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백주]][[분류:사천 요리]][[분류:디아지오]] [include(틀:중국의 술)]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정방.jpg|width=100%]]}}}|| || '''{{{+1 {{{#FFF 수정방[br]水井坊 [br]shuǐjǐngfáng}}}}}}''' || [목차] [clearfix] == 개요 == 2000년부터 생산되기 시작한 중국의 고급 [[백주]]. == 역사 == 수정방의 모태가 되는 술은 중국 주류품평회에서 뽑은 명주 중 하나인, [[쓰촨성]]에서 생산되던 전흥(취안싱)대곡이라는 술이다. 전흥대곡은 청나라 건륭때인 1824년 부터 양조를 시작한 오래된 회사이다. 98년에 8월 전흥대국에서 [[청두시]] 수정가에 있는 양도장을 개축하다가 옛 양조장을 발견했고, 99년 고고학자들이 본격적으로 조사를 시작하자 원,명,청 3대에 걸친 옛 양조장의 흔적들이 발견되었다. 이 발견은 국가에 의해 '''1999년 전국 10대 고고학적 발견''' 중 하나이며 이 유적지는 2001년 6월 중국 국무원의 공포를 거쳐 전국중점문물보호단위(우리 식의 국보)로 지정됐다. 이 발견으로 단숨에 600년이 넘는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발견지를 가진 회사가 된 전흥대국은 2000년도에 아예 회사이름을 '''사천수정방주식회사(四川水井坊公司)'''로 고치고 대표 브랜드 수정방을 출시하였다. == 평가 == 분명 좋은 술임에는 틀림없으나 만족도 대비 가격이 터무니 없이 높다는 평이 대세. 비싼 명품, 외제차 등으로 허세를 부리기 좋아하는 중국인들이 보기에도 가성비 측면에서 박한 평가를 받아 판매량은 좋지 않았고 한동안 적자경영에 시달리다 결국 [[조니 워커]]로 유명한 [[디아지오]]에 인수되었다. 포장이 아주 고급스럽고 예쁘다. 옅은 베이지색의, 독특한 육각형 기둥 모양의 하드케이스를 벗기면 나무로 된 좌대에(3개의 나사로 케이스와 고정되어 있다) 술병이 들어 있다. 이 받침이 재떨이라는 말이 있는데 진위는 불명이다. 알콜 도수는 38도, 42도, 48도, '''52도''', 53도,[* 53도는 한정판.] 54도, 61도로 다양하다. 보통 제일 기본형 수정방이 52도이며, 중국에서도 수정방이라고 하면 대개 52도 짜리를 가리킨다. 가격은 면세점 기준으로 도수 52도, 용량 500ml에 20만원가량. 수정방 같은 경우에는 광고를 타 회사보다 줄이고 소매점가격 대비 낮은 공장가를 책정하는 방식으로 해서 소매점에 이익이 많이 돌아가게 하는 방식으로 마케팅을 해오고 있다. 그래서 소매점등에서 수정방을 가장 잘보이는 곳에다가 진열해놓는 경우도 많으며 행사도 자주 진행한다. 2006년 [[조니워커]]를 만드는 [[디아지오]]가 49% 지분을 인수해 공동경영을 해오다 2010년도 디아지오가 4%를 추가 매입해 대주주가 되었다. == 기타 == 청두시에 위치한 수정방 박물관에 관광지로 유명하다. 무료입장도 가능하나 50위안만 내면 직원의 가이드와 함께 8년 이상 숙성된 수정방 시음이 가능하다. [[신서유기]] 시즌3 술방에서 술 1병을 30분안에 다 비우는 미션이 있었는데, 바로 이 수정방 52도 대용량 사이즈를 다 비우는 미션이였다. 다행히 신서유기 출연진 6명 모두 애주가여서 간단히 미션에 성공하였다. [[2024 부산 세계 탁구 선수권 대회]]에서 국제탁구연맹의 후원사로 벡스코 특설경기장에서 광고가 나왔었다. 어째서인지 한국에서는 [[마오타이]], [[우량예]]와 함께 중국 3대 명주로 알려져 있는데 전국평주회(全國評酒會)가 폐지된 이후 출시된 제품이라 '중국명주' 타이틀이 있을수가 없다는 의견이 있다. 흔히 중국인들에게 물어보면 모오검이라 해서 모태주([[마오타이]]), 오량액([[우량예]]), [[검남춘]]을 꼽는다는 것이다. 그러나 위에 서술돼있듯이 수정방은 2000년에 리브랜딩한 이름이고, 원래는 전흥(취안싱)대곡인데, 1963년 제2회 전국평주회에서 8대 명주로 선정된 바 있다. 이후 1984년, 1988년에도 국가명주로 뽑혔기 때문에 중국명주는 맞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