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수성구/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대구광역시)]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fff {{{+2 수성구 갑}}}}}}'''[br]{{{-1 {{{#fff 범어1동, 황금1동, 만촌1동, 고산1동 등[br]壽城區 甲[br]Suseong A}}}}}}}}}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수성구 갑(2).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255,126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대구광역시]]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수성구|{{{#000,#fff 수성구}}}]] {{{#000,#fff 일부}}}'''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 ||<-2> '''신설년도''' ||<-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1992년]] || ||<-2> '''이전 선거구''' ||<-2> 수성구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주호영]]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성구]] 원도심권 동부인 [[범어동(대구)|범어동]], [[만촌동]], [[황금동(대구)|황금동]]+[[시지(대구)|시지지구]]가 이 [[지역구]]에 속하며, [[대구 도시철도 2호선|2호선]] 연선을 끼고 있는 지역이다. 현 국회의원은 [[바른정당]]과 [[국민의힘]] 원내대표를 역임했던 [[수성구 을|옆동네]] 출신 [[국민의힘]] [[주호영]] 의원이다. 이 지역구 출신 역대 주요 의원 중에는 [[노태우 정부|6공]]의 황태자였던 [[박철언]], [[기획재정부장관|경제부총리]]와 [[포스코]] 회장을 지낸 [[김만제]], 2016년 새누리당 막장 공천 및 [[옥새 파동]]의 주 원인을 제공한 [[이한구]], [[문재인 정부]]의 첫 [[행정안전부장관]]와 [[국무총리]]를 지낸 [[김부겸]] 등 한 때 세력을 떨쳤던 인물들이 많아 [[1994년 재보궐선거]] 이후부터 당시의 서울 [[강남구]]처럼 TK 신정치 1번지로 불리기 시작하다 2010년대 이후[* [[1990년대]] 중반까진 서울의 [[종로구(선거구)|종로구]]처럼 대구·경북 지역 개표방송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중구(대구 선거구)|중구]]가 TK 정치 1번지로 불렸고, [[정호용]] 전 장관과 [[문희갑]] 전 [[대구광역시장]]의 지역구였던 [[서구 갑(대구)|서구 갑]]도 1990년 4·3 [[재보궐선거]] 당시 전국적으로 주목받으며 수성구 갑보다 위상이 높은 지역구였다.], [[김부겸]]이 당선되며 언론에서는 TK 정치 1번지로 부르기도 한다.[* 심지어 이곳에 도전했다 낙선한 인물들의 면면도 만만찮은데, [[김문수]] 전 경기지사, [[조순형]] 전 민주당 대표가 대표적이다.] '''대구 최초의 여성 국회의원'''을 배출한 선거구이기도 한데, [[1994년 재보궐선거]]에서 당선된 박철언의 부인 [[현경자]]가 그 주인공이다. 고소득층, [[전문직]] 종사자, [[중산층]] 비중이 높고, 수성학군에 속하는 명문 [[중학교]]/[[고등학교]][* 그 [[수성구]]에서도 가장 잘 나가는 [[경신고등학교(대구)|경신고]], [[대륜고등학교|대륜고]], [[오성고등학교|오성고]], [[경북고등학교|경북고]], [[대구혜화여자고등학교|혜화여고]], [[정화여자고등학교|정화여고]], [[대구여자고등학교|대구여고]], [[대구과학고등학교|대구과고]]가 이 [[선거구]]에 위치해 있다.]가 밀집한 수성구의 핵심 지역으로, [[서울특별시|서울]]의 [[강남구 병]], [[부산광역시|부산]]의 [[해운대구 갑]] 선거구와 유사한 면이 있다.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이 [[부동산]] 및 [[교육]] 관련 이슈에 민감하다. 이 같은 특성 때문인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주호영]]이 당선되기 전까지는 모두 경북고 - 서울대 출신만이 당선되었다.[[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330/100404586/1|#]] 다만 부유층, 중산층들이 상대적으로 많이 거주함에도 불구하고 보수 성향은 비교적 약한 선거구[* 부촌인데도 불구하고 젊은 연령층의 비중이 높아 상대적으로 보수세가 타 부촌에 비해 낮은 몇몇 지역 중 하나였다. [[서울특별시|서울]] [[송파구 을]], [[부산광역시|부산]] [[해운대구 갑]], [[인천광역시|인천]] [[연수구 을]], [[경기도|경기]] [[수원시 정]]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다만 최근 수성구 갑을 포함하여 이들 지역들도 부동산 문제로 보수세가 강해져서 옛 이야기가 되었다.][* 중산층과 서민층의 비중이 높은 [[시지(대구)|시지지구]]의 영향도 있다. 시지지구는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과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당시 [[김부겸]]의 득표율을 보면 [[민주당계 정당]]의 고정 지지층이 더 두터웠다.]였어서, 이 점을 노린 [[김부겸]] 의원이 4년 간 공략한 끝에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처음으로 [[제20대 국회의원 선거|20대 총선]]에서 대구에서 민주당 후보로 당선되기도 했다. 이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때 김부겸 후보가 [[수성구 을|옆 지역구]]에서 넘어온 [[주호영|후보]]에게 패해 낙선했지만, 그래도 40%에 가까운 득표율을 얻어서 대구 내에서는 가장 선전했다. [[서구(대구 선거구)|서구]], [[북구 을(대구)|북구 을]]과 같이 대구에서 [[정의당]] 등 진보정당 소속 기초의원을 배출한 몇 없는 지역구다. 그리고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대구에서 유일하게 [[정의당]] 소속 기초의원이 당선된 곳이기도 한다. 하지만 2020년에 들어서 [[황금동(대구)|황금동]], [[범어동(대구)|범어동]], [[만촌동|만촌3동]] 등지의 집값이 상승하면서 결국 2022년에 시행된 [[제20대 대통령 선거|20대 대선]]과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8회 지선]]에서 [[서구(대구광역시)|서구]][* 서구는 대구 뿐만 아니라 전국 시군구로 따져도 보수 지지세가 5손가락 안에 든다.] 뺨치는 몰표로 다시 보수 텃밭이 되었다. 