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수산학]] [[분류:수의학]] [include(틀:학과)] {{{+2 水産生命醫學科 / Department of Aquatic Life Medicine}}} [목차] == 개요 == 수산생명의학과는 수산 동식물의 건강 및 질병을 관리하는 [[수산질병관리사]]를 양성ᆞ배출하기 위한 학과이다. 해양수산부령에 따라 수산생명의학과를 졸업해야만 국내 수산질병관리사 면허를 취득할 수 있으며[[https://www.law.go.kr/법령/수산생물질병관리법/(20150116,12822,20141015)/제37조의6|#]], 2002년 기르는 어업 육성법과 2008년 수산생물질병 관리법에 의하여 [[수의사]]나 수산질병관리사가 아닌 사람은 다른 사람이 소유한 수산생물을 진료할 수 없다.[[https://www.law.go.kr/법령/수산생물질병관리법/(20150116,12822,20141015)/제37조의8|#]] == 교육과정 == 교직과정이 설치된 대학교(예:[[강릉원주대]])에서는 수산 관련 교직이수가 가능하므로 중등교사 2급 자격 취득을 위한 교육을 받을 수 있으나 쉽지 않다. * 기초과목: [[일반화학]], [[일반생물학]], [[유기화학]] 등. * 수산동물학(Aquatic zoology) 수생동물의 분류 체계 및 분류군별 형태, 생리, 생태 * 어류 [[해부학]](Fish anatomy) 수생동물의 해부, 조직, 생리학. 외부 형태, 골격계, 근육계, 혈관계, 신경계 및 내장 기관의 육안적 형태와 구조를 다룬다. * 수산생명의학개론 * 세포생물학: 동물세포에서 발생하는 생명현상 * 환경분석학 (Aquatic environmental analysis) 수질 분석에 필요한 기초 지식, 개요, 기본 조작 및 분석법 등을 어장 환경과 관련된 항목 및 유해화학물질을 중심으로 학습 * 어류조직학 (Fish histology) 동물체의 각종 기관계를 구성하는 조직의 일반적 구성체계를 현미경적 및 전자현미경적 수준에서 연구 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 수산동물 [[생리학]]: 생물체의 세포, 조직, 장기 및 기관계의 일반 생리학적 기능을 다루는 교과목으로 크게 순환 호흡계 생리, 신경 및 근육생리, 내분비계 및 생식생리로 나눌 수 있다. * 어병 [[미생물학]]: 미생물의 일반적인 특성을 이해하고 수산과 관련되는 조절 기능과 병원체로서의 작용을 파악한다. * [[생화학]] * [[분자생물학]] * 어류 [[기생충학]]: 양식어류와 패류 및 갑각류에 기생하는 기생충을 종류별로 검사 및 진단할 수 있는 능력을 직접 실험을 통해 습득하도록 하는 과목이다. * 어병 승선 실습: 승선을 통하여 각종 수산동물의 양식장을 견학하고 질병 검사 등 수산 질병 현황을 체험한다. * 수산동물 양식학: 양식에 필요한 기초로서의 환경, 사료, 운반, 축양에 관한 사항, 수산동물양식 방법의 개요, 자원조성을 위한 종묘 생산 및 양성 등 실제적인 양식 기술 * 양식장 환경학: 양식장에 있어 생산생태계, 물질순환, 수질 및 저질, 자가오염, 자정작용, 환경조사 등을 통한 양식장환경의 개선대책 * 어류 바이러스학: 미생물 질병 중 바이러스 질병을 좀 더 심도있게 다룬다. * [[면역학]] * 수산 [[약리학]] * 어류 [[병리학]] * 환경성 질병학: 물리 및 화학 요인의 환경인자의 변화에 따른 수산 생물의 질병 * 수계 독성학: 독성물질과 유해물질이 수생 생물의 생리, 생태 및 생화학 변동에 미치는 독성 작용을 파악하고, 대책을 세운다. * 어병 진단학: 각종 질병을 유발시키는 미생물의 특성을 이용한 기존 진단법의 원리를 파악하고 이를 수산질병에 적용하여 그 감도, 응용범위 그리고 특성 등에 대해 강의한다. * 수산생물예방·역학 (Aquatic disease prophylaxis): 수산 동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발생 원인을 감염 경로와 요인별로 분석하고 각 요인별 특성에 따라 미생물학적 백신 활용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적절한 예방학적 대책 수립 * 어류 영양성 질병학 (Prophylaxis and epidemiology for aquatic organisms and Lab): 어류의 면역시스템과 육상동물과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수산 동물에서 발생하는 각종 질병의 원인 병원체의 특성과 감염 경로 등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백신 및 비특이적 면역증강제와 제도적 시스템 등 여러 가지 적절한 예방학적 대책 수립에 필요한 지식을 습득하게 한다. 