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장안구의 로)] [include(틀:영통구의 로)] || {{{#fff {{{+1 '''수원북부순환로'''}}}[br]水原北部循環路[br]Suwonbukbusunhwan-ro {{{-2 (Suwon Northern Circulation Road)}}}}}} || || [[파일:2020022003537_1.jpg|width=100%]] || || '''{{{#fff 기점}}}''' ||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파장IC]] || || '''{{{#fff 종점}}}''' || ||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이의동 [[광교상현IC]] || || '''{{{#fff 연장}}}''' || || 7.7km || || '''{{{#fff 개통일}}}''' || || 2020년 9월 21일 || || '''{{{#fff 관리}}}''' || || [[http://www.suwonbeltway.co.kr/|수원순환도로 주식회사]] || || '''{{{#fff 왕복 차로 수}}}''' || || 4차로 || || [[파일:수원북부순환로.jpg|width=100%]] || [목차] == 개요 ==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파장동 [[파장IC]]에서 출발하여 [[영통구]] 이의동 [[광교상현IC]]에서 끝나는 도로. == 상세 == 총 연장 7.7㎞, 폭 20m, 왕복 4차로의 [[고속화도로]]이다. 이 도로가 편도 2차로라는 점에서, 이 도로를 지을 바에 바로 옆을 지나는 [[영동고속도로]]를 확장시키자는 의견도 있으나, 영동고속도로는 [[2006년]]과 [[2014년]]에 '''이미 두 차례 확장'''을 한 바가 있고([[http://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06/12/28/2006122801569.html|참고1]], [[http://www.yonhapnews.co.kr/local/2014/06/30/0811000000AKR20140630063200061.HTML|참고2]]), 그것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아 이 도로를 짓는 것으로 보인다. 영동고속도로 광교터널은 여전히 상습정체 구간이다. 이 도로의 궁극적인 목적은 바이패스 개설을 통한 수원시내의 교통정체 해소이며, 부가적으로 [[영동고속도로]]의 교통량 분담을 할 예정이다. 광교신도시나 흥덕지구 내의 표지판에 거리상 한참 떨어져있는 [[북수원IC]]가 표시되어 있는데, 그 이유가 바로 이 도로의 존재 때문.[* 이 때문에 북부순환로 개통 이전까지는 표지판의 북수원IC가 적혀있는 부분에 테이프로 X자 표시가 되어있는 모습도 흔하게 볼 수 있었다. 도로가 개통된 현재는 표식이 다 사라졌다.] 또한 [[광교신도시]]와 동수원 지역에서 [[봉담과천로]]를 이용하기 더 편리해지고, 반대로 북수원 지역에서는 [[용인서울고속도로]]로의 접근성이 향상될 것이다. [[수원시]] 주관의 [[민간투자사업|민자사업]]이기는 하지만, 최소운영수입보장제도(MRG)가 폐지된 이후 추진된 사업이기 때문에 적자가 나더라도 시 재정으로 손실을 보전해주지 않는다. [[http://go.seoul.co.kr/news/newsView.php?id=20160104500453|관련기사]] 이 도로 자체는 완전한 [[순환선]]이 아님에도 수원북부'''순환'''로라는 명칭이 붙었는데, 이는 이 도로가 [[서부로(경기도)|서부로]], [[덕영대로]], [[동탄원천로]], [[광교호수로]]로 연결되면서 수원시 시가지를 순환하는 도로망을 형성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서울특별시|서울]]의 [[남부순환로]]나 [[강남순환로]]와 비슷한 네이밍. == 역사 == BTO방식 [[민간투자사업]]으로 2016년 6월에 실시계획 승인이 되었으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자금조달과 실시협약 체결, 실시설계 등을 모두 완료하여 [[2016년]] 내 착공을 할 계획이였지만, 토지보상 문제로 인해 [[2017년]] 상반기에 착공하였다.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611030100006340000377|기사]] 토지보상 외에도 광교웰빙타운, 북수원 지역 시민들과의 마찰이 많았는데, [[2016년]] [[11월]]에 합의를 보았다고 한다. ([[http://www.incheonilbo.com/?mod=news&act=articleView&idxno=736207|기사]]) 운영회사는 [[대림산업]]의 자회사인 [[수원순환도로주식회사|수원순환도로㈜]]이며, [[2018년]] 말 까지 완공을 한다고 한다. [[http://news1.kr/articles/?2055990|기사]] 본래 [[동부건설]]에서 맡은 사업인데, 동부건설이 법정관리를 신청하면서 --착공일도 미뤄질 뻔하고-- 2대 주주인 대림산업이 시행 주관사로 변경되었다. 현재 각 기업의 지분률은 동부 31.6%, 대림 32.6%이다. 참고로 건설사는 대림과 동부 이외에도 동광건설, 한동건설, 국제산업 등이 참여하며 주요 주주로는 [[한국산업은행]]과 [[삼성생명]], [[NH농협생명]], 발해인프라투융자회사([[KB국민은행]] 주도)등 10곳이 있다고 한다. ([[http://www.gisulin.kr/news/articleView.html?idxno=20532|관련 기사]]) 또 건설 관리는 도화엔지니어링에서 맡는다고 한다. ([[http://www.cnews.co.kr/uhtml/read.jsp?idxno=201609051009126490018|기사]])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4/26/0200000000AKR20170426080100061.HTML|2017년 4월에 광교신도시 구간부터 우선 공사에 들어가면서]] 공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계획대로라면 [[2019년]]까지 완공하여 [[2020년]] 9월에 [[https://www.yna.co.kr/view/AKR20200121108500061|개통된다.]] [[파일:수원 북부순환로 개통식.jpg]] 2020년 9월 16일 개통식을 열었으며 9월 21일에 정식 개통했다. == 구간 == 교량 6개소, 나들목 3개소, 요금소 1개소, 터널 2개소(각각 1590m, 890m)로 구성되어 있으며, 모든 교차로는 [[입체교차로]]이다. 