다만 앞에서 선술했다시피 [[시지(대구)|시지지구]]에선 여전히 [[민주당계 정당]] 표심이 20~25% 정도는 나온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 제13대 || [[이치호]] || [include(틀: 민주정의당)] ||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수성구 || ||<|2> 제14대 || [[박철언]] || [include(틀: 민주자유당)] || 1992년 5월 30일 ~ 1994년 6월 28일 ||<|9> 수성구 갑 || || [[현경자]] || [include(틀: 신민당(1994년))] || 1994년 8월 3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 [[박철언]]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 || 제16대 || [[김만제]] ||<|3> [include(틀: 한나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 제17대 ||<|3> [[이한구]] ||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 제18대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 제19대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 제20대 || [[김부겸]]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 제21대 || [[주호영]] || [include(틀: 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 수성구 (1988) == ===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br]{{{#ffffff 수성구 일원[*수성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수성1가동, 수성2·3가동, 수성4가동, 황금동, 중동, 상동, 파동, 두산동, 지산동, 범물동, 고산1동, 고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치호|{{{#373a3c,#dddddd 이치호}}}]](李致浩)''' || '''66,731''' || '''1위''' || || [include(틀:민주정의당)] || '''44.64%''' || '''당선''' || ||<|2> {{{#ffffff {{{+5 '''2'''}}}}}} || [[윤영탁|{{{#373a3c,#dddddd 윤영탁}}}]](尹榮卓) || 50,184 || 2위 || || [include(틀:통일민주당)] || 33.57%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이상희(李尙熹)}}} || 21,727 || 3위 || || [include(틀:신민주공화당)] || 14.53% || 낙선 || ||<|2> {{{#ffffff {{{+5 '''4'''}}}}}} || [[이강철(정치인)|{{{#373a3c,#dddddd 이강철}}}]](李康哲) || 8,459 || 4위 || || [include(틀:한겨레민주당)] || 5.65%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권만성(權萬晟)}}} || 2,36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58%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8,674 ||<|3> '''투표율'''[br]75.90% || || '''투표 수''' || 150,715 || || '''무효표 수''' || 1,248 || == 수성구 갑 (1992~) ==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br]만촌2동, 황금동, 고산1동, 고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박철언|{{{#373a3c,#dddddd 박철언}}}]](朴哲彦)''' || '''51,756''' || '''1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58.81%'''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권오선(權五先)}}} || 6,451 || 4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7.33% || 낙선 || ||<|2> {{{#ffffff {{{+5 '''3'''}}}}}} || {{{#373a3c,#dddddd 이상희(李尙熹)}}} || 22,883 || 2위 || || [include(틀:통일국민당)] || 26.00%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박주철(朴柱澈)}}} || 6,910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7.8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2,847 ||<|3> '''투표율'''[br]67.01% || || '''투표 수''' || 89,021 || || '''무효표 수''' || 1,021 || === [[1994년 재보궐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br]만촌2동, 황금동, 고산1동, 고산2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창화|{{{#373a3c,#dddddd 정창화}}}]](鄭昌和) || 16,820 || 2위 || || [include(틀:민주자유당)] || 26.47% || 낙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권오선}}}(權五先) || 3,403 || 3위 ||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5.36% || 낙선 || ||<|2> {{{#ffffff {{{+5 '''3'''}}}}}} || '''[[현경자|{{{#373a3c,#dddddd 현경자}}}]](玄慶子)''' || '''35,440''' || '''1위''' || || [include(틀:신민당(1994년))] || '''55.77%''' || '''당선''' || ||<|2> {{{#ffffff {{{+5 '''4'''}}}}}} || 김영술 || 164 || 11위 || || [include(틀:무소속)] || 0.26% || 낙선 || ||<|2> {{{#ffffff {{{+5 '''5'''}}}}}} || 김태우 || 1,83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89% || 낙선 || ||<|2> {{{#ffffff {{{+5 '''6'''}}}}}} || 서진수 || 1,162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1.83% || 낙선 || ||<|2> {{{#ffffff {{{+5 '''7'''}}}}}} || 윤영한 || 233 || 9위 || || [include(틀:무소속)] || 0.37% || 낙선 || ||<|2> {{{#ffffff {{{+5 '''8'''}}}}}} || 이상희 || 1,446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28% || 낙선 || ||<|2> {{{#ffffff {{{+5 '''9'''}}}}}} || 이선동 || 93 || 12위 || || [include(틀:무소속)] || 0.15% || 낙선 || ||<|2> {{{#ffffff {{{+5 '''10'''}}}}}} || 이영환 || 1,109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1.75% || 낙선 || ||<|2> {{{#ffffff {{{+5 '''11'''}}}}}} || 정두병 || 184 || 10위 || || [include(틀:무소속)] || 0.29% || 낙선 || ||<|2> {{{#ffffff {{{+5 '''12'''}}}}}} || 한점수 || 1,653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2.6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7,261 ||<|3> '''투표율'''[br]46.32% || || '''투표 수''' || 63,583 || || '''무효표 수''' || 37 || 현역 [[통일국민당]] [[박철언]] 의원의 의원직 상실로 치러진 보궐선거이다. 박철언의 부인인 [[신민당(1994년)|신민당]] [[현경자]] 후보가 과반의 득표를 얻어 당선되었으며, 아예 [[민주당(1991년)|민주당]] [[이상두]] 후보가 당선되었던 같은 날 치러진 [[경주시(선거구)|경주시]] 재보궐선거와 더불어 TK의 [[문민정부]]에 대한 불만이 드러나기 시작한 선거였다.