또한 수산생물의 수입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 및 위험성에 대해 학습하는 과목이다. * 무척추동물 질병학 및 실습 (Aquatic invertebrate disease & Lab): 양식 패류와 갑각류와 같은 무척추동물에 발생하는 바이러스성, 세균성, 기생충성 질병 및 환경성 질병에 대해서 강의하고, 질병 예방과 치료 대책에 대해서 공부하는 과목이다. * 공중보건위생학 (Public health hygienics): 인간의 질병 예방 및 건강 관련 요소의 상호관계, 각 요인 분석 및 구명, 건강 장해 요인(생물학적, 물리적, 화학적, 사회적 요인), 이들의 관리 방안, 수산식품에 기인되는 각종 건강 위해 요인 및 대책 * 수산법규 (Aquatic laws): 수산업 관련 법규와 제도. * 어병임상실습 (Clinical practice) * 관상어 질병학 (Ornamental fish disease): 관상어의 질병의 원인, 원인체 및 제어 방법 등을 익히며, 이들에 대한 예방 대책 수립 능력을 배양한다. * 해조류질병학 (Seaweed disease): 천해양식의 주 대상인 해조류의 생식 · 생리 · 생태 등을 기초로 각종 유용 해조류의 양식 기술, 해조 자원 이용 방안 == [[수산질병관리사]] 국가시험 == > 수산질병관리사 국가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사람은 제37조의3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사람으로서 대학(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외국의 대학을 포함한다)에서 '''수산생물의 질병 관련 학과(수산생명의학과 등 해양수산부장관이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장과 협의하여 해양수산부령으로 정하는 대학의 학과를 말한다)를 졸업하고 학사의 학위를 받은 사람''' 또는 「독학에 의한 학위취득에 관한 법률」등에 따라 이와 같은 수준 이상의 학력을 가진 사람으로 한다. > ㅡ수산생물질병 관리법(시행 2015.1.16.)[[ http://www.law.go.kr/lsEfInfoP.do?lsiSeq=160150#|#]] 국내에서 수산질병관리사가 되려면 4년제 [[수산생명의학과]]에 입학하여 졸업하고, [[한국해양수산연수원]] 매년 1회 실시하는 시험에 합격하여, [[해양수산부]]의 면허증을 발급받아야 한다. '''시험시간 및 과목''' || 교시 || 시간 || 과목 || 문항수 || || 1교시 || 09:00 ~ 10:40 || 수산생물기초의학Ⅰ[* 수산생명의 구조와 기능(60), 수산생물용 의약품(20)] || 80 || || 2교시 || 11:05 ~ 12:45 || 수산생물기초의학Ⅱ[* 수산생물의 양식(10), 수산생물의 질병 발생인자(25), 수산생물과 공중보건(5)], 수산생물임상의학Ⅰ[* 질병예방(40)] || 80 || || || 12:45 ~ 13:45 || 점심 시간 || || || 3교시 || 13:55 ~ 15:40 || 수산생물임상의학Ⅱ[* 감염성 질병(70), 비감염성 질병(15)] || 85 || || 4교시 || 16:05 ~ 17:15 || 수산생물임상의학Ⅲ[* 질병진찰 및 진단(45)], 수산질병관련법규[* 수산생물 질병 관리법(15), 농수산물품 관리법(2), 약사법 중 수산생물용 의약품 관련규정(3)] || 65 || '''합격기준''' 다음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한다. * 4교시 시험 총 문항수 중 60%이상 득점시 합격 * 매 과목 시험 40% 미만은 과락 == 관련 자격 == * 위생사 [[http://www.kuksiwon.or.kr/Examination/OccuLicenseMain.aspx?JobCode=21|#]] * 수산양식기사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3&gSite=Q&gId=&jmCd=1625&jmInfoDivCcd=A0&gbnn=gbnSubtab1|#]][* [[해양수산부]] 공무원 일반수산직 경력경쟁 채용 자격요건, 지방직 공무원 일반수산직 가산점, 관련 공기업 가산점] * 어업생산관리기사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 [[