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점을 칠 때 사용하는 구슬, rd1=수정구슬)] [include(틀:성남시의 일반구)] [include(틀:수정구의 법정동)] ||<-4> '''{{{#000 [[성남시|{{{#000 성남시}}}]]의 [[일반구|{{{#000 일반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000000 '''{{{+1 수정구}}}'''[br]壽井區 | Sujeong-gu}}}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include(틀:지도, 장소=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너비=100%, 높이=100%)]}}}|| ||<-2> '''[[수정구청|{{{#ffffff 구청}}}]] 소재지''' ||<-2> [[수정로(성남)|수정로]] 283 ([[신흥동(성남)|신흥동]]) || ||<-2> '''광역자치단체''' ||<-2> [[경기도]] || ||<-2> '''기초자치단체''' ||<-2> [[성남시]] || ||<-2> '''하위 행정구역''' ||<-2> 17[[행정동]] || ||<-2> '''면적''' ||<-2> 45.99㎢ || ||<-2> '''인구''' ||<-2> 233,509명[* 2023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http://jumin.mois.go.kr/|주민등록인구 통계]]] || ||<-2> '''인구 밀도''' ||<-2> 5,011.09명/㎢ || ||<-2> '''구청장''' ||<-2> 이규봉 || ||<-2> [[성남시 수정구(선거구)|{{{#fff '''국회의원'''}}}]]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행정구역)] || [[김태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4선]]),, || ||<-4> [[http://www.sujeong-gu.go.kr/main/index.asp|[[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width=2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수정구청_221107.jpg|width=100%]]}}} || || '''[[수정구청|{{{#ffffff 수정구청}}}]]''' || [목차] [clearfix] == 개요 == [[경기도]] [[성남시]]의 북부에 있는 [[일반구]]. 성남시 수정출장소였다가 [[1989년]] 성남시의 구제 실시로 구로 승격되었다.[* 분구 당시 기준은 은행동에서 분리된 양지동 정도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선거구]]와 일치했는데, 성남시 갑 지역이 여기에 해당되었다.] 과거 [[탄천]]을 기준으로 서부는 옛 [[광주시|광주군]]의 대왕면, 동부는 중부면에 속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착각하고 있는데 '''[[수정|水晶]]'''(Crystal)이 아니라 '''壽井'''이다. '''수'''진동('''壽'''進洞)과 복'''정'''동(福'''井'''洞)에서 한 글자씩 따온 이름이다.[* 진짜로 행정구역 이름이 水晶인 곳은 성남이 아닌 부산에 있다. [[부산광역시]] [[동구(부산광역시)|동구]] [[수정동(부산)|수정동]]이 바로 그 곳이다.] [[판교신도시]], [[분당신도시]]로 거리감이 있는 [[분당구]]와는 달리 [[중원구]]와는 [[성남 본시가지|성남시 구도심]] 생활권을 공유하고 있는데, [[서울 지하철 8호선]]이 두 구의 경계를 따라 달린다. 그 경계의 도로는 [[산성대로]]. 현재 고등.시흥동의 개발과 택지지구, 재개발 등으로 인하여 인구가 늘어가고 있다. == 지리 == 구의 서부에는 [[과천시]][* 과천시와는 [[청계산]]으로 가로막혀 있으며, 연결되는 도로는 없다.], 남서부에는 [[의왕시]], 남부에는 [[분당구]], 동부에는 [[중원구]], 북부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강남구]], [[송파구]] 및 [[하남시]]와 접해 있다. 그리고 이쪽도 [[중원구]] 못지않게 아스트랄한 지형이 꽤 있다. 