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원형(1951)|{{{#373a3c,#dddddd 이원형}}}]](李源泂) || 22,073 || 2위 || || [include(틀: 신한국당)] || 23.67% || 낙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권오선(權五先)}}} || 9,410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0.09% || 낙선 || ||<|2> {{{#ffffff {{{+5 '''3'''}}}}}} || '''[[박철언|{{{#373a3c,#dddddd 박철언}}}]](朴哲彦)''' || '''49,735''' || '''1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53.34%''' || '''당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김인석(金仁錫)}}} || 2,017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2.16%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마영열(馬英烈)}}} || 536 || 7위 || || [include(틀:무소속)] || 0.57% || 낙선 || ||<|2> {{{#ffffff {{{+5 '''6'''}}}}}} || {{{#373a3c,#dddddd 박인목(朴인穆)}}} || 451 || 8위 || || [include(틀:무소속)] || 0.48% || 낙선 || ||<|2> {{{#ffffff {{{+5 '''7'''}}}}}} || [[박형룡|{{{#373a3c,#dddddd 박형룡}}}]](朴亨龍) || 4,42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75% || 낙선 || ||<|2> {{{#ffffff {{{+5 '''8'''}}}}}} || [[이민헌|{{{#373a3c,#dddddd 이민헌}}}]](李民憲) || 4,196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4.50% || 낙선 || ||<|2> {{{#ffffff {{{+5 '''9'''}}}}}} || {{{#373a3c,#dddddd 이선동(李善東)}}} || 387 || 9위 || || [include(틀:무소속)] || 0.41%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53,807 ||<|3> '''투표율'''[br]61.50% || || '''투표 수''' || 94,589 || || '''무효표 수''' || 1,355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만제|{{{#373a3c,#dddddd 김만제}}}]](金滿堤)''' || '''53,693''' || '''1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57.40%''' || '''당선''' || ||<|2> {{{#ffffff {{{+5 '''2'''}}}}}} || {{{#373a3c,#dddddd 강기룡(姜基龍)}}} || 6,232 || 4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6.66% || 낙선 || ||<|2> {{{#ffffff {{{+5 '''3'''}}}}}} || [[박철언|{{{#373a3c,#dddddd 박철언}}}]](朴哲彦) || 22,487 || 2위 || || [include(틀: 자유민주연합)] || 24.03%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권오선(權五先)}}} || 11,135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90%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5,675 ||<|3> '''투표율'''[br]57.06% || || '''투표 수''' || 94,526 || || '''무효표 수''' || 979 ||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한구|{{{#373a3c,#dddddd 이한구}}}]](李漢久)''' || '''65,098'''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60.33%''' || '''{{{#000000 당선}}}''' || ||<|2> {{{#ffffff {{{+5 '''2'''}}}}}} || [[조순형|{{{#373a3c,#dddddd 조순형}}}]](趙舜衡) || 13,176 || 3위 || || [include(틀: 새천년민주당)] || 12.21% || 낙선 || ||<|2> {{{#000000,#191919 {{{+5 '''3'''}}}}}} || {{{#373a3c,#dddddd 김태일(金台鎰)}}} || 24,159 || 2위 || || [include(틀:열린우리당)] || 22.39% || 낙선 || ||<|2> {{{#ffffff {{{+5 '''4'''}}}}}} || {{{#373a3c,#dddddd 신우섭(申雨燮)}}} || 441 || 6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0.40% || 낙선 || ||<|2> {{{#ffffff {{{+5 '''5'''}}}}}} || {{{#373a3c,#dddddd 석홍(昔洪)}}} || 545 || 5위 || || [include(틀: 한국기독당(2004년))] || 0.50% || 낙선 || ||<|2> {{{#ffffff {{{+5 '''6'''}}}}}} || [[이연재|{{{#373a3c,#dddddd 이연재}}}]](李演宰) || 4,478 || 4위 || || [include(틀: 민주노동당)] || 4.15%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68,646 ||<|3> '''투표율'''[br]64.44% || || '''투표 수''' || 108,690 || || '''무효표 수''' || 830 || [[노무현 탄핵 사태]]에 책임을 지역 구도도 타파할 겸 조순형이 느닷없이 전략공천되었지만, 당연히 완패했다.[* 선거비용 보전 마지노선인 15%도 얻지 못하고 낙선했기에 굉장히 초라한 결과일 수 밖에 없다.]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2'''}}}}}} || '''[[이한구|{{{#373a3c,#dddddd 이한구}}}]](李漢久)''' || '''66,652''' || '''1위''' || || [include(틀: 한나라당)] || '''78.40%''' || '''{{{#000000 당선}}}''' || ||<|2> {{{#ffffff {{{+5 '''6'''}}}}}} || [[이연재|{{{#373a3c,#dddddd 이연재}}}]](李演宰) || 16,174 || 2위 || || [include(틀: 진보신당)] || 19.02%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이대주(李大周)}}} || 2,187 || 3위 || || [include(틀:평화통일가정당)] || 2.5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84,739 ||<|3> '''투표율'''[br]46.89% || || '''투표 수''' || 86,625 || || '''무효표 수''' || 1,612 || 당시 전국적으로 민주당 비토 여론이 있었던 상태였는지라 [[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은 이 곳에 후보조차 내지 못했다. 