최고제한속도 80km/h, 최저제한속도 50km/h이다. ||<-5> '''[[광교호수로|{{{#white 광교호수로}}}]]와 직결''' || ||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용인서울고속도로|용인서울선]]'''[br][[서수지IC]]{{{#!wiki style="width:100px;" }}}|| ↙↗[br]{{{#f0f0f0,#0f0f0f ↘↖}}} {{{#!wiki style="width:20px;" }}} || '''[[광교상현IC|{{{#fff 광교상현IC}}}]]''' {{{#!wiki style="width:80px;" }}} || {{{#f0f0f0,#0f0f0f ↘↖[br]↙↗}}} {{{#!wiki style="width:20px;" }}} ||[include(틀:노선번호/고속도로, n=171)] '''[[용인서울고속도로|용인서울선]]'''[br][[흥덕IC]]{{{#!wiki style="width:100px;" }}}|| ||<-5> '''이의터널''' || || '''[[광교로(수원)|광교로]]'''[br]광교웰빙타운|| {{{#f0f0f0,#0f0f0f ↙↗}}}[br]↘{{{#f0f0f0,#0f0f0f ↖}}} || '''[[광교IC|{{{#fff 광교IC}}}]]''' || {{{#f0f0f0,#0f0f0f ↘↖}}}[br]{{{#f0f0f0,#0f0f0f ↙}}}↗ ||'''[[광교로(수원)|광교로]]'''[br]광교사거리|| ||<-5> '''신광교터널''' || ||<-2>|| '''[[조원IC|{{{#fff 조원IC}}}]]''' || {{{#ffa500 ↘}}}↖[br]{{{#f0f0f0,#0f0f0f ↙↗}}} ||'''송원로''', '''수일로''' [br]장안구청|| ||<-5> '''[[장안TG(수원북부순환로)|{{{#fff 장안TG}}}]]''' ||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경수대로]]'''[br][[북수원IC]]|| ↙{{{#ffa500 ↗}}}[br]↘↖ || '''[[파장IC|{{{#fff 파장IC}}}]]''' || {{{#f0f0f0,#0f0f0f ↘}}}↖[br]{{{#f0f0f0,#0f0f0f ↙}}}↗ ||[include(틀:노선번호/국도, n=1)] '''[[경수대로]]'''[br]파장동|| ||<-5> '''[[서부로(경기도)|{{{#ffffff 서부로}}}]]와 직결''' || [[경부고속도로]]에서 [[영동고속도로]] [[동수원IC]]로 진출하는 경우, 퇴근길의 온갖 끼어들기 차량에 의한 짜증으로 이 도로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으나, [[파장IC]] 방면 진행시 [[조원IC]]까지 진출로가 없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용인서울고속도로]]를 [[서울특별시|서울]] 방면으로 이용할 때, [[서수지IC]]까지 진출로가 없는 것과 유사하다. == 효과 == [[https://news.suwon.go.kr/?p=71&page=3&mode=blog&viewMode=view&reqIdx=202102160931531463|수원북부순환로 개통 4개월, 동~서 교통이 시원해졌다]], 2021-02-16, e수원뉴스 수원북부순환로 개통 이후 수원시내 기존 도로([[경수대로|지지대사거리-창룡문사거리]][[창룡대로|-광교사거리]])의 평균 통행시간이 개통 이전 대비 최대 27%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원시에서 실시한 비교주행 결과, 출근시간(오전 8시)에 [[상현역]]에서 [[서부로(경기도)|서부로]] 이목사거리까지의 통행시간은 기존도로([[창룡대로]]-[[경수대로]]) 경유 시 38분, 수원북부순환로 경유 시 8분이 소요되어 기존 도로 대비 30분의 시간 단축 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수원북부순환로 개통 4개월 후인 2021년 2월 7일까지의 일평균 통행량은 2만7천여 대로 추정교통량인 4만 6천여 대의 60%에 달하며, 특히 가장 통행량이 많았던 2020년 11월 13일의 통행량은 3만8천여 대로 추정교통량의 80%를 넘어가는 등 빠르게 자리잡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교통량 == 퇴근시간대 [[동수원IC]]를 대체하여 [[광교IC]]로 진입하는 차량이 많아서, [[파장IC]] 방면으로 [[광교IC]]부터 삼막곡까지 길게 정체가 형성된다. [[광교IC]] 진출입로 구조상 광교신도시에서 올라오는 차량들이 진입하려면 광교로삼거리에서 U턴해야 해서, [[광교로(수원)|광교로]]의 정체도 함께 발생한다. == 통행료 == ||<-5> '''수원북부순환로 통행료''' || || '''요금소''' || '''1·2종''' || '''3종''' || '''4종''' || '''5종''' || || '''[[장안TG(수원북부순환로)|{{{#ffffff 장안TG}}}]]''' || 1,500 || 1,600 || 1,700 || 1,900 || || '''[[조원IC|{{{#ffffff 조원IC}}}]]''' || 1,000 || 1,000 || 1,100 || 1,100 || * [[장안TG]]에서 개방식으로 통행료를 수납하나, 예외적으로 [[조원IC]]에는 별도의 요금소가 존재한다. 이는 장안TG가 조원IC보다 더 [[파장IC]]쪽에 가깝게 위치해 있고 조원IC에서는 광교방면으로의 진출입만 가능하기 때문에, 조원IC에서 진출입하는 차량들은 장안TG를 거치지 않게 되므로 별도로 요금을 수납할 요금소를 지은 것이다. [[분류:고속화도로]][[분류:수원시의 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