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일하는 세포/등장인물]] ||<-2> [[파일:DendriticCell2.jpg]] [[파일:DendriticCell.jpg]] || ||<-2> 원작 || ||<-2> [[파일:일하는세포_수상세포.jpg|width=320]] || ||<-2> TV 애니메이션 || || '''{{{#ffffff 이 름}}}''' || '''樹状細胞'''[br]'''수지상세포'''[br]'''Dendritic Cell''' || || '''{{{#ffffff 1인칭}}}''' || [[보쿠]](僕) || || '''{{{#ffffff 성 우}}}'''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오카모토 노부히코]][* 참고로 이 성우는 '''[[액셀러레이터(어떤 마술의 금서목록)|액셀러레이터]] 성우'''다(...) 참고로 [[정재헌|한국판 엑셀러레이터 성우]]가 맡은 [[U-1146|역할]]은...][br][[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전광주]][br][[파일:미국 국기.svg|width=20]][[그리핀 번스]] || [목차] == 개요 == 만화 [[일하는 세포]]의 등장인물. 면역세포 중 하나인 [[수지상세포]]다. == 특징 == 초록색 장교복 의상을 입고 있다.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해당 정보를 받아서 다른 면역계 세포들에게 전달하는 임무를 맡고 있다. 온화한 얼굴과 다르게 [[하라구로|음험한 부분]]이 있다. == 작중 행적 == 겁이 많아서 혼자 도망친 나이브 T세포에게 킬러 T세포들의 과거 모습을 보여주면서 위로하고 활성화 하도록 도와준다. 실제로 수지상세포의 역할이 나이브 T세포들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이기에 과학적으로 제대로 반영된 편. 흉선세포 에피소드에서는 ~~사이토카인을 만들기 위해~~ 카메라를 들고 사진을 찍고있는 장면이 있는데, 사진 찍기~~도촬~~를 좋아하는 캐릭터성으로 만들어진 모양. 덕분에 후배들에게 부끄러운 흑역사를 들킨 킬러 T세포와 핼퍼 T세포가 절규하며 당장 태워달라고 달려들었지만, 수지상세포는 음험한 표정으로 소중한 자료를 태울 수 없다며 전부 피했다. 항원변이편에서는 다당체를 만드는 유산균[* 20화에서 첫 등장한 유산균 네 마리 중 하나. 일반 세포가 잃어버린 아이를 수지상세포가 발견해 보호 중이었다.] 덕분에 활성화하는데, 모자에 꽂힌 나뭇가지에서 꽃이 핀 것까지는 괜찮은데 마치 술에 취한 듯 딸꾹질을 하고 번쩍거리는 글리터 안감의 검은 코트와 안경테에 보석이 잔뜩 박힌 안경을 쓴데다 채찍을 드는 등, 묘하게 새디스트 적인 성향으로 변했다(...). 이전의 선례처럼 다른 면역계 세포들의 [[흑역사]]가 담긴 사진도 가지고 있단 사실이 밝혀졌는데 이런 사진들을 '''대량으로 뿌리는'''[* 대략 나온 사진을 보면 매크로파지와 함께 메이드복을 입고 있는 NK세포, 동료들과 함께 '평생 친구야'라며 귀척하는 호중구, 포도당 간식을 바닥에 흘려서 무릎을 꿇은 채로 '''혈소판에게 혼나고 있는''' B세포, 노래를 열창하고 있는 호중구-- 뒤에 호염기구가 보고있다.--, 혈소판을 안아주려고 했으나 혈소판이 매크로파지에게 도망쳐버려 그대로 굳어버린 호중구 등이 나온다(...). 그 외에도 기생충을 해치운 뒤 칭찬을 받아 얼굴이 벌개져서는 실실 웃고 있는 호산구, [[중2병|망토를 두르고 오른팔에 붕대를 감고 돌아다니던]] NK 세포, 무언가를 보고 놀라서 울면서 매크로파지에게 매달리는 NK세포, 웃기려는듯 차이나 드레스와 망사스타킹을 입고 쩍벌을 시전하는 '''킬러 T세포(?!)''', 자는 사이에 낙서를 당한 기억세포, [[허세|멋있는 척을 하는]] B세포, 유주 중에 몸이 끼어버린 호중구, 미성숙 시절의 B세포 등 수많은 사진이 흩날린다.] 이상한 방법을 이용해 B세포와 NK세포, 호중구 등 면역 세포를 강제적으로 활성화시켜 사기를 올린다.[* 참고로 여기서 수지상세포가 뿌린 흑역사 사진은 [[사이토카인]]으로 나온다(...).--그래서 9화때 도움 T랑 킬러 T가 불태워 버리라고 했을떼 중요한 자료라고 한거구나-- 실제로 사이토카인이 면역세포를 자극하는 효과가 있는 만큼 사진의 효과로만 본다면 꽤나 적절한 묘사.] 심지어 이것을 내보낼 때 [[하라구로|성격이 바뀌는 수준으로 표정이랑 행동이 음험하게(...) 변하며]], 이때 하는 말이 참 가관인 것이, '''"여러분들이 제대로 일을 하지 못하고 있으니 제가 좀더 힘을 내서 활성화 시켜야겠네요♥"'''[* ... 애니판에서는 오카모토가 거의 오카마 필 나게 므훗하게 연기 톤을 해서 더 뭔가 음란해졌다(...)] 쉽게 말해서 부끄러운 사진으로 협박하기. 뿐만 아니라 일 똑바로 안하면 추가적으로 사진을 더 뿌릴 생각이었던 모양이다. --[[사이토카인 폭풍]]--[* 실제로 코로나19편이 작성되면서 사이토카인 폭풍이 묘사되기 시작하였다.] 어쨌든 덕분에 강제적으로 활성화한 면역세포들이 항원변이한 인플루엔자를 무찌를 수 있게 되었으니 잘... 된건가? 뎅기열 편에서는 수지상세포에 속하는 랑게르한스 세포가 뎅기 바이러스에 감염되기도 했다. 묘하게 정훈장교의 모습을 가지고 있다. == 인물 관계 == * 나이브 T 세포 도망친 나이브 T 세포를 활성화 시켜주었다. == 기타 == 수지상세포의 '수(樹)'자가 '나무 수'자 인 것 때문인지 나무에서 살고 있다. 2차 창작에서는 매크로파지와 주로 엮인다. 둘 다 온순한 모습과 오싹한 모습이 있기 때문.[* 오싹한 면에 대해 요약하자면 매크로파지는 평소에는 순하지만 세균 죽일때 묘하게 공포이고 수지상세포는 사이토카인(면역세포들 흑역사 사진)을 뿌릴 때 오싹한 거다.] 커플명은 樹マク(쥬마크)이다. 그리고 많은 2차 창작에서 많은 세포들의 흑역사가 수지상세포의 사이토카인 사진들에 담겨서 퍼져나가는 모습이 많이 나온다. 모바일 게임에선 전투에 관여하는 대신 사이토카인 부스트 사용에 관여한다. [각주][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일하는 세포/등장인물, version=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