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일:수성대학교 UI.svg|width=30]] {{{#EE3A43,#cd7f7f '''수성대학교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의 전문대학)] [include(틀:대구광역시의 전문대학)] }}} || ---- ||<-2>
'''{{{#white {{{+1 수성대학교}}}[br]壽城大學校[br]Suseong University}}}''' || ||<-2> [[파일:수성대학교 UI.svg|height=210]] || || {{{#f5f5f2 '''표어'''}}} || {{{#black,#e5e5e5 '''시대가 요구하는 참 인재가 되자'''}}} || || {{{#f5f5f2 '''상징'''}}} || {{{#black,#e5e5e5 '''소나무, 목련'''}}} || || {{{#white '''개교'''}}} || [[1974년]] [[3월]] '''제남간호전문학교''' || || {{{#white '''유형'''}}} || 2/3/4년제 사립 [[전문대학]] || || {{{#white '''재단'''}}} || 학교법인 성요셉교육재단 || || {{{#white '''총장'''}}} || 김선순 || || {{{#white '''재학생'''}}} || 3,495명 (2018년) || || {{{#white '''교원'''}}} || 전임교원: 91명 (2018년) 기타교원: 281명 (2018년) || || {{{#white '''주소'''}}}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8길 15 || || [[대학기본역량진단|{{{#white '''대학기본역량진단평가'''}}}]] || '''일반재정지원 미선정 대학 ^^(2021)^^''' || || {{{#white '''웹사이트'''}}} || [[https://www.sc.ac.kr/|[[파일:수성대학교 심볼.svg|width=25]]]] || || {{{#white '''소셜 미디어'''}}} || [[https://www.youtube.com/@suseong_univ/|[[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20]]]] [[https://www.facebook.com/human.SC/|[[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20]]]] [[https://www.instagram.com/suseong_univ/|[[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0]]]] [[https://blog.naver.com/human_sc|[[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20]]]] || ||<-2> [include(틀:지도, 장소=수성대학교, 너비=100%, 높이=100%)] || [목차] [clearfix] == 소개 == [[대구광역시]] [[수성구]] [[달구벌대로]]528길 15 (만촌3동)에 자리한 사립 [[전문대학]]이다. 수성구에 있는 유일한 전문대학이며, 대구에서 유일하게 구의 이름을 딴 대학이기도 하다. 근처에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담티역]]('''수성대'''·대륜)과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 [[영남공업고등학교]], 오성중학교, [[오성고등학교]], [[대륜중학교]], [[대륜고등학교]], [[소선여자중학교]], 대청초등학교가 있다. 구 재단인 [[신일학원]]([[신진수]]) 당시 수백억원대의 재단비리로 인해 현재의 성요셉교육재단(설립자 김성현)으로 경영권이 바뀌었지만, 구 재단측의 끈질긴 경영권 관련 소송으로 인해 현재 관선이사가 파견되었다가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3&aid=0005627519|#]], 사학분쟁조정위원회의 심의 결과로 現 재단측의 경영권이 정당한 것으로 인정되어 現 재단 추천 5명, 학교구성원(교직원) 추천 2명, 舊 재단 추천 1명으로 정이사를 구성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469&aid=0000140964|#]] 그러나, 불만을 품은 舊 재단측이 1명의 이사를 추천하지 않고 있어서 일단 7명의 정이사체제로 재단이 정상화 되었다. 2021년 교육부의 기본역량진단에서 같은 대구경북 지역의 전문대학교인 [[경북과학대학교]], [[대구공업대학교]], [[호산대학교]], [[성운대학교]] 등과 함께 나란히 탈락하여 3년간 정부의 일반재정지원을 받지 못하게 되었다. == 연혁 == * [[1967년]] [[3월]] 학교법인 제남학원[*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에 위치한 제남병원 산하 재단이었다. 