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키보드]] [include(틀:상위 문서, top1=키보드/레이아웃)] || [[파일:numeric keypad-01.png]] || [[파일:Microsoft Number Pad.png]] || [목차] [clearfix] == 개요 == '''Numeric keypad''' [[키보드/레이아웃#풀 사이즈 키보드|풀 사이즈 키보드]] 우측의 숫자 패드, 혹은 숫자 부분만 따로 독립된 숫자 [[키보드]]이다. [[텐키리스 키보드]]와는 반대의 개념. == 특성 == 빠른 숫자입력이 필요한 사무 분야 또는 넘버패드와 숫자키가 서로 다른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을 쓰는 업종에서 종종 쓰인다. 대표적으로 [[어도비 애프터 이펙트|애프터 이펙트]]를 쓰는 모션그래픽 업종은 넘버패드가 필요하다. 그래서 보통은 풀 사이즈 키보드를 쓰지만, 텐키리스 키보드로 작업할 경우 숫자 키패드를 지참하기도 한다. 일부 고급 제품은 [[계산기]], [[한손 키보드]] 기능이 첨가되어 있기도 하다. 특수한 제품으로 [[매크로]] 전용으로 나오는 숫자 키패드도 있는데 원하는 기능을 직접 매핑해서 쓸 수 있다. 넘버패드의 숫자 키는 전화기와 다르게, 위로 갈수록 숫자가 더 커지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는 넘버패드와 전화기의 숫자 키 배열이 서로 다른 목적으로 디자인되었기 때문이다.[[https://uxdesign.cc/a-brief-history-of-the-numeric-keypad-59112cbf4c49|#1]] 넘버패드의 숫자 키 배열은 원래 계산기에서 유래했다. 계산기의 숫자 키가 위로 갈수록 숫자가 더 커지게끔 배치된 이유에 대해서는, 다음에 추측이 있다. 먼저, 기계 장치로 작동하던 당시의 계산기는 멀리 있는 버튼일수록 작동 시간이 더 길었고, 작동에 걸리는 시간이 가장 긴 위에서부터 가장 큰 숫자를 배치했다는 추측이 있다. 또다른 추측으로는 당시의 계산기가 보수(補數, complement)의 원리를 이용해 작동해[* 이는 [[주판]]과도 유사하다.] 숫자를 더 작은 숫자들의 합으로 입력할 수 있었고, 따라서 가장 누르기 쉬운 아래부터 가장 작은 숫자를 배치했다는 것이다. 반면에 전화기의 숫자 키 배열은 빠르게 전화번호를 입력하는데 효율적일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정보처리 능력 등 인체공학적인 요소도 고려되어 설계되었다. 참고로 현재 사용되는 전화기의 숫자 키 배열은 당시 AT&T에 속해있던 벨 연구소에서 개발되었다. 벨 연구소가 설계한 프로토타입 중에는 이미 먼저 개발된 계산기의 숫자 키 배열을 그대로 사용한 배열도 있었으나, 전화번호를 입력하는데는 비효율적이고 사용자들이 불편해한다는 이유로 선정되지 않았다. 2000년 이후에는 키보드보다 [[휴대전화]]부터 접하는 인구가 많아지면서, 넘버패드의 숫자 키 배열을 영 불편해하는 사람들도 생기고 있다. 정확하게 풀사이즈 키보드 내 숫자 키패드의 레이아웃을 따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백스페이스]] 키를 추가하는 경우가 대부분.[* 백스페이스 키를 [[Num Lock]] 대신 넣던가 혹은+키의 크기를 2u에서 1u로 줄여서 우측 상단에 추가하던가 등] 아니면 아예 3~4개의 키[* Clear, =, (, ), Tab, ESC, Fn 등]등 1줄을 더 넣어서 레이아웃을 구성하기도 한다. || [[파일:numeric keypad-02.png]] || [[파일:numeric keypad-04.png]] || [[파일:numeric keypad-03.png]] || == 품목 == >2023년 7월 기준. 단종품은 제외. * [[마이크로소프트]] [[https://www.microsoft.com/ko-kr/accessories/products/keyboards/microsoft-number-pad|넘버 패드]] * 레노버 [[https://www.lenovo.com/kr/ko/accessories-and-monitors/keyboards-and-mice/numeric-keyboards/KBD-BO-Lenovo-Num-Keypad/p/4Y40R38905|유선(4Y40R38905)]] / [[https://www.lenovo.com/kr/ko/accessories-and-monitors/keyboards-and-mice/numeric-keyboards/KBD-BO-Numeric-Keypad/p/4Y41C33791|무선(4Y41C33791)]] * [[웨이코스]] [[https://www.waycosmall.com/shop/shopdetail.html?branduid=3551221|씽크웨이 CROAD K10]] / [[https://www.waycosmall.com/shop/shopdetail.html?branduid=3551222|씽크웨이 CROAD K20]] * [[키크론]] [[https://keychron.kr/q0/|Q0]] / [[https://keychron.kr/q0_plus/|Q0 Plus]] * 액토 [[https://www.actto.kr/product/%EC%8A%AC%EB%A6%BC-%EB%AC%B4%EC%84%A0-%ED%82%A4%ED%8C%A8%EB%93%9C-nbk-25/740/|슬림 무선 키패드 NBK-25]] * [[코시|COSY]] [[https://www.cosy.co.kr/mall/view.php?idx=2141|보노 블루투스 키패드]] 유선, 무선(2.4ghz, BT) 및 레이아웃도 다양한 제품이 있다. 해외산 [[기계식 키보드]] 제품군도 꽤 있는데 국제적 공용수인 숫자 키 특성상 반드시 한글각인이나 한국 전용 레이아웃이 될 이유가 없으므로 해외 제품으로 눈을 돌려도 별 불편함은 없다. 이 계열의 변종제품으로, 넘버패드뿐 아니라 방향키와 편집키까지 합친 제품도 있다. [[https://altoshop.co.kr/product/view.html?uid=259|#알토디자인 GNI-603]], [[https://satechi.net/products/bluetooth-extended-keypad?variant=30751528419416|#Satechi Bluetooth Extended Keypad]] 노트북이나 60% 배열 키보드에 연결해서 거의 풀 사이즈에 가까운 사용감을 제공하는게 목적. == 기타 == * NumLock이 없을 경우 macOS에서는 [[https://support.apple.com/en-qa/guide/mac-help/mchlp2366/mac|Shift+Del]]로 대체가 가능하나 Windows 에서는 On-screen keyboard 를 불러내야 한다. * 에뮬레이터의 발전으로 키보드로 [[대전 격투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시대가 오면서, 격겜에도 어느정도 키보드 입력계의 영향이 있다. 특히 커맨드 표시에서, ↓↘→같은 기본 커맨드 표시를 특수문자로 하기 번거로워서 숫자 키패드 236으로 대체하면서, 격겜의 커맨드는 숫자 키패드를 따른다. 236의 경우는 상술한 ↓↘→ 파동권 커맨드, 623의 경우 →↓↘ 승룡권 커맨드 등등. == 관련글 == * [[키보드]] * [[키보드/레이아웃]] * [[키보드/구조와 분류]] * [[기계식 키보드]] * [[게이밍 키보드]] * [[한손 키보드]] * [[레트로 키보드]] * [[스플릿 키보드]] * [[인체공학 키보드]] * [[텐키리스 키보드]]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키보드/레이아웃, version=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