결국 이한구가 80%에 육박하는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해 무난히 재선에 성공했다. ===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한구|{{{#373a3c,#dddddd 이한구}}}]](李漢久)''' || '''60,588''' || '''1위''' ||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52.77%''' || '''당선''' || ||<|2> {{{#3AB34A {{{+5 '''2'''}}}}}} || [[김부겸|{{{#373a3c,#dddddd 김부겸}}}]](金富謙) || 46,413 || 2위 || || [include(틀: 민주통합당)] || 40.42% || 낙선 || ||<|2> {{{#ffffff {{{+5 '''6'''}}}}}} || [[이연재|{{{#373a3c,#dddddd 이연재}}}]](李演宰) || 3,838 || 3위 || || [include(틀: 진보신당)] || 3.34% || 낙선 || ||<|2> {{{#ffffff {{{+5 '''7'''}}}}}} || {{{#373a3c,#dddddd 김경동(金炅東)}}} || 2,625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2.28%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정재웅(鄭載雄)}}} || 1,349 || 5위 || || [include(틀:무소속)] || 1.17%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98,232 ||<|3> '''투표율'''[br]58.19% || || '''투표 수''' || 115,362 || || '''무효표 수''' || 549 || ||<:><-5> {{{#FFFFFF '''19대 총선 대구 수성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민주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한구|{{{#FFFFFF '''이한구'''}}}]] ||<:> [[김부겸|{{{#3AB34A '''김부겸'''}}}]]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60,588 [br] (52.77%)'''}}} ||<:> '''46,413 [br] (40.42%)''' ||<:> '''+14,175 [br] (△12.35)''' ||<:> '''58.19%''' || || '''범어1동''' ||<:> {{{#C9252B 54.16%}}} ||<:> 40.74% ||<:> △13.42 ||<:> 58.44 || || '''범어2동''' ||<:> {{{#C9252B 55.71%}}} ||<:> 38.83% ||<:> △16.88 ||<:> 54.10 || || '''범어3동''' ||<:> {{{#C9252B 55.73%}}} ||<:> 38.92% ||<:> △16.81 ||<:> 54.78 || || '''범어4동''' ||<:> {{{#C9252B 52.92%}}} ||<:> 41.13% ||<:> △11.79 ||<:> 57.34 || || '''만촌1동''' ||<:> {{{#C9252B 57.26%}}} ||<:> 37.57% ||<:> △19.69 ||<:> 58.51 || || '''만촌2동''' ||<:> {{{#C9252B 56.39%}}} ||<:> 35.40% ||<:> △20.99 ||<:> 53.82 || || '''만촌3동''' ||<:> {{{#C9252B 52.46%}}} ||<:> 39.71% ||<:> △12.75 ||<:> 57.63 || || '''황금1동''' ||<:> {{{#C9252B 51.56%}}} ||<:> 42.85% ||<:> △8.71 ||<:> 61.10 || || '''황금2동''' ||<:> {{{#C9252B '''61.30%'''}}} ||<:> 33.08% ||<:> △'''28.22''' ||<:> 46.21 || || '''고산1동''' ||<:> {{{#C9252B 47.92%}}} ||<:> '''45.28%''' ||<:> △2.64 ||<:> 59.66 || || '''고산2동''' ||<:> {{{#C9252B 50.31%}}} ||<:> 42.10% ||<:> △8.21 ||<:> 58.76 || || '''고산3동''' ||<:> {{{#C9252B 49.41%}}} ||<:> 43.14% ||<:> △5.27 ||<:> 58.59 || || '''후보''' ||<:> [[이한구|{{{#C9252B '''이한구'''}}}]] ||<:> [[김부겸|{{{#ffd400 '''김부겸'''}}}]] ||<-2> 격차 || || '''국외부재자투표''' ||<:> {{{#C9252B 46.20%}}} ||<:> 41.30% ||<-2> △4.90 || || '''국내부재자투표''' ||<:> {{{#C9252B 56.19%}}} ||<:> 29.59% ||<-2> △26.60 || 지역주의 타파를 내세운 [[김부겸]]이 기존 지역구였던 [[군포시(선거구)|군포시]]를 떠나 이 곳에 출마했지만 2위로 낙선했다. 그래도 '''무려 40%'''를 득표하는 성과를 보였다. 이는 차기 총선에서 결국 승리하는 발판이 되었다.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4> [[수성구 갑|{{{#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 [br] 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문수|{{{#373a3c,#dddddd 김문수}}}]](金文洙) || 51,375 || 2위 || || [include(틀: 새누리당(2012년))] || 37.69% || 낙선 || ||<|2> {{{#ffffff {{{+5 '''2'''}}}}}} || '''[[김부겸|{{{#373a3c,#dddddd 김부겸}}}]](金富謙)''' || '''84,911''' || '''1위''' || || '''[include(틀: 더불어민주당)]''' || '''62.30%''' || {{{#000 '''당선'''}}} || ||<|3> '''계''' || '''선거인 수''' || 200,586 ||<|3> '''투표율'''[br]68.53% || || '''투표 수''' || 137,470 || || '''무효표 수''' || 1,184 || ||<-5> {{{#ffffff '''20대 총선 대구 수성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문수|{{{#ffffff '''김문수'''}}}]] || [[김부겸|{{{#ffffff '''김부겸'''}}}]] || || '''득표수[br](득표율)''' || '''51,375 [br] (37.69%)''' || {{{#ffffff '''84,911 [br] (62.30%)'''}}} || '''- 33,536 [br] (▼24.61)''' || '''68.53%''' || || '''범어1동''' || 39.06% || {{{#004ea2 60.94%}}} || ▼21.88 || 67.88 || || '''범어2동''' || 40.85% || {{{#004ea2 59.15%}}} || ▼18.30 || 63.77 || || '''범어3동''' || 35.20% || {{{#004ea2 '''64.80%'''}}} || ▼'''29.60''' || 63.74 || || '''범어4동''' || 37.63% || {{{#004ea2 62.37%}}} || ▼24.74 || 66.87 || || '''만촌1동''' || 40.83% || {{{#004ea2 59.17%}}} || ▼18.34 || 66.53 || || '''만촌2동''' || 42.71% || {{{#004ea2 57.29%}}} || ▼14.58 || 61.67 || || '''만촌3동''' || 38.0% || {{{#004ea2 62.0%}}} || ▼24.0 || 66.73 || || '''황금1동''' || 37.07% || {{{#004ea2 62.93%}}} || ▼25.86 || 69.63 || || '''황금2동''' || '''46.91%''' || {{{#004ea2 53.09%}}} || ▼6.18 || 51.48 || || '''고산1동''' || 36.08% || {{{#004ea2 63.92%}}} || ▼27.84 || 70.11 || || '''고산2동''' || 38.23% || {{{#004ea2 61.77%}}} || ▼23.54 || 69.06 || || '''고산3동''' || 35.93% || {{{#004ea2 64.07%}}} || ▼28.14 || 68.51 || || '''후보''' || [[김문수|{{{#c9252b '''김문수'''}}}]] || [[김부겸|{{{#004ea2 '''김부겸'''}}}]]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c9252b '''53.18%'''}}} || 46.82% ||<-2> {{{#808080 △'''6.36'''}}} || || '''관외사전투표''' || 30.66% || {{{#004ea2 69.34%}}} ||<-2> ▼38.68 || || '''국외부재자투표''' || 23.32% || {{{#004ea2 '''76.68%'''}}} ||<-2> ▼'''53.36''' || 현역 [[이한구]] 의원은 일찌감치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한 상황에서 공천관리위원장을 맡아 총선에서 대규모 공천학살을 자행하며 당을 수렁에 빠트리고, 19대 임기 중에 이미 [[지역구]]를 아예 뜨는 등 사실상 지역구를 포기하고 중앙 의정활동에만 전념했다.