참고로 이 제남병원은 시골병원 답지않게 비범한 면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집안에서 종합병원을 차려도 된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4대에 걸쳐 직계 및 방계 가족 구성원 대부분이 의사인''' 경북 지역 의료 명문가로 알려져 있기 때문이다. [[대구광역시|대구]]에 소재한 4개 대학병원은 물론이고 심지어 [[미국]]에도 이 집안 의사들이 대거 포진하고 있을 정도며, [[명절]]이나 집안 대소사가 있을때 가족 및 친지들이 모인 자리는 마치 [[학술대회]]장을 방불케 한다고 한다.] 설립 * [[1968년]] 제남간호고등기술학교[* 현 수성대학교의 모태이자 간호대학 간호학과의 직접적인 뿌리] 개교 * [[1974년]] 3월 제남간호전문학교 개교 * [[1979년]] [[1월]] 신일여자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학교법인 신일학원으로 재단명 변경 * [[1980년]] [[12월]] 신일실업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89년]] 신일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94년]] [[4월]] 김성현 이사장, 김기택 학장 취임 (재단경영권 변경) * [[1995년]] [[5월]] 학교법인 성요셉교육재단으로 재단명 변경 * [[1997년]] 3월 대구산업전문대학으로 교명 변경 * [[1998년]] 5월 대구산업정보대학으로 교명 변경 * [[2012년]] 5월 수성대학교[* 간호학과가 4년제로 바뀌면서 교명을 같이 바꿨다]로 교명 변경 == 학과 == 별도의 표기가 없는 학과는 2년제 학과. === 간호대학 === ||<-2>
[anchor(간호학)]{{{+1 {{{#FFFFFF '''간호대학'''}}}}}}[br]^^{{{#FFFFFF College of Nursing}}}^^|| || 학부/과 || 전공 || || 간호학과(4년제) [include(틀:표시, other1=#e23d3f, other2=#FFFFFF, other3=간호)] [include(틀:표시, other1=#e23d3f, other2=#FFFFFF, other3=교직)] || - || === 자연과학계열 === ||<-2>
[anchor(자연과학)]{{{+1 {{{#FFFFFF '''자연과학계열'''}}}}}}[br]^^{{{#FFFFFF Division of Natural Sciences}}}^^|| || 학부/과 || 전공 || || 방사선과(3년제) || - || || 뷰티스타일리스트과 || - || || 안경광학과(3년제) || - || || 애완동물관리과 || - || || 재활과 || - || || 제과제빵커피과 || - || || 치기공과(3년제) || - || || 치위생과(3년제) || - || || 피부건강관리과 || - || || 호텔조리과 || - || === 인문사회계열 === ||<-2>
[anchor(인문학)]{{{+1 {{{#FFFFFF '''인문사회계열'''}}}}}}[br]^^{{{#FFFFFF Division of Humanities & Social Sciences}}}^^|| || 학부/과 || 전공 || || 경찰행정과 || - || || 보건복지경영과 || - || || [[사회복지과]] || - || || 유아교육과(3년제) || - || === 공학계열 === * 드론기계과 * --IT융합과--: 폐과 * VR콘텐츠과 * ABC과[* AI, Block chain & Big Data, Cloud의 약자를 따서 탄생한 학과이다.] === 예체능계열 === ||<-2>