대표적으로 태평동, 산성동, 단대동, 신흥동 일대. == 인구 == || [[파일:성남시 CI.svg|width=40]] '''[[성남시|{{{#000,#fff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000,#fff 인구 추이}}}''' [br] {{{-3 (1990년~현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8.41%, #888 0%, #888 100% , #AAA 0%)" {{{#fff 1990년 265,242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7.40%, #888 0%, #888 100% , #AAA 0%)" {{{#fff 1995년 262,20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5.68%, #888 0%, #888 100% , #AAA 0%)" {{{#fff 2000년 257,048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7.30%, #888 0%, #888 100% , #AAA 0%)" {{{#fff 2005년 261,889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0.36%, #888 0%, #888 100% , #AAA 0%)" {{{#fff 2010년 241,070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73.18%, #888 0%, #888 100%, #AAA 0%)" {{{#fff 2015년 219,53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80.57%, #888 0%, #888 100%, #AAA 0%)" {{{#fff 2020년 241,701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55b7 76.91%, #888 0%, #888 100%, #AAA 0%)" {{{#fff '''2023년 6월 230,731명'''}}}}}} || || {{{-2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30만 명 1990: [[통계청]] 인구총조사, 1995-현재: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 인구가 2020년 이후로 감소하고 있다. 하지만 이는 재개발로 인한 유출로 추후 수정구에 [[산성역 자이푸르지오]]의 입주가 2023년 10월 시작되었고, [[메가시티(아파트)|메가시티]][* 5,668세대, 2027년 이후 입주 예정 ]를 비롯한 수진, 태평, 신흥, 산성 지역 재개발과 신촌, [[남위례역]]세권 개발, 복정지구, 위례신도시 개발 등이 모두 완료되면 인구는 상당수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 [[수정구/정치|정치]]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수정구/정치)] == 하위 행정구역 ==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수정행정.jpg|width=100%]]}}} || {{{#!wiki style="margin:-5px -10px" [[파일:수정법정.jpg|width=100%]]}}} || || 수정구의 '''행정동''' || 수정구의 '''법정동''' || 구청소재지는 신흥2동이다. 행정동을 기준으로 신촌동, 고등동, 시흥동은 구 광주군 대왕면, 나머지 지역은 구 광주군 중부면 지역이다. === [[신흥동(성남)|신흥1동, 신흥2동, 신흥3동]] === 법정동 신흥동이 3개 행정동으로 나뉘어져 있다. 1973년 7월 경기도 성남출장소가 성남시로 승격되면서 시정자문회의에서 탄리의 일부를 갈라서 새롭게 부흥하자는 뜻으로 현재의 신흥 1·2·3동 지역을 신흥동(新興洞)이라 칭하게 되었다. * '''신흥1동''': 인구는 '''13,017명'''.[*P 2023년 6월 주민등록인구통계] 교보빌딩이 있다. * '''신흥2동''': 인구는 '''19,874명'''.[*P] 수정구 구도심 중 아파트단지가 대규모로 있는 지역이다. [[산성역 포레스티아]](4,089세대)가 있으며 [[산성역 자이푸르지오]](4,774세대)가 2023년 10월 완공되었으며 수정구청 뒤로도 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고 있다. 그 외 주요 시설로 성남교육도서관, 성남시박물관, 희망대공원, [[세이브존]] 성남점이 있다. 