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조선의 후궁(중종 ~ 고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ffd400 '''숙의 박씨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대한제국의 후궁(태조 ~ 고종))]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73679, #403F95 20%, #403F95 80%, #373679); color: #FFD400" '''대한제국 순조의 후궁[br]{{{+1 숙의 박씨 | 淑儀 朴氏}}}'''}}}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6E1D55, #89236A 20%, #89236A 80%, #6E1D55); color: #FFD400" '''조선 순조의 후궁[br]{{{+1 숙의 박씨 | 淑儀 朴氏}}}'''}}}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서삼릉숙의묘역.jpg|width=100%]]}}} || ||<-2> {{{#ffd400 {{{-2 서삼릉 후궁 묘역 전경}}} }}} || || '''출생''' ||연대 미상 || || '''사망''' ||[[1854년]] [[7월 24일]] || || '''능묘''' ||[[서삼릉#s-4.1|숙의밀양박씨지묘]][br](淑儀密陽朴氏之墓) || ||<|2> '''재위기간''' ||'''{{{#ffd400 조선 숙의}}}''' || ||[[1817년]] [[11월 19일]] ~ [[1854년]] [[7월 24일]]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본관''' ||[[밀양 박씨]] || || '''배우자''' ||[[순조|순조 숙황제]] || || '''자녀''' ||[[영온옹주|1녀]] || || '''봉작''' ||'''숙의(淑儀)'''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조선]] [[순조]]의 [[후궁]]. 본래 [[궁녀]] 출신으로 가계에 대해 알려진 바 없다. [[순조]]의 유일한 [[후궁]]이며, 또한 [[순조]]의 유일한 서출 소생인 [[영온옹주]]의 생모가 된다. == 생애 == 원래 [[궁녀|궁인]] 신분으로, [[순조]]의 [[성관계|승은]]을 입었다. [[1817년]](순조 17년) 10월 11일 새벽, 딸([[영온옹주]])을 낳았다. >'''궁인 박씨를 숙의에 봉작하다''' >---- >하교하기를, >"궁인(宮人) [[숙의 박씨(순조)|박씨]](朴氏)가 간밤에 딸을 낳았으니, 호산(護産) 등의 절차를 전례대로 거행하라." >하고, 또 하교하기를, >"궁인 [[숙의 박씨(순조)|박씨]]를 숙의(淑儀)에 봉작(封爵)하고, 공상(供上, 진상)도 마련(磨鍊)하라." >하였다. >---- >- '''《[[순조실록]]》 20권, 순조 17년([[1817년]], 청 가경(嘉慶) 22년) 10월 11일 (신사) 1번째기사''' 이날 종2품 '숙의(淑儀)'로 봉작되었다. 그러나 [[영온옹주]]는 태어날 때부터 몸이 약하고 말을 잘하지 못하는 등 건강상의 문제가 있었다.[* 《[[순조실록]]》 31권, 순조 30년([[1830년]], 청 도광(道光) 10년) 7월 15일 (경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y.go.kr/id/kwa_13007015_003|#]] ] 결국 [[1829년]](순조 29년) 4월 8일, [[영온옹주]]가 [[요절]]하면서 여생을 혼자 보내게 되었다. >'''영온 옹주가 죽다''' >---- >__영온 옹주(永溫翁主)__가 >요서(夭逝, [[요절]])하였다. >---- >- '''《[[순조실록]]》 30권, 순조 29년([[1829년]], 청 도광(道光) 9년) 4월 8일 (신미) 1번째기사''' [[1854년]](철종 5년) 6월 30일에 [[사망]]하였다.[* 《[[승정원일기]]》 2555책 (탈초본 123책) 철종 5년([[1854년]], 청 함풍(咸豊) 4년) 6월 30일 (정유) 22/30 기사. [[http://sjw.history.go.kr/id/SJW-J05060300-02200|#]] ] == 사후 == 숙의 박씨는 사후 효창원([[정조(조선)|정조]]의 아들 [[문효세자]]의 묘)에 장지를 마련하였다. 이곳은 현재의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 인근인데, [[일제강점기]] 말엽인 [[1945년]] 3월에 강제 이장되어 현재 박씨의 묘소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고양)|원당동]]의 [[서삼릉]] 경내에 있다. 그녀의 묘는 [[서삼릉]] 전 지역이 사적으로 지정될 때 함께 사적 제200호로 지정되었다. == 가계 == === 시가([[조선/왕실|전주 이씨]]) === * '''시조부 : ^^([[추존]])^^[[효장세자|진종 소황제]](眞宗 昭皇帝) 이행(李緈)'''[* 혈연상 시조부는 훗날의 장조 의황제로 불리는 그 유명한 [[사도세자]]이다.] * '''시조모 : ^^([[추존]])^^[[효순왕후|효순소황후]] [[풍양 조씨|조씨]](孝純昭皇后 趙氏)'''[* 혈연상 시조모는 [[혜경궁 홍씨]]이다.] * '''시아버지 : ^^([[추존]])^^[[정조(조선)|정조 선황제]](正祖 宣皇帝) 이산(李祘)''' * '''시어머니 : ^^([[추존]])^^[[효의왕후|효의선황후]] [[청풍 김씨|김씨]](孝懿宣皇后 金氏)'''[* 혈연상 시어머니는 [[순조]]의 생모이자 [[정조(조선)|정조]]의 [[후궁]]인 [[수빈 박씨]]이다.] === 배우자 / 자녀 === * '''남편 : ^^([[추존]])^^[[순조|순조 숙황제]](純祖 肅皇帝) 이공(李玜)''' * '''1녀 : [[영온옹주]](永溫翁主) - [[요절]]''' == 대중 매체 == * 《[[구르미 그린 달빛(드라마)|구르미 그린 달빛]]》 - [[전미선]]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구르미그린달빛_숙의박씨.png|width=100%]]}}} || ||<#89236A> {{{#ffd400 ''' 《구르미 그린 달빛》의 숙의 박씨'''}}} || 작중에서는 [[영온옹주]]([[허정은]] 분)의 어머니이자 생모를 잃은 [[효명세자|세자]]([[박보검]] 분)를 보듬어주는 역할로 나온다. [[순조]]([[김승수]] 분)와는 애틋한 관계이다. 그러나 [[순조]]가 처한 정치적인 상황과 입장 때문에 자유롭게 만나지 못하다가 홍라온([[김유정(배우)|김유정]] 분)의 노력으로 편지를 주고 받아 몰래 만나게 된다. == 참고 문서 == * [[덕온공주]] * [[명온공주]] * [[복온공주]] * [[서삼릉]] * [[순원왕후]] * [[순조]] * [[순조실록]] * [[승정원일기]] * [[영온옹주]] * [[조선왕조실록]] * [[철종(조선)|철종]] * [[철종실록]] * [[효명세자]] * [[효창공원|효창원]] [[분류:조선의 후궁]][[분류:1854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