[anchor(예체능)]{{{+1 {{{#FFFFFF '''예체능계열'''}}}}}}[br]^^{{{#FFFFFF Division of Art & Physical Education}}}^^|| || 학부/과 || 전공 || || 스포츠레저과 || - || || 미술심리보육과 || - || || 웹툰스토리과 || - || || 보석감정과 || - || || 메타버스크리에이터과 (3년제) || - || == 교통 == === 버스 === * 수성대학교 정류장 : [[대구 버스 234|234]], [[대구 버스 309|309]], [[대구 버스 349|349]], [[대구 버스 425|425]], [[대구 버스 449|449]], [[대구, 경산 버스 509|509]], [[대구 버스 609|609]], [[대구 버스 649|649]], [[대구 버스 724|724]], [[대구, 경산 버스 840|840]], [[대구 버스 849, 849-1|849(-1)]], [[대구 버스 909|909]], [[대구 버스 937|937]], [[대구, 경산 버스 939|939]], [[대구 버스 수성3, 수성3-1|수성3(-1)]], [[경산 버스 100|100(경산)]], [[경산 버스 100-1|100-1(경산)]], [[경산 버스 399|399(경산)]], [[경산 버스 990|990(경산)]], [[경산 버스 991|991(경산)]] * 만촌육교 정류장(도보 10분 소요) : [[대구 버스 524|524]],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수성1]], [[대구 버스 순환3, 순환3-1|순환3(-1)]], [[청도 버스 0|0(청도)]], [[청도 버스 0|0-1(청도)]] * 만촌역(1번출구) 정류장 : [[대구 버스 수성1, 수성1-1|수성1-1]] === 도시철도 === * [[파일:Daegu2.svg|width=17]]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담티역]] 2번 출구 == 여담 == *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와 [[영남공업고등학교]] 처럼 수성대도 등교길 경사가 심해서 초보 운전자들의 경우 운전 시 유의해야 한다. * 수성대학교 기숙사는 '안나관'이다. 그런데 수성대학교에서 안나관을 지을 때 지역 주민들이 엄청나게 반대를 했다. 반대한 이유는 이 지역 주민들이 [[하숙]] 및 [[자취]]로 생계를 꾸려야 하는데 기숙사가 생겨버리면 하숙이나 자취를 받기 힘들어지기 때문이다. 그래도 학교 당국은 억지로 밀어붙여서 결국 안나관을 완공했는데 이 과정에서 주민들이 결사반대를 하느라 안나관으로 가는 길목을 점거하고 공사를 방해했었다. 안나관이 완공된 이후 하숙집들은 사라졌다. * 만촌3동 특성상 고등학교가 많기 때문에 근처에 대학생들이 살 만한 원룸촌이 없었으나, 만촌3동이 전반적으로 재개발됨에 따라 기존 주택을 원룸으로 신축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 혜화여고에서 수성대학교로 통하는 오솔길이 있다. 등산로와 연결되어 일명 '산길'로 불리는 편. 수성대학교 학생보다는 [[대구대청초등학교|대청초]], [[소선여자중학교|소선여중]],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혜화여고]], [[오성중학교(대구)|오성중학교]], [[오성고등학교]] 학생들이 더 많이 이 길을 이용해서 대학교 내에 초등학생 및 여중고생들이 종종 출몰한다. 2020년 당시 오솔길에 카페트를 설치하여 이전보다 이동이 편해졌다. * 오성중고 입구에서 수성대학교로 가는 뒷길이 있다. 오성왕자문구에서 안쪽으로 가는 골목으로 쭉 들어가다보면 공터 옆에 계단이 있다. 그 계단으로 올라가면 수성대가 나온다. 아니면 오성고등학교 내에서 산으로 둘러가는 길로 갈 수도 있다. * 오성고등학교 학생들이 대학가에 굉장히 많다. 특히 [[PC방]]과 [[노래방]]에 자주 출몰한다. * 2019년 8월 27일 야구부를 창단하고 TBC라디오 서석진 해설위원을 초대 감독으로 선임했다. 자세한 내용은 [[수성대학교 야구부]] 문서 참조. * 2019년 기준, 대한민국 교육부 산하 국립국제교육원의 '외국인 유학생 유치∙관리 실태조사'에서 하위 대학에 해당되어 외국인 학생 모집제한 권고대학에 선정된 바 있다. * 2022년 6월 30일 안나관이 운영중지 폐쇄되었다. [각주] [[분류:가톨릭계 대학]][[분류:대한민국의 전문대학]][[분류:대구광역시의 대학교]][[분류:1974년 개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