학교는 신흥초, 희망대초, [[성남여자중학교|성남여중]]이 있다. * '''신흥3동''': 인구는 '''11,067명'''.[*P] 1동과 2동 사이에 낀 동네. 성남우체국, 수정구보건소, [[롯데시네마]] 성남중앙, 신흥시장이 있다. === [[태평동(성남)| 태평1동, 태평2동, 태평3동, 태평4동]] === 법정동 태평동이 4개 행정동으로 나뉘어져 있다. 동 명칭은 동 창설 당시 성남시 자문회의에서 근심 걱정 없는 태평한 지역을 만들자는 뜻에서 태평동(太平洞)이라 하였다. 서쪽부터 1-3-2-4동이다. * '''태평1동''': 인구는 '''14,781명'''.[*P] 가장 서쪽에 있는 지역으로 [[태평역]]~[[가천대역]] 주변에 해당한다. [[성남수정경찰서]]가 있고 학교는 [[태평중]]이 있다. * '''태평2동''': 인구는 '''14,754명'''.[*P] 가천대역 두산위브(503세대)를 제외하면 주택 및 빌라가 빼곡히 있는 지역이다. 옛 [[성남시청]] 부지에 [[성남시의료원]]이 2020년 개원하였다. * '''태평3동''': 인구는 '''12,785명'''.[*P] 평범한 주거지역. 성남중앙공설시장이 있으며 학교는 성남서초, 수진초, 태평초가 있다. * '''태평4동''': 인구는 '''12,389명'''.[*P] 2,3동과 비슷한 주거지역이며 [[이마트 성남점]]이 있다. 공원로가 동 동쪽 경계를 짓고 있어 위례신도시나 분당 쪽으로 나가기 편리하다. 학교는 금빛초, 성남초가 있다. === [[수진동|수진1동, 수진2동]] === 법정동 수진동이 2개 행정동으로 나뉘어져 있다. 동명의 유래는 세종대왕의 아들인 [[평원대군]]이 사망하자 영장 산 남쪽에 장사지내고 그 묘소를 관리하는 [[수진궁]]을 지은 데서 비롯된 것이며 궁말·궁촌·수진궁·수진동·수진리 등으로 불리다가 시 승격 당시 수진동으로 된 것이다. 분당선과 달리 8호선 [[모란역]]이 이 곳에 있으며 그 북쪽이 수진2동에 해당된다. * '''수진1동''': 인구는 '''11,842명'''.[*P] 정말 별거 없는 주거지역. * '''수진2동''': 인구는 '''15,311명'''.[*P] [[모란역]] 9~11번 출구 지역이 수진2동에 해당한다. 다만 이 쪽은 [[모란역]] - [[모란시장]] 상권과는 별 상관 없는 지역이다. 서쪽으로는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와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가 지나간다. 아파트단지는 삼부아파트(834세대) 정도 있으며, [[태평역]] 앞에는 종합병원인 성남정병원이 있고, 학교는 성수초, 수정초, 수진중, [[풍생중]], [[풍생고]]가 있다. === [[단대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14,916명'''.[*P] 탄리에서 남한산성으로 가려면 고개를 하나 넘어야 했는데 그 고개의 흙이 붉은 데서 단대동이라 하였다 하나 조선조 때 이미 사용되었던 지명이다. [[성남시]] 승격 이전엔 광주군 중부면 단대리에 속했다. [[단국대학교]]와는 아무 상관 없다. 동이 굉장히 길쭉해서 남한산성으로 올라가는 길 입구부터 [[단대오거리역]]까지 늘어져 있다. 성남단대 푸르지오(1,015세대) [[수원지방법원 성남지원]], [[수원지방검찰청 성남지청]], 성남시여성복지회관, [[성남세무서]], 단대공원이 있다. 학교는 단대초, 성남문원중, 성남서중, 상원여중, [[성보경영고]]와 특수학교인 성남혜은학교가 있다. === [[산성동(성남)|산성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4,878명'''.[*P] 1989년 동명 개편시 [[남한산성]] 진입로인 산성로(남한산성로)와 접해 있어 붙여졌다. [[성남시]] 승격 이전엔 광주군 중부면 단대리에 속했다. 단대공원과 단대체육공원, 산성소공원 등 녹지공간이 많다. [[한국폴리텍대학]] 성남캠퍼스, 성남시수정도서관이 있으며 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학교는 성남북초, [[창성중]]이 있다. === [[양지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인구는 '''9,533명'''.[*P] 동 명칭의 유래는 양지동 지역이 단대천을 경계로 은행동과 경계를 이루면서 남향의 양지쪽에 위치하여 양짓말이라 부르던 곳이라 하여 양지동으로 칭하게 되었다. 원래는 [[성남시]] 승격 이전엔 광주군 중부면 단대리에 속했으며, 건너편 중원구 은행동의 일부인 은행3동이었으나 분구되면서 개칭되었다. 