[* 임기 중에 [[성남시]] [[분당구]]로 이사갔다.] 새누리당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대신 [[김문수]] 전 [[경기도지사]]를 공천하였다. 한편 [[제19대 국회의원 선거|19대 총선]]에서 [[낙선]]한 [[김부겸]]은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6회 지선]]에서 [[대구광역시장]] 후보로 출마하여 40% 정도의 득표율을 얻어내면서 선전했으나 낙선했고, 이후 해당 총선에서 재도전했다.[* 수성구 갑, [[달서구]] [[월성동(대구)|월성1동]]에서는 무려 [[권영진]]을 이겼다.] 개표 결과 김부겸이 무려 '''62.3%'''의 득표율로 당선되어, '''탈지역주의의 상징'''이 되었다. 당시 김부겸의 62.3% 득표율은 20대 총선 민주당 당선자 중에서 두 번째로 높은 득표율이다. 1번 타자는 [[경상남도]] [[김해시 을]]의 [[김경수]]인데 김해가 경합지인 것을 감안하면 고무적이라고 볼 수 있다 동별로 보면 [[캐슬골드파크]]로 대표되는 중산층 밀집 지역인 황금1동에서 7할에 가까운 김부겸 몰표가 쏟아졌고, 상대적으로 진보세가 강한 신도시 지역인 [[시지(대구)|고산1동, 2동, 3동]]에서도 동일한 양상을 띄었다. 부촌인 [[범어동(대구)|범어동]]조차 [[김부겸]] 후보가 과반을 넘기고, 낙후한 주택 밀집지역인 [[황금동(대구)|황금2동]]과 [[만촌동|만촌1, 2동]][* 다만 만촌1동에도 캐슬골드파크 못지 않은 대단지 아파트인 [[메트로팔레스]]가 있다. [[김부겸]]의 지역구 자택도 이 곳에 있었다. [[만촌동#만촌1동|만촌1동]]은 [[수성구]]보다 [[동구(대구광역시)|동구]] [[효목동]], [[신천동(대구)|신천동]]과 같은 생활권이다보니, 사실상 정치적으로 수성구 갑보다는 [[동구 갑]]과 더 비슷하다. 당장 대구 시민들도 만촌동이라고 하면 만촌2동과 3동을 가리키는 경향이 강하고 오히려 만촌1동을 효목동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강하다.]에서도 김부겸이 살짝 앞서면서 김부겸이 [[수성구 갑]] 전역에서 김문수 후보를 이겼다.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는 '수성 [[대첩]]'이고, [[새누리당]] 입장에서는 '수성 [[쇼크(스포츠)|쇼크]]'가 되었다. [[김문수]]는 정계 입문 후부터 [[대구광역시|대구]]와는 접점이 거의 없었고, [[경기도지사]]를 지내는 동안 수도권 규제 완화를 강하게 주장했기에 [[대경권]]의 이익에 반대되는 인물이었다. 당시 [[LG디스플레이]] [[OLED]] 생산라인 일부, [[삼성전자]] 모바일 연구소 일부 등이 [[경기도]]로 이탈했는데 이를 주도한 인물이 [[김문수]] 당시 [[경기도지사]]였기에 [[구미시|구미]]와 같은 [[대경권]]인 [[대구광역시|대구]] 입장에서는 곱게 볼 리가 만무했다. 따라서 [[구미시|구미]]와 경제적으로 엮인데다 통근 인원도 많은 [[대구광역시|대구]]에서 김문수가 이긴다는 것은 불가능했다.[* 다만 [[수성구]]는 [[북구(대구광역시)|북구]]나 [[달서구]]에 비해서 구미시로 통근하는 인구는 적다.] 당시 [[새누리당]]은 [[곽상도]], [[김정재]], [[백승주]], [[이만희(정치인)|이만희]], [[이완영]], [[정종섭]], [[정태옥]], [[최교일]] 등 [[친박]] 정치인들을 심기 위해 [[김재원(정치인)|김재원]] 정무수석과 [[최경환]] 부총리가 [[국가정보원]]에 불법 여론조사를 의뢰했고, 비박계 정치인들인 [[김희국]], [[류성걸]], [[유승민]], [[권은희(1959)|권은희]], [[주호영]] 등을 컷오프하고 [[김문수]]처럼 지역구의 여론을 무시하는 공천을 하며 그에 따른 반감이 심했다. 당시 [[진박 감별사]]라는 단어 자체로 인해 새누리당이 고전한다는 이야기까지 있었다..[* [[대경권]] 외에서는 [[민현주]], [[이종훈(정치인)|이종훈]] 등을 [[컷오프]]했다.] 이 때문에 안 그래도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새누리당]]에 대한 민심 이반이 발생했는데도 느닷없이 [[김문수]]가 수성구 갑이 험지라고 주장한 것이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김문수]]는 그 때까지 계속 [[경기도]]에서 정치 활동을 했고, [[대경권]]과는 접점이 전혀 없었던 인사여서 지역 내 민심이 좋지 않았다. 그런데 그런 사람이 어떠한 준비 없이 [[텃밭(정치)|텃밭]]인 [[대구광역시|대구]]에서 출마하겠다는 것은 누가 봐도 ''''[[경기도]] 사람이 노골적으로 쉽게 당선되려고 한다.''''는 의도로밖에 보이지 않았다. 이 때문에 [[김문수]] 본인은 "[[말이 씨가 된다|수성 갑은 험지입니다.]]"라는 발언으로 자신이 쉽게 당선되려고 [[대구광역시|대구]]에 온 것이 아니라고 했지만, 당연히 씨알도 안 먹혔다. 일단 공약부터가 지역에 대해 모른다는 것이 티가 났고, 지역 유권자 입장에서도 정당 지지 여부를 떠나서 대놓고 쉽게 당선되려고 수성구 갑을 고른 [[김문수]]보다 적어도 지역구 준비도 하고 험지인 [[대구광역시|대구]]에서 노력한 [[김부겸]]을 지지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김문수]]는 '''[[친박]] 공천으로 [[새누리당]]의 [[텃밭(정치)|텃밭]] 대구에 출마해 민주당 후보에게 25%p 차이로 대패한 후보'''라는 오명을 쓰게 되고, 사실상 정치 생명이 끝나게 된다. 반대로 [[김부겸]]은 순식간에 [[더불어민주당]] 대권주자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비록 [[문재인]]이 대통령 후보로 가서 대선 후보는 되지 못했지만 대신 [[행정안전부장관]]이 되었다. 물론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에서 [[주호영]]에게 밀리면서 낙선되었지만 [[국무총리]]로 임명되었다.[[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380942|#]] 여담으로 [[노태우]]의 딸인 [[노소영]] 아트센터나비 관장이 당시 [[김문수]] 후보를 지지하며 두 차례나 대구에 방문해 유세에 참여하기도 했다. [[노소영]]은 [[김문수]]가 당선되면 [[대구광역시|대구]]에 창의교육센터를 열겠다며 적극적으로 지원했으나 그럼에도 참패했다. 애초에 이미 창의교육센터와 같은 영재교육원이 있는데 굳이 이런 공약을 냈나라는 반응이 많았다.[[https://m.yna.co.kr/view/AKR20160407085800053|#]] 공교롭게도 4년 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1대 총선]] 당시 부산 [[남구 을(부산)|남구 을]]에서 똑같은 현상이 나타났다. 