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전라남도)]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2 {{{#fff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br]{{{-1 {{{#fff '''순천시''' 해룡면 '''+'''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 일원[br]順天市·光陽市·谷城郡·求禮郡 乙[br]Suncheon–Gwangyang–Gokseong–Gurye B}}}}}}}}}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15,622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전라남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순천시|{{{#373a3c,#ddd 순천시}}}]] 일부''' 해룡면 ---- '''[[광양시|{{{#373a3c,#ddd 광양시}}}]] 전역''' 골약동, 중마동, 광영동, 태인동, 금호동, 광양읍, 봉강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 ---- '''[[곡성군|{{{#373a3c,#ddd 곡성군}}}]] 전역''' 곡성읍, 입면, 겸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오산면, 목사동면 ---- '''[[구례군|{{{#373a3c,#ddd 구례군}}}]] 전역'''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 ||<-2> '''신설년도'''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 ||<-2> '''이전 선거구''' ||<-2> [[순천시(선거구)|순천시]], [[광양시·곡성군·구례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서동용]] || [목차] [clearfix] == 개요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새로 생긴 전라남도의 선거구다. 당초에는 [[순천시(선거구)|순천시]]를 순천시 갑과 순천시 을로 분구를 하는 안으로 선거구를 획정했으나 여야 3당 합의에 따라 선거구 획정 수정안에 따라 순천을 기존 [[광양시·곡성군·구례군]]과 합친 뒤 갑과 을로 나누는 선거구로 만들었다. [[해룡면]]이 이 선거구로 편입됐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의원이다. [[호남고속도로]] 연선상에서 볼 수 있는 마지막 복합 선거구이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 || '''선거'''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3> 13대 || [[홍기훈(정치인)|홍기훈]] ||<|3> [include(틀:평화민주당)] ||<|3>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곡성군'''·화순군 || || [[조순승]] || '''구례군·승주군''' || || [[이돈만]] || '''광양군''' || ||<|3> 14대 || [[김명규(정치인)|김명규]] ||<|3> [include(틀:민주당(1991년))] ||<|3>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동광양시·광양군''' || || [[황의성]] || '''곡성군·구례군''' || ||<|2> [[조순승]] || '''승주군''' || ||<|3> 15대 ||<|3>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3>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순천시 을''' || || [[김명규(정치인)|김명규]] || '''광양시''' || || [[양성철]] || '''곡성군·구례군''' || ||<|3> 16대 || [[김경재]] ||<|3>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3>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순천시''' || || [[정철기]] || '''광양시·구례군''' || || [[김효석(1949)|김효석]] || 담양군·'''곡성군'''·장성군 || ||<|3> 17대 || [[서갑원]] ||<|2> [include(틀:열린우리당)] ||<|3>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순천시''' || || [[우윤근]] || '''광양시·구례군''' || || [[김효석(1949)|김효석]]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담양군·'''곡성군'''·장성군 || ||<|4> 18대 || --[[서갑원]]--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1년 1월 27일 ||<|2> '''순천시''' || || [[김선동(1967)|김선동]] || [include(틀:민주노동당)] || 2011년 4월 28일 ~ 2012년 5월 29일 || || [[우윤근]] ||<|2>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2>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광양시''' || || [[김효석(1949)|김효석]] || 담양군·'''곡성군·구례군''' || ||<|3> 19대 || --[[김선동(1967)|김선동]]-- || --[include(틀:통합진보당)]-- || 2012년 5월 30일 ~ 2014년 6월 12일 ||<|2> '''순천시·곡성군''' || || [[이정현(정치인)|이정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2014년 