성남 구시가지 북쪽 끝에 해당하며 양지공원, [[을지대학교]] 성남캠퍼스가 있다. 주거지역은 아파트가 거의 없고 대부분 빌라로 구성되어 있다. 학교는 양지초 하나 있다. === [[복정동]] === 법정동과 행정동이 일치한다.[* 2018년 4월 30일 경계조정으로 일치하게 되었다.] 인구는 '''10,580명'''.[*P] [[성남시]] 승격 이전엔 광주군 중부면 복정리에 속했다. 서울에서 성남으로 넘어올 때 만나는 첫 번째 동네로 [[가천대학교]] 글로벌캠퍼스, [[동서울대학교]]가 있다. 실질적으로는 송파구 생활권이며, 서울에 바로 접해 있고 대학이 있다 보니 몽땅 원룸, 빌라, 오피스텔로 구성되어 있으며 [[남위례역]] 주변으로 공공주택지구가 조성되고 있다. 학교는 복정초, [[복정고등학교|복정고]]가 있고 국제학교인 [[서울국제학교]], [[북한이탈주민]]을 위한 하늘꿈중/고가 있다. === [[창곡동(성남)|위례동]] === 관할 법정동은 창곡동이다. 인구는 '''45,285명'''[*P]으로 성남시 행정동 중 인구가 가장 많다. [[성남시]] 승격 이전엔 광주군 중부면 창곡리에 속했다. [[위례신도시]]의 일부이며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참고로 위례신도시는 성남시, 하남시,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걸쳐 있으며 모두 행정동명이 위례동이다.] 위례중앙광장과 서일로거리 주변에 상권이 형성되어 있다. 학교는 위례고운초, 위례중앙초, 위례푸른초, 위례한빛초, 위례중앙중, 위례한빛중, [[위례한빛고]]가 있다. === [[신촌동(성남)|신촌동]] === 관할 법정동은 신촌동·심곡동·오야동이다. 인구는 '''4,543명'''.[*P] 신촌동, 고등동, 시흥동은 [[탄천]] 서쪽에 있으며 동쪽에 있는 태평동 등 수정구 구시가지 지역과는 실질월경지 관계이다. 그리고 이 3개 동 중에서 가장 개발이 덜 된 동네. 신촌동은 [[서울공항]] 하나로 설명 끝. 여기는 판교 생활권으로도 보기 힘들며, 오히려 [[강남구]] 생활권이다. [[효성고]]가 유일한 학교이다. === [[고등동(성남)|고등동]] === 관할 법정동은 고등동·둔전동·상적동이다. 인구는 '''11,769명'''.[*P] 서울공항의 연장선상에 속한 한적한 시골이었으나 고등동을 중심으로 고등마을아파트(1,520세대), 판교밸리 호반써밋(768세대), [[판교밸리포레자이]](603세대), 판교밸리 제일풍경채(543세대)가 조성되었다. 판교 생활권으로 고등동에 조성되고 있는 아파트단지에도 다 판교라는 명칭이 붙어 있다. 청계산로를 통해 [[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울특별시]] [[서초구]]와 접경동 이다.]로 넘어갈 수 있다. 상당히 잘 조성된 식물원인 [[신구대학교식물원]]이 있다. 학교는 왕남초가 있다. 중학교 부지는 땅 주인과 성남시와 대립관계에 있다. 2019년 이후 대단지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면서 고등동의 인구가 급증하고있다. === [[시흥동(성남)|시흥동]] === 관할 법정동은 금토동·사송동·시흥동이다. 인구는 '''3,407명'''.[*P] [[세종연구소]], [[한국국제협력단]],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 등의 공공기관이 있으며, 판교신도시에 바로 접해있는 만큼 판교신도시의 배후지역으로 개발은 주로 금토동의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에 면한 지역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다. [[판교창조경제밸리]] 사업이 진행되었는데 출입할 수 있는 길이 하나밖에 없어 출퇴근 시 인근에 극심한 교통체증이 발생한다. == 주요 도로 == === 고속도로 === * [[경부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용인서울고속도로]] === 고속화도로 === * [[분당내곡로]] ([[분당내곡간도시고속화도로]]) * [[분당수서로]] ([[분당수서간도시고속화도로]]) === 도로 === * [[성남대로]] * [[산성대로]] * [[공원로(성남)|공원로]] * [[대왕판교로]] * [[수정로(성남)|수정로]] * [[탄천로]] * [[헌릉로]] * [[희망로(성남)|희망로]] [[분류:수정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