경기 [[광명시 을]]에서 재선 의원를 지낸 [[미래통합당]] [[이언주]] 후보가 느닷없이 부산 [[남구 을(부산)|남구 을]]에 출마하여 오히려 현역 의원인 더불어민주당 [[박재호]] 후보에게 접전 끝에 1.8%p차로 밀려 낙선하였다. 이언주도 수성구 갑에 출마한 김문수처럼 학창시절을 제외하면 부산과의 연고가 전혀 없기 때문이었다.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br]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김부겸|{{{#373a3c,#dddddd 김부겸}}}]](金富謙) || 60,462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39.29% || 낙선 || ||<|2> {{{#ffffff {{{+5 '''2'''}}}}}} || '''[[주호영|{{{#373a3c,#dddddd 주호영}}}]](朱豪英)''' || '''92,018'''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9.81%''' || '''당선''' || ||<|2> {{{#ffffff {{{+5 '''7'''}}}}}} || [[곽성문|{{{#373a3c,#dddddd 곽성문}}}]](郭成文) || 675 || 4위 || || [include(틀:친박신당)] || 0.43% || 낙선 || ||<|2> {{{#ffffff {{{+5 '''8'''}}}}}} || {{{#373a3c,#dddddd 박청정(朴淸正)}}} || 695 || 3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0.45% || 낙선 || ||<|2> --{{{#ffffff {{{+5 '''9'''}}}}}}-- || --[[이진훈|{{{#373a3c,#dddddd 이진훈}}}]](李晉勳)-- || - ||<|2> 사퇴 || || --[include(틀:무소속)]-- || - || ||<|3> '''계''' || '''선거인 수''' || 207,130 ||<|3> '''투표율'''[br]74.91% || || '''투표 수''' || 155,155 || || '''무효표 수''' || 1,305 || ||<-5> {{{#ffffff '''21대 총선 대구 수성구 갑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김부겸|{{{#ffffff 김부겸}}}]] || [[주호영|{{{#ffffff '''주호영'''}}}]] || || '''득표수[br](득표율)''' ||<:> '''60,462 [br] (39.29%)''' ||<:> {{{#FFFFFF '''92,018 [br] (59.81%)'''}}} ||<:> '''- 31,556 [br] (▼20.52)''' ||<:> '''74.91%''' || || '''범어1동''' ||<:> 31.96% ||<:> {{{#ef426f 67.17%}}} ||<:> ▼35.21 ||<:> 74.62 || || '''범어2동''' ||<:> 29.43% ||<:> {{{#ef426f '''69.74%'''}}} ||<:> ▼'''40.31''' ||<:> 69.65 || || '''범어3동''' ||<:> 34.49% ||<:> {{{#ef426f 64.61%}}} ||<:> ▼30.12 ||<:> 73.15 || || '''범어4동''' ||<:> 38.39% ||<:> {{{#ef426f 60.69%}}} ||<:> ▼22.30 ||<:> 73.98 || || '''만촌1동''' ||<:> 35.43% ||<:> {{{#ef426f 63.60%}}} ||<:> ▼28.17 ||<:> 73.26 || || '''만촌2동''' ||<:> 37.28% ||<:> {{{#ef426f 61.42%}}} ||<:> ▼24.14 ||<:> 69.87 || || '''만촌3동''' ||<:> 39.31% ||<:> {{{#ef426f 59.85%}}} ||<:> ▼20.54 ||<:> 74.94 || || '''황금1동''' ||<:> 37.45% ||<:> {{{#ef426f 61.83%}}} ||<:> ▼24.39 ||<:> 76.80 || || '''황금2동''' ||<:> 32.48% ||<:> {{{#ef426f 66.52%}}} ||<:> ▼34.04 ||<:> 61.04 || || '''고산1동''' ||<:> '''42.46%''' ||<:> {{{#ef426f 56.81%}}} ||<:> ▼14.35 ||<:> 74.24 || || '''고산2동''' ||<:> 40.22% ||<:> {{{#ef426f 58.78%}}} ||<:> ▼18.56 ||<:> 72.46 || || '''고산3동''' ||<:> 41.67% ||<:> {{{#ef426f 57.48%}}} ||<:> ▼15.81 ||<:> 72.05 || || '''후보''' ||<:> [[김부겸|{{{#004EA2 '''김부겸'''}}}]] ||<:> [[주호영|{{{#ef426f '''주호영'''}}}]]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42.25% ||<:> {{{#ef426f 55.62%}}} ||<-2> ▼13.37 || || '''관외사전투표''' ||<:> 47.16% ||<:> {{{#ef426f 51.91%}}} ||<-2> ▼4.75 || || '''국외부재자투표''' ||<:> {{{#004EA2 '''64.75%'''}}} ||<:> 35.25% ||<-2> {{{#808080 △'''29.50'''}}} || ||<-4> {{{#ffffff '''수성구 갑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 || '''후보''' || [[김부겸|{{{#ffffff 김부겸}}}]] || [[주호영|{{{#ffffff '''주호영'''}}}]] || || '''[[범어동 두산위브 더제니스|두산위브 더 제니스]]''' || 19.55% || {{{#ef426f '''80.32%'''}}} || ▼60.77 || || '''[[캐슬골드파크]] 5단지''' || 29.29% || {{{#ef426f 70.04%}}} || ▼40.75 || || '''만촌 우방팔레스''' || 35.87% || {{{#ef426f 63.11%}}} || ▼27.24 || || '''[[캐슬골드파크]] 4단지''' || 33.77% || {{{#ef426f 65.43%}}} || ▼31.66 || || '''[[캐슬골드파크]] 1단지''' || 34.64% || {{{#ef426f 64.37%}}} || ▼30.03 || || '''범어 숲 화성파크드림 S''' || 37.54% || {{{#ef426f 61.45%}}} || ▼23.91 || || '''시지 한신휴플러스''' || '''43.41%''' || {{{#ef426f 55.72%}}} || ▼12.31 || ||<-10> {{{#ffffff '''비례대표 선거'''}}} || || '''정당''' || [include(틀:미래한국당)] || [include(틀:더불어시민당)] || [include(틀:정의당)] || [include(틀:국민의당)] || [include(틀:열린민주당)]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ffffff '''138,139 [br] (54.99%)'''}}} || '''40,092 [br] (15.96%)''' || '''15,236 [br] (6.06%)''' || '''25,018 [br] (9.96%)''' || '''8,671 [br] (3.45%)''' || '''+ 98,047 [br] (△39.04)''' || '''260,192 [br] (72.83%)''' || || '''범어1동''' || {{{#ef426f 59.09%}}} || 14.19% || 5.72% || 9.92% || 3.07% || △44.90 || 74.61 || || '''범어2동''' || {{{#ef426f 60.27%}}} || 13.09% || 4.95% || 10.28% || 2.86% || △47.18 || 69.65 || || '''범어3동''' || {{{#ef426f 54.11%}}} || 16.52% || 6.87% || 11.51% || 3.68% || △37.59 || 73.15 || || '''범어4동''' || {{{#ef426f 