7월 31일 ~ 2016년 5월 29일 || || [[우윤근]] || [include(틀:민주통합당)]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광양시·구례군''' || ||<|2> 20대 || [[이정현(정치인)|이정현]]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2>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순천시''' || || [[정인화]] || [include(틀:국민의당(2016년))] || '''광양시·곡성군·구례군''' || || 21대 || [[서동용]]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2020년 5월 30일 ~ 현재 ||<|2>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22대 || ||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ffffff {{{+1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br]{{{#ffffff 순천시 해룡면 + 광양시 일원[*광양 골약동, 중마동, 광영동, 태인동, 금호동, 광양읍, 봉강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 곡성군 일원[*곡성 곡성읍, 입면, 겸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오산면, 목사동면.], 구례군 일원[*구례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서동용|{{{#373a3c,#dddddd 서동용}}}]](徐東榕)''' || '''92,442''' || '''1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64.75%''' || '''당선''' || ||<|2> {{{#ffffff {{{+5 '''2'''}}}}}} || [[김창남|{{{#373a3c,#dddddd 김창남}}}]](金昌南) || 6,192 || 3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4.33% || 낙선 || ||<|2> {{{#000000 {{{+5 '''6'''}}}}}} || [[이경자|{{{#373a3c,#dddddd 이경자}}}]](李京子) || 4,187 || 4위 || || [include(틀:정의당(2013~2021))] || 2.93% || 낙선 || ||<|2> {{{#ffffff {{{+5 '''7'''}}}}}} || [[유현주(정치인)|{{{#373a3c,#dddddd 유현주}}}]](兪賢珠) || 3,486 || 5위 || || [include(틀:민중당)] || 2.44% || 낙선 || ||<|2> {{{#ffffff {{{+5 '''8'''}}}}}} || [[고주석|{{{#373a3c,#dddddd 고주석}}}]](高柱錫) || 621 || 7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43% || 낙선 || ||<|2> {{{#ffffff {{{+5 '''9'''}}}}}} || [[정인화|{{{#373a3c,#dddddd 정인화}}}]](鄭仁和) || 34,384 || 2위 || || [include(틀:무소속)] || 24.08% || 낙선 || ||<|2> {{{#ffffff {{{+5 '''10'''}}}}}} || [[김종수|{{{#373a3c,#dddddd 김종수}}}]](金鍾秀) || 1,452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1.0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215,622 ||<|3> '''투표율'''[br]67.15% || || '''투표 수''' || 144,785 || || '''무효표 수''' || 2,021 || ---- {{{#!folding [전라남도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읍면동별 개표 결과 보기] ||<-8>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동용|{{{#FFFFFF '''서동용'''}}}]] || [[정인화|{{{#FFFFFF '''정인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3,703 [br] (69.12%)'''}}} || '''3,777 [br] (19.05%)''' || '''+ 9,926 [br] (△50.07)''' || '''20,086 [br] (57.46%)''' || || '''해룡면''' || {{{#004EA2 69.12%}}} || 19.05% || △50.07 || 57.46% || ---- ||<-8>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광양시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동용|{{{#FFFFFF '''서동용'''}}}]] || [[정인화|{{{#FFFFFF '''정인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53,643 [br] (60.59%)'''}}} || '''25,164 [br] (28.42%)''' || '''+ 28,479 [br] (△32.17)''' || '''89,635 [br] (68.19%)''' || || '''골약동'''[* [[서동용]] 후보의 고향.] || {{{#004EA2 68.07%}}} || 26.23% || △41.85 || 71.94% || || '''중마동''' || {{{#004EA2 60.50%}}} || 27.95% || △32.55 || 62.04% || || '''광영동''' || {{{#004EA2 57.02%}}} || 31.00% || △26.03 || {{{#696969 60.34%}}} || || '''태인동''' || {{{#004EA2 '''69.23%'''}}} || {{{#696969 23.37%}}} || '''△45.85''' || 70.33% || || '''금호동''' || {{{#004EA2 57.38%}}} || 26.69% || △30.70 || '''75.14%''' || || '''광양읍''' || {{{#004EA2 61.11%}}} || 30.54% || △30.57 || 64.09% || || '''봉강면''' || {{{#004EA2 50.50%}}} || 42.92% || △7.58 || 69.76% || || '''옥룡면'''[* [[정인화]] 후보의 고향.] || {{{#696969 44.73%}}} || {{{#808080 '''47.38%'''}}} || {{{#696969 ▼2.64}}} || 71.67% || || '''옥곡면''' || {{{#004EA2 50.24%}}} || 42.76% || △7.49 || 69.21% || || '''진상면''' || {{{#004EA2 59.20%}}} || 33.78% || △25.41 || 68.56% || || '''진월면''' || {{{#004EA2 52.79%}}} || 39.14% || △13.66 || 67.52% || || '''다압면''' || {{{#004EA2 56.27%}}} || 31.66% || △24.61 || 69.26% || || '''후보''' || [[서동용|{{{#004EA2 '''서동용'''}}}]] || [[정인화|{{{#808080 '''정인화'''}}}]]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7.41%}}} || 22.25% || △35.16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68.44%}}} || 16.94% || △51.50 || || || '''재외투표''' || {{{#004EA2 75.00%}}} || 10.52% || △64.47 || || ---- ||<-8>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곡성군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동용|{{{#FFFFFF '''서동용'''}}}]] || [[정인화|{{{#FFFFFF '''정인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3,635 [br] (76.25%)'''}}} || '''2,081 [br] (11.63%)''' || '''+ 11,554 [br] (△64.62)''' || '''18,214 [br] (70.31%)''' || || '''곡성읍''' || {{{#004EA2 74.54%}}} || 15.01% || △59.53 || 67.60% || || '''오곡면''' || {{{#4169E1 71.16%}}} || '''19.34%''' || {{{#696969 △51.82}}} || 69.29% || || '''삼기면''' || {{{#004EA2 78.10%}}} || 8.57% || △69.53 || 65.36% || || '''석곡면''' || {{{#004EA2 '''80.49%'''}}} || 9.07% || △71.42 || '''71.86%''' || || '''목사동면''' || {{{#004EA2 79.93%}}} || 8.74% || △71.19 || {{{#696969 63.45%}}} || || '''죽곡면''' || {{{#004EA2 75.46%}}} || 12.77% || △62.69 || 70.93% || || '''고달면''' || {{{#004EA2 80.39%}}} || 8.88% || △71.51 || 70.04% || || '''옥과면''' || {{{#004EA2 78.58%}}} || 9.32% || △69.26 || 65.28% || || '''입면''' || {{{#004EA2 79.43%}}} || {{{#696969 6.85%}}} || '''△72.59''' || 66.88% || || '''겸면''' || {{{#004EA2 72.05%}}} || 10.01% || △62.04 || 68.52% || || '''오산면''' || {{{#004EA2 71.31%}}} || 16.89% || △54.42 || 64.13% || || '''후보''' || [[서동용|{{{#004EA2 '''서동용'''}}}]] || [[정인화|{{{#808080 '''정인화'''}}}]]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53.52%}}} || 21.12% || △32.39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76.21%}}} || 9.21% || △67.00 || || || '''재외투표''' || {{{#004EA2 85.71%}}} || 0% || △78.57[*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김창남]], [[민중당(2017년)|민중당]] [[유현주(정치인)|유현주]] 후보(1표, 7.14%)이다.] || || ---- ||<-8> {{{#FFFFFF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구례군 개표 결과'''}}} || ||<-8> {{{#FFFFFF '''국회의원 선거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무소속)] || '''격차''' || '''투표율''' || || '''후보''' || [[서동용|{{{#FFFFFF '''서동용'''}}}]] || [[정인화|{{{#FFFFFF '''정인화'''}}}]] || '''(1위/2위)''' || '''(선거인/표수)''' || || '''득표수 [br] (득표율)''' || {{{#FFFFFF '''11,461 [br] (69.34%)'''}}} || '''3,362 [br] (20.34%)''' || '''+ 8,099 [br] (△49.00)''' || '''16,850 [br] (72.23%)''' || || '''구례읍''' || {{{#004EA2 69.15%}}} || 21.93% || △47.21 || {{{#696969 68.36%}}} || || '''문척면''' || {{{#004EA2 66.58%}}} || 20.92% || △45.66 || 70.89% || || '''간전면''' || {{{#004EA2 71.58%}}} || 18.76% || △52.82 || 73.10% || || '''토지면''' || {{{#004EA2 68.18%}}} || 19.67% || △48.51 || 69.60% || || '''마산면''' || {{{#004EA2 69.00%}}} || 19.15% || △49.85 || 70.76% || || '''광의면''' || {{{#4169E1 65.51%}}} || '''25.05%''' || {{{#696969 △40.46}}} || 69.26% || || '''용방면''' || {{{#004EA2 67.47%}}} || 23.20% || △44.27 || '''77.68%''' || || '''산동면''' || {{{#004EA2 '''72.39%'''}}} || {{{#696969 17.71%}}} || '''△54.69''' || 69.65% || || '''후보''' || [[서동용|{{{#004EA2 '''서동용'''}}}]] || [[정인화|{{{#808080 '''정인화'''}}}]] || '''격차''' ||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67.94%}}} || 12.82% || △55.13 ||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72.65%}}} || 14.80% || △57.85 || || || '''재외투표''' || {{{#004EA2 100%}}} || 0% || △100 || ||}}} ---- 기존 [[광양시·곡성군·구례군]]의 현역 의원인 [[무소속]] [[정인화]] 전 의원이 이 선거구에 출마를 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호남 탈환을 노리는 [[더불어민주당]]은 기존 광양시·곡성군·구례군 선거구 출마를 희망했던 예비 후보자들을 대상으로 경선을 진행하여 서동용 변호사가 최종 공천을 받았다. 그 외 민중당은 지난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던 유현주 예비 후보, 정의당은 보육교사 출신 이경자 예비 후보가 등록해 각각 공천을 받아 공식적으로 출마했다. 후보 확정 후 4월 초 발표된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후보가 무소속 정인화 후보를 오차범위 밖에서 크게 앞서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실제 개표 결과에서도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후보가 득표율 60%를 넘기며 무난하게 압승해 당선되었다. 특히 [[신대지구]] 등 신도시 개발 등으로 젊은 인구 유입이 활발한 순천시 해룡면이 이 선거구로 들어오면서 그 이득을 톡톡히 봤다.[* 해룡면에서만 더불어민주당 서동용 후보가 6,383표를 앞섰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ffffff {{{+1 '''순천시·광양시·곡성군·구례군 을'''}}}}}}]][br]{{{#ffffff 순천시 해룡면 + 광양시 일원[*광양 골약동, 중마동, 광영동, 태인동, 금호동, 광양읍, 봉강면, 옥곡면, 진상면, 진월면, 다압면.], 곡성군 일원[*곡성 곡성읍, 입면, 겸면, 오곡면, 삼기면, 석곡면, 죽곡면, 고달면, 옥과면, 오산면, 목사동면.], 구례군 일원[*구례 구례읍, 문척면, 간전면, 토지면, 마산면, 광의면, 용방면, 산동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선거구의 문제점 == 이 선거구 획정에 따라 본래 선관위의 제시안이었던 [[순천시]] 자체 분구가 무산되고, 난데 없이 순천시에서 [[해룡면]]만 따로 분리되어 광양시, 곡성군, 구례군과 묶여 을 지역구로 편성되는 피해를 입게 되었다.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로 북부지역이 편입된 춘천시보다 훨씬 피해가 큰게, 이 선거구 인구는 약 26만명에 달하여 약 14만명대 후반인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보다 훨씬 인구가 많고, 생활권 측면에서 밀집성이 낮기 때문이다. 한편, 이러한 선거구 획정으로 순천시 잔여지에서 출마할 [[김선동(1967)|김선동]] 민중당 후보와 이 선거구에서 출마할 [[정인화]] 전 [[무소속]] 의원이 수혜를 입었다는 관측도 나온다. 하지만 [[천하람]]과 김선동이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선거구 획정이 위법이라며 헌법소원을 한 것은 기각되었다. 합헌이라는 취지이다. [[https://m.khan.co.kr/national/court-law/article/202310261653001|#]] 본 선거구 인구가 26만인데다가 광양시나 순천시 해룡면에서 진행되고 있는 택지개발의 진행 상황으로 보아 차후 진행될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 조정이 불가피하다.[* 다만, 전라도 전체가 인구 수 대비 많은 선거구를 가지고 있는 상황이며, 순천시와 광양시를 제외한 인접 군 지역들의 인구 수가 적어서 [[제2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연쇄적 조정이 불가피하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전라남도의 정치]][[분류:순천시]][[분류:광양시]][[분류:곡성군]][[분류:구례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