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황해북도의 시군)] {{{+1 遂安郡 / Suan County }}} ||<-2> {{{+2 수안군}}} [br] 遂安郡 / Suan County || || 국가 || [[북한]] || || 광복 당시 면적 || 1,215㎢ || || 광역시도 || [[황해북도]] || || 광복 당시 행정구역 || 9면 || || 시간대 || UTC+9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황해북도 遂安児童交通公園)] || [목차] [clearfix] == 개요 == [[황해북도]]의 군. 광복 당시 9면으로 이루어졌다. [[신계군]], [[곡산군]]과 함께 '산중삼읍' 중 한 곳이다. == 역사 == [[삼국시대]] 때 [[고구려]]가 이곳을 차지한 후 장새현(獐塞縣)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후 이곳을 차지했는데 전국 지명을 거의 다 바꾼 신라 [[경덕왕]]이 의외로 고구려 시절 이름을 그대로 놔둔 얼마 안 되는 케이스 중 하나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 중 [[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 지금의 이름인 수안군으로 개칭했다. 남북 분단으로 북한에 넘어가고 1950년 북한군이 [[수안군 학살 사건]]을 자행했다. 1952년 북한 정권의 행정 개편으로 [[언진산맥]] 북부 지역이 [[연산군(황해북도)|연산군]]으로 분리되었으며, 주변 지역을 일부 편입하였다. == 교통 == [[평양원산간 고속도로]]가 통과한다. == [[이북5도위원회|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 [include(틀:황해도의 하위행정구역)] [[파일:수안군기.png|width=50%]] || [[파일:수안군.jpg]] || 광복 당시 9면 * '''수안면'''(遂安面) * 관할 리 : __창후(倉後)__, 갈치(葛峙), 괴엽(槐葉), 석교(石橋), 소촌(蘇村), 수류(水柳), 수촌(秀村), 옥현(玉峴), 외암(外巖), 용담(龍潭), 용정(龍亭), 자의(慈儀), 하오(下烏), 하유(下有) * 창후리에 면사무소와 군청이 있었다. 원래는 읍내면(邑內面)이었으나 1939년 읍내면과 대평면(大坪面) 상유리·외암리·하유리, 오동면(梧桐面) 갈치리를 조합하여 수안면이 설치되었다. * 명승지로 용정리 양파령 부근에 [[병자호란]] 때 군민들이 피난하였다는 긴 [[석회암]] [[동굴]]인 광제굴(廣濟窟)이 있다. 굴 안은 서늘하여 여름에도 얼음이 녹지 않는다고 한다. * '''공포면'''(公浦面) * 관할 리 : __마산(馬山)__, 기내(岐內), 대달(大達), 반천(飯泉), 방화(芳花), 비정(飛井), 송산(松山), 송전(松田), 영천(永川), 육잠(六岑), 하회(下回) * 북쪽의 [[남강]]을 건너면 [[평안남도]] [[강동군]]과 [[성천군]], 서쪽의 다목천을 건너면 평안남도 [[중화군]]이다. 남강 일부 구간은 삼십육동천(三十六洞川)이라 하여 8㎞ 정도에 걸쳐 기암절벽이 펼쳐져 있는 경승지이다. * '''대성면'''(大城面) * 관할 리 : __도하(陶河)__, 건상(件上), 광수(廣水), 내덕(內德), 대촌(大村), 덕문(德文), 미산(眉山), 월연(月淵), 위라(位羅), 재동(齋洞), 좌도(佐桃), 철령(鐵嶺) * 1939년 성동면(城東面)과 대평면(大坪面) 대촌리·미산리·철령리를 조합하여 설치되었다. * '''대오면'''(大梧面) * 관할 리 : __남정(南亭)__, 경도(敬道), 낙현(樂峴), 동산(銅山), 사창(社倉), 상조양(上朝陽), 수치(秀峙), 시리원(柴里院), 옥원(玉原), 원신(遠新), 하조양(下朝陽) * 1939년 대천면(大千面)과 오동면(梧桐面) 상조양리·옥원리·하조양리를 조합하여 설치되었다. 이 때 대천면 상대리·양곡리·하대리가 연암면으로 넘어갔다. 참고로 오동면(梧桐面)은 대오면·수안면·천곡면으로 분할 편입되어 사라졌다. * 수구면·천곡면과의 경계에 군내 최고봉이자 언진산맥의 주봉인 [[언진산]](1,120m)이 있다. * 남정리에 [[구한말]]부터 개발된 수안[[금광]]이 있으며, 이 금광으로 발달한 시가지 때문에 북한 행정구역상 수안군 소재지로 되었다. [[53번 국도]]에서 남정리로 가는 입구에 있는 사창리[* 북한 수안군의 군소재지]에는 정기시장이 열렸다. * '''도소면'''(道所面) * 관할 리 : __옥검(玉儉)__, 금화(金花), 대두(大斗), 생검(生儉), 송촌(松村), 용두(龍頭), 용천(龍川), 흥덕(興德) * 도소천(道所川)이 서쪽으로 흘러 거주 및 농경 지대가 된다. * '''수구면'''(水口面) * 관할 리 : __석달(石達)__, 군치(軍峙), 대강(大江), 덕암(德巖), 보광(寶光), 사치(沙峙), 석현(石峴), 신현(新峴), 유현(楡峴), 임강(臨江) * 언진산 북쪽 기슭 보광리에 있는 홀동광산(笏洞鑛山)[* 위 지도에서는 "흥동광산"으로 오기됨]에서는 금·은·동이 채굴된다. * '''연암면'''(延巖面) * 관할 리 : __율(栗)__, 보전(寶田), 봉곡(鳳谷), 상대(上大), 상암(祥巖), 소채(所彩), 양곡(暘谷), 연금(延金), 하대(下大) * 1939년 대천면(大千面) 상대리·양곡리·하대리를 편입하였다. 북한 행정구역상 [[연산군(황해북도)|연산군]] 소재지. * 서쪽으로 평남 중화군과 접한다. * '''율계면'''(栗界面) * 관할 리 : __지석(芝石)__, 금촌(金村), 당치(堂峙), 수동(守洞), 시래(時來), 신평(薪坪), 심적(深寂), 웅동(雄洞), 회석(檜石) * 금촌리에 [[뇌(성씨)|교동 뇌씨]](喬洞 雷氏)의 집성촌이 있었다고 한다. 북쪽은 평남 중화군. * '''천곡면'''(泉谷面) * 관할 리 : __평원(坪院)__, 내금(內金), 달촌(達村), 대정(大靜), 도전(島田), 상구(上九), 성교(星橋), 옥련(玉蓮), 용현(龍峴), 유촌(柳村), 주암(舟巖), 총막(葱幕) * 1939년 오동면(梧桐面) 상구리·주암리를 편입하였다. 참고로 오동면(梧桐面)은 대오면·수안면·천곡면으로 분할 편입되어 사라졌다. [[예성강]]이 내금리에서 발원하며, 면 북부 주암리에서 발원한 언진천(彦眞川)이 달촌리에서 예성강에 합류한다. * 내금리·주암리 일대에서는 [[사금]](沙金)이 채굴된다. [[분류:황해북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