51.84%}}} || 16.68% || 6.23% || '''12.12%''' || '''4.00%''' || △35.16 || 73.98 || || '''만촌1동''' || {{{#ef426f 57.61%}}} || 15.36% || 5.60% || 8.84% || 3.35% || △42.25 || 73.26 || || '''만촌2동''' || {{{#ef426f 55.05%}}} || 16.06% || 6.50% || 9.30% || 3.30% || △38.99 || 69.86 || || '''만촌3동''' || {{{#ef426f 53.04%}}} || 16.91% || 6.19% || 11.66% || 3.57% || △36.13 || 74.95 || || '''수성1가동''' || {{{#ef426f 56.75%}}} || 14.14% || 5.61% || 9.70% || 3.28% || △42.61 || 71.61 || || '''수성2·3가동''' || {{{#ef426f 59.82%}}} || 12.59% || 3.99% || 10.85% || 3.51% || △47.22 || 72.54 || || '''수성4가동''' || {{{#ef426f 59.68%}}} || {{{#696969 12.29%}}} || 5.28% || 10.27% || 2.95% || △47.40 || 70.97 || || '''황금1동''' || {{{#ef426f 55.23%}}} || 16.23% || 5.96% || 11.37% || 3.54% || △39.00 || '''76.80''' || || '''황금2동''' || {{{#ef426f 59.21%}}} || 15.31% || 4.36% || 7.26% || 3.17% || △43.90 || {{{#696969 61.04}}} || || '''중동''' || {{{#ef426f 60.50%}}} || 13.55% || 4.78% || 7.44% || 2.88% || △46.95 || 61.73 || || '''상동''' || {{{#ef426f '''61.43%'''}}} || 13.20% || 4.48% || 8.14% || 2.84% || '''△48.23''' || 65.56 || || '''파동''' || {{{#ef426f 59.26%}}} || 13.83% || 4.89% || 8.18% || 3.02% || △45.42 || 68.04 || || '''두산동''' || {{{#ef426f 60.18%}}} || 12.78% || 4.63% || 9.18% || 3.07% || △47.40 || 65.23 || || '''지산1동''' || {{{#ef426f 57.79%}}} || 14.91% || 4.63% || 8.34% || 2.88% || △42.89 || 66.56 || || '''지산2동''' || {{{#ef426f 56.90%}}} || 15.26% || 5.11% || 9.30% || 3.07% || △41.64 || 67.94 || || '''범물1동''' || {{{#ef426f 59.92%}}} || 13.61% || 4.53% || 7.35% || 2.46% || △46.31 || 68.68 || || '''범물2동''' || {{{#ef426f 55.30%}}} || 15.75% || 5.81% || 10.38% || 3.15% || △39.55 || 70.82 || || '''고산1동''' || {{{#ff7e9d 50.14%}}} || '''18.31%''' || '''7.50%''' || 11.37% || 3.80% || {{{#696969 △31.83}}} || 74.22 || || '''고산2동''' || {{{#ef426f 51.60%}}} || 17.87% || 7.28% || 10.50% || 3.50% || △33.73 || 72.45 || || '''고산3동''' || {{{#ef426f 51.10%}}} || 17.69% || 7.53% || 10.74% || 3.66% || △33.42 || 72.04 || || '''정당''' || [[미래한국당|{{{#ef426f '''미래한국당'''}}}]] || [[더불어시민당|{{{#006cb7 더불어시민당}}}]] || [[정의당|{{{#ffcc00 정의당}}}]] || [[국민의당(2020년)|{{{#ea5504 국민의당}}}]] || [[열린민주당|{{{#003e98 열린민주당}}}]]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ef426f 51.66%}}} || 15.71% || 6.87% || 10.41% || 1.96% ||<-2> △35.95 || || '''관외사전투표''' || {{{#ef426f 47.05%}}} || 20.10% || 7.93% || 9.91% || 4.62% ||<-2> △26.95 || || '''재외투표''' || {{{#ef426f 31.57%}}} || 25.43% || 13.15% || 7.89% || 10.08% ||<-2> △6.14 ||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의원은 정권교체 후 [[문재인 정부]] 1기 내각에 입각해 2년 가까이 [[행정안전부 장관]]을 지냈다. 전국 단위에서의 정치적 중량감은 재난 대처 등으로 높아졌지만, 동시에 정권심판론 및 '[[대경권|TK]] 패싱론' 등 [[대경권]] 지역의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민심이 상당히 악화된 것은 과제이다.[[https://www.msn.com/ko-kr/news/national/%EA%B9%80%EB%B6%80%EA%B2%B8-%ED%96%89%EC%95%88%EC%9E%A5%EA%B4%80-tk-%ED%8C%A8%EC%8B%B1-%EA%B0%9C%EA%B0%81-%EC%A7%80%EC%A0%81%EC%97%90-%EC%9E%A3%EB%8C%80-%EC%A7%80%EB%82%98%EC%B3%90/ar-BBUKzMQ|#]]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207446622484656&mediaCodeNo=257|#]] 한편 한국당에서는 원래 [[김병준]] 전 비대위원장이 이 지역구를 생각하고 있었으나, 당 내외에서 분출된 중진/지도자급 인사의 험지출마론 등의 영향으로 결국 이 곳 대신 서울 시내의 (한국당 기준으로) 험지로 나오겠다는 뜻을 밝혀 지역구 후보군에서는 제외되었다.[* 김 전 위원장은 [[세종특별자치시 을]]에 전략공천되었다.][[https://www.hankyung.com/politics/article/201911196609H|#]] 그런 가운데 [[정상환]] 전 국가인권위 상임위원, [[정순천]] 전 당협위원장, [[이진훈]] 전 수성구청장이 가장 유력한 후보군[* 정상환은 수성 을로 옮겨 경선을 치렀으나 패배, 정순천은 당의 전략공천 방침을 수용하고 [[주호영]] 캠프의 선대위원장이 되었고, 이진훈은 무소속으로 출마.]으로 꼽혔으나, 당 지도부가 이번 기회에 김부겸을 확실하게 잡기 위해서인지 옆 지역구인 [[수성구 을]] 현역 의원 [[주호영]]을 전략공천했다.[[http://www.donga.com/news/article/all/20200103/99065102/1|#]] 4년 전의 압승이 무색하게[* 20대 총선 때의 득표율보다 20% 이상 떨어졌다.] 정권 심판론 등의 여파로 김부겸 의원이 미래통합당 예비 후보들에게 상당한 격차로 뒤지고 있다. 심지어 유력 후보였던 이진훈 전 수성구청장에게는 더블스코어 차로 패한다는 여론조사도 나온 상황. 김부겸과 주호영 양자 대결로 판세가 굳어져가는 듯 보였던 3월 15일, 수성구 갑 대진에 급작스런 변화가 생겼는데, 주호영 전략공천에 반발하여 [[이진훈]] 전 수성구청장이 탈당 후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것이다.[[http://m.ohmynews.com/NWS_Web/Mobile/at_pg.aspx?CNTN_CD=A0002622294#cb|#]] 이 때문에 김부겸 - 주호영 - 이진훈의 3파전이 될 뻔했으나, 이진훈 후보가 사퇴하면서[* 3월 31일 사퇴 의사를 밝히고 4월 1일 공식적으로 사퇴 처리] 김부겸 - 주호영의 양자대결 구도가 되었다. 20대 총선과 21대 총선 사이 지역구 전역에 걸쳐서 3,500세대 정도의 신축 아파트들이 입주하면서, 새로운 주민이 된 이들의 표심이 어디로 갈릴지도 관전의 포인트가 될 것이다. 