다, 터미널식은 중간역으로 매우 부적합 하고, 지상역사를 지하화 하면서 생기는 도심에 바로 붙은 유휴 철도 부지를 팔아 부동산 수익을 기대할 수 있었다. 또한 신도시 개발로 분지 도시인 슈투트가르트 도심의 만성적인 공간 부족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도 기대했다. 다만 워낙 많은 비용이 들어가고(과장 보태서 21세기 이래로 독일 최대 비용의 공사라고 한다.) 중앙역 자체만해도 지은지 90년이 넘은 반쯤 문화재급 건물이며 환경파괴의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수많은 사람들이 반대를 하였지만 공사는 강행되었다. 사업 계획을 수립하고 시행에 이르기까지 말이 많은 사업이었고 그만큼 오랜 시간 의회 토론과 시민 공청회를 거듭하여 계획안을 확정하고 사업을 시행할 수 있었는데, 막상 사업을 시행하자 마자 또다른 거대한 시민 반대에 부딪혀 사업 초기에도 부침을 거듭했다. 하필 공사 과정에서 수백년 된 나무를 자르고 슐로스플라츠의 시설을 일부 건드리는 바람에 문제가 워낙 심각해져 반대파 지지자가 많아지고[* 시위가 한창 컸을땐 참가 규모만 15만명에 달했다고 한다. 슈투트가르트의 인구가 약 60만명 정도 하는걸 감안하면 어마어마한 숫자다.] 결국 슈투트가르트 시장으로 녹색당 출신의 프리츠 쿤이 당선되기에 이르렀다.[* 슈투트가르트를 포함한 바텐-뷔르템베르크는 전통적으로 보수세력이 강한 동네이다.] 하지만 이 사태와 관련된 투표를 진행하였지만 약간의 표차이로 찬성파가 이겼다고 한다. 아무튼 2016년 현재 공사는 계속 진행되고 있고, U-bahn 일부 노선은 도심 접근 전에 잘리거나 우회하는 등의 불편이 여전히 반복되는 중. 반대파는 중앙역 맞은편에 텐트를 치고 24시간 농성을 벌이고 있으며 매주 월요일 저녁마다 슐로스플라츠에서 열심히 시위를 하는 중이다. 아니나 다를까 완공 시기는 지속적으로 늦춰져 착공 당시에는 2021년 완공을 목표로 했으나 2017년말 벌써 2024년으로 완공 시점을 늦추었다. 덩달아 사업 예산도 초기 45억 유로에서 76억유로까지 치솟았다. 물론 이렇게 미뤄지고 예산도 치솟는 마당에 2024년보다 완공이 더 늦어지지 말란 법이 없으니 또 문제이다. 지하역사는 4면 8선의 형태가 될 예정이다. [[분류:독일의 철도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