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width=25]] {{{#5564af '''수원가톨릭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경기도의 대학)] [include(틀:화성시의 대학)] [include(틀:대한민국의 가톨릭 산하 대학교)] [include(틀:한국가톨릭계대학총장협의회)] [include(틀:대한민국의 종교대학)] [include(틀:광암학원)] }}} || ||<-2> {{{+3 '''수원가톨릭대학교'''}}}[br]'''水原가톨릭大學校'''[br]'''Suwon Catholic University''' || ||<-2> [[파일:수원가톨릭대학교 UI.svg|width=100%]] || || {{{#f5f5f2 '''법인'''}}} || 학교법인 광암학원 || || {{{#f5f5f2 '''개교'''}}} || 1983년 수원가톨릭대학 || || {{{#f5f5f2 '''총장'''}}} || 박찬호(필립보) 신부[*수원교구 [[천주교 수원교구|수원교구]] 소속] || || {{{#f5f5f2 '''국가'''}}} || 대한민국 || || {{{#f5f5f2 '''소재'''}}} ||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1길 67 || || {{{#f5f5f2 '''웹 사이트'''}}} || [[http://www.casuwon.ac.kr/|공식 홈페이지]] || [목차] [clearfix] == 개요 == ||[[파일:external/s23.postimg.org/read_Img_asp_gubun_100_seq_43_id_156_filenm.jpg|width=100%]]|| [youtube(jAQaW6BOzfU)]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보다시피 [[수원대학교|이름과는 달리, 수원시에 있는 학교가 아니다]]. 물론 봉담읍은 원래 수원군이었으므로 아주 틀리진 않다. 화성시는 수원시 생활권이기도 하고.]에 있는 [[신학과/가톨릭|가톨릭 신학대학]]. 약칭으로 '''수가대''' 등으로 불린다. '''[[천주교 수원교구|수원교구]], [[천주교 춘천교구|춘천교구]], [[천주교 원주교구|원주교구]] [[신부(성직자)|신부]]를 양성하는 신학교'''이다.[* 과거에는 [[인천교구]] 출신의 신학생도 양성했으나 [[1996년]] [[인천가톨릭대학교]]가 설립되면서 [[인천교구]] 신학생들을 더 이상 받지 않고 있다.] 1982년 5월,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추계 정기총회를 통해 신자 수 증가에 따른 [[사제]] 수급과 성소자 증가세를 이유로 [[수원교구]]에 새 신학교를 설립. 교구는 새 신학교 설립을 1984년 [[한국 천주교]] 200주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방한 기념사업으로 설정하고, 그 장소로서 왕림(갓등이)을 선택. 1983년 3월 [[교황청]] 설립 인준을 받은 수원가톨릭대학교는 그해 4월 대학 본관을 짓기 위한 기공식 준수. 교의 명칭은 수원가톨릭대학으로 하고, 교구 내 학교법인 광암학원을 설립. 12월 교육부로부터 학교 설립 인가를 받았고 초대학장으로는 김춘호 신부가 취임. 또한 장래 [[남북통일]]을 대비하여 [[함흥교구]] [[사제]]도 양성할 계획이다. 함흥교구 사제를 지망한 신학생들은 수원가톨릭대학교에서 교육을 받고, [[성품성사|사제서품]]을 받은 후에는 [[춘천교구]]에서 활동하다가, [[남북통일]]이 되면 [[함경도]] 지역에서 사목활동을 하게 된다고 한다. 자세한 것은 [[http://web.pbc.co.kr/CMS/newspaper/view_body.php?cid=639459&path=201606|이 기사를 참조.]] 함흥교구 사제 지망생은 2017년도부터 입학한다. == [[천주교 수원교구]] == ||