무소속 이진훈 후보까지 후보 등록 완료 이후 발표된 여론 조사들에서는 편차가 심하긴 하지만 전반적으로 미래통합당 주호영 후보가 최저 오차범위 내에서 두 자릿수%p 차이까지 우세한 것으로 점쳐지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 김부겸 후보가 대략 30% 후반 ~ 40% 초반대로 결집한 지지율을 높여 이를 역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무소속 이진훈 후보는 한 자릿수 지지율에 그치고 있다가 3월 31일 사퇴 의사를 밝혔고, 다음 날인 4월 1일에 공식적으로 사퇴 처리가 되었다. 4월 15일 당일 발표된 3사 출구조사에서 미래통합당 주호영 후보가 큰 득표율 차로 앞서는 것으로 나와 민주당 김부겸 후보 캠프와 민주당 대구시당은 큰 실망에 빠졌다.[* 먼저 나온 JTBC 출구조사에서 49%:47.3%로 김부겸 후보가 근소하게 앞서는 것으로 발표되어 처음에는 다들 박수를 쳤지만, 뒤이어 나온 방송3사 출구조사에서 37.8%:61.2%로 압도적으로 밀리는 것으로 발표되면서 분위기는 순식간에 얼어붙었다.] 최종적으로 주호영 후보가 넉넉한 표차로 당선되었다. 그러나 대구의 다른 선거구에서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득표율이 20% 중후반에서 30% 초반에 그친 데 반해, 김부겸 의원은 민주당 후보 중에선 대구에서 가장 높은 39퍼센트의 득표율[* 수성구(갑+을)에서 민주당계와 진보정당의 비례 득표수는 약 6만 8천여 표이나, 수성구 갑에서 김부겸의 득표수는 이미 6만 표가 넘는다. 이상식 후보의 2만 표를 같이 놓고 봤을 때 2만 표 정도는 김부겸 개인을 보고 찍은 표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비례대표는 미래한국당과 국민의당의 보수 및 중도 정당을 찍고 지역구는 김부겸을 찍는 교차투표를 한 유권자들이 꽤 있다는 것이다.]을 얻었을 정도로 유권자의 지지하는 당에 비해서는 여론은 비교적 호의적이었다. 하지만 [[행정안전부장관]] 재임 시절 지역구를 방치했다는 비판 여론과 [[코로나19]] 직격탄으로 인한 정권 심판론 등이 대구 지역 내에서 심화되었다. 또한 수성구에 한정해서는, [[국토교통부]](장관 [[김현미]])의 수성구 [[투기과열지구]] 지정[* 주호영 후보와 김부겸 후보 모두 코로나로 경기가 침체된 와중에 수성구를 투기과열지구로 계속 묶어둘 필요가 없다고 지정해제를 주장했다.[[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3/30/2020033001860.html|#]] 특히 주호영 후보는 수성구 투기과열지구 지정해제가 총선 1호 공약이었다.[[https://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4/16/2020041602526.html|#]] [[수성구 을|옆 지역구]]의 [[홍준표]] 무소속 당선인 역시 "수성구민들의 숙원과제가 투기과열지구 해제이기 때문에 이 문제를 풀어 [[재건축]]·[[재개발]]의 물꼬가 트이게 할 생각"이라고 한 바 있다.[[http://news.imaeil.com/Politics/2020060116003657447|#]]]과 [[종합부동산세]] 인상 등으로 인한 '부동산 심판론'도 들끓고 있었다. 이로 인해 [[더불어민주당]]에 대한 불만이 표심으로 드러나면서 여론조사에서도 대부분 주호영 후보에게 밀리는 등 어느 정도 김부겸 후보의 [[낙선]]은 이미 예상되기도 했다. 단순한 석패 수준이 아니고 지난 총선과 비교해 20% 이상 득표율이 떨어져 지지자 중 1/3이 이탈한 완패이기도 하다. [[더불어민주당]]의 과반 의석을 막기 위해서[* 통합당의 TK 지역 이외에서의 불리한 판세+[[유시민]] [[노무현재단]] [[이사장]]의 '범민주 180석' 발언 등을 통해 위기감을 느낀 보수표가 주호영과 미래한국당에 결집하여 지난 총선에서 김부겸을 지지한 약 20% 정도의 중도보수층이 이탈.] 미래통합당에 표를 밀어준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행정안전부장관]]직을 수행하며 지역구 관리에 상대적으로 소홀히 했다는 점[* 중앙정치에 집중하다 보면, 자연스레 지역 활동에 소홀해지기 마련이다. 국무위원을 겸직하는 지역구 국회의원의 경우 더더욱 그렇다.], 20대 총선 때 약속한 공약사항을 제대로 지키지 못 했다는 점[* [[http://manifesto.or.kr/|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 따르면, 김부겸의 총선 공약이행률은 55.5%였다. 반면 [[주호영]]은 [[수성구 을]] 국회의원 재임 당시 공약이행률이 95%에 달했다..], 소위 '여당 내 야당' 역할을 하겠다는 약속을 뒤집고, [[조국 사태]]를 비롯하여 친정부 편향적인 정치행보를 보여왔다는 점 등 각종 악재가 김부겸의 낙선에 영향을 끼쳤다. 선거가 끝난 후 김부겸은 [[대구광역시|대구]]를 버리라는 지지자들의 비탄에도 "농부는 밭을 탓하지 않는다"며 의연한 태도를 보여 호평을 받았으나, 불과 넉 달 후 "[[국민의힘|보수당]] 묻지마 지지하는 [[경상도|영남]]이 문제" 발언이 논란이 되었다. [[https://news.imaeil.com/Politics/2020081213561264153|#]] [[당선]]된 주호영 후보의 경우 자신의 정치적 체급을 한 단계 높인 것과 동시에 TK 지역 및 당내 최다선(5선) 국회의원이 되면서 보수진영에서의 영향력이 상당히 커질 전망이다. 특히 당내 대선 주자급이 험지에 출마했다가 우수수 낙선한 상황이기 때문에 그들을 대신하여 총선 이후 당 중진으로서 언론 인터뷰에 자주 출연하고 있는 상황. 세부적으로 보면 부촌이 있는 범어1~4동에선 무려 60% 이상이 주호영에게 표를 부어 주호영 후보의 득표율 상승을 견인했고[* 특히 대구에서 가장 집값이 비싼 [[두산위브 더제니스(범어동)|두산위브더제니스]](범어2동 제4투표소)는 주호영 후보가 80.32%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해, 수성구 갑의 전체 투표소들 중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했다. 반면 김부겸 후보는 19.55%에 불과했다.], 수성구 내에서 진보 성향이 상대적으로 강한 고산1~3동([[시지(대구)|시지지구]])조차 주호영 후보가 50%대 후반을 득표했다. 대단지 아파트 [[캐슬골드파크]](황금1동)와 원룸(황금2동)이 많아 젊은 층이 많이 사는 황금1~2동에서도 60% 이상이 주호영에게 표를 쏟아부었다. 심지어 관내사전투표에서도 모든 동에서 주호영 후보가 앞섰고, 관외사전투표에서도 주호영 후보가 근소한 표차로 앞섰다. 대구 선거구 중에서 비례대표 선거에서 유일하게 [[국민의당(2020년)|국민의당]]에게 두 자리 수%인 '''10.14%'''를 주었다.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수성구 갑'''}}}}}}[br]{{{#ffffff 범어1동, 범어2동, 범어3동, 범어4동, 만촌1동, 만촌2동,[br]만촌3동, 황금1동, 황금2동, 고산1동, 고산2동, 고산3동}}}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21대 총선 당시, [[김부겸]]을 잡기위해 바로 옆 지역구로 온 [[주호영]]이 22대 총선에서 수성갑 지역에서 그대로 출마할 지가 포인트이다. [[국민의힘]] 공천이 아직 확정되지 않은 가운데, 신당을 추진 중인 [[이준석]]도 수성구 갑과 을 지역구 중 출마할 가능성이 점쳐지는 중이다. 이준석의 아버지가 [[경북고]]를 졸업했기 때문이고, 갑,을 지역 중 굳이 따지자면 경북고가 속해있는 수성갑 지역이 높다. 그러나 이전에 [[주호영]]의 거취가 먼저 결정되어야 이준석이 움직일 수 있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대구광역시의 정치]][[분류:수성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