'''직책''' || '''이름''' || ||<|17> 교수 || 황치헌(요셉) 신부 || || 최규화(요한세례자) 신부 || || 안상일(요셉) 신부 || || 원우재(요셉) 신부 || || 기정만(에제키엘) 신부 || || 한민택(바오로) 신부 || || 정진만(안젤로) 신부 || || 표창연(프란치스코) 신부 || || 김일권(요한사도) 신부 || || 나호준(요한보스코) 신부 || || 정희성(베드로) 신부 || || 김의태(베네딕토) 신부 || || 진효준(요셉) 신부 || || 박유현(빈첸시오) 신부 || || 유재훈(솔로몬) 신부 || || 전홍(요한세례자) 신부 || || 나형성(요한세례자) 신부 || == [[천주교 춘천교구]] == ||
'''직책''' || '''이름''' || || 교수 || 정홍(요한사도) 신부 || == [[천주교 원주교구]] == ||
'''직책''' || '''이름''' || ||<|2> 교수 || 여진천(폰시아노) 신부 || || 서동신(대건안드레아) 신부 || == 위치 == 본래 이 자리에는 [[가톨릭]]계 [[사립학교]]인 광성국민학교가 있었으나, [[한국전쟁]] 통에 없어졌다. 학교는 봉담읍 시가지와는 동떨어진 곳이지만, [[한국]]에서 3번째 [[천주교]] 본당인 [[수원교구]] 왕림성당[* [[안중근]] 토마스 의사와 친분이 있었던 [[프랑스인]] [[니콜라 빌렘]] 신부가 이 성당의 주임신부로 있었다. 당시 이름은 갓등이 성당.] 인근에 위치하고 있다. [[천주교]] 성지로 '''갓등이'''라는 별칭이 있다. 그래서인지 수원가톨릭대학교의 노래동아리[* 정확히는 부서의 개념이다.] 이름은 '''갓등중창단.'''[* [[CCM(음악)|CCM]] 항목에도 서술돼 있지만 이 중창단이 가톨릭 생활성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실로 막중하다. 그야말로 [[전설은 아니고 레전드]]급. 가톨릭 생활성가집에 실린 노래 중에 네임드급 노래를 작곡한 사람들 중에 갓등중창단 출신이 많다. 대표적으로 신학교 생활을 하다가 성직자 대신 찬양사도의 길로 이전한 신상옥 안드레아 씨나 생활성가 그룹 '이노주사'를 이끄는 [[수원교구]] [[현정수 사도 요한]] 신부,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성가를 지은 것으로 잘 알려진 [[수원교구]] [[김태진 베난시오]] 신부 등이 갓등중창단 출신 멤버들이다.] 이곳에는 [[천주교]] [[수도원]]들도 매우 많다. [[http://www.kms75.or.kr|한국외방선교회]], [[http://www.subri.kr|천주섭리수녀회]], 위로의 성모 수녀회 [[피정]]의 집 등이 있다. == 교통 == [[43번 국도]]가 학교보다 몇백 m 동쪽을 지나기 때문에, 43번 국도를 따라 [[수원시]]와 향남읍 등지를 잇는 [[버스]]([[수원 버스 35|35번]] 등)를 타고 통학할 수 있으며, [[사당역]]으로 가는 [[화성 버스 8155|8155번]]도 정차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학생들은 [[기숙사]] 생활을 한다는 사실. [[수도회]] 소속 신학생이나 [[수도자]], 평신도 학생들은 통학하지만, '''[[교구]][[사제]] 지망 신학생들은 전원 [[기숙사]] 생활'''을 한다. [[가톨릭]] 신학교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는 [[가톨릭대학교/학부/신학대학]]을 참조. 어차피 [[가톨릭]] 신학교는 다 비슷비슷하므로. == 기타 == * [[http://khei-khei.tistory.com/1650|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11.8%로써 많이 낮은 편이다.(전국 평균 56.9%) 그러나 신학생만 존재하며 모든 교육비용을 학교 측이 전부 부담하고 있기에 아무 상관없는 지표이다. [[분류:광암학원]][[분류:화성시의 대학교]][[분류:가톨릭계 대학]][[분류:신학대학]][[분류:1983년 개교]][[분류:천주교 원주교구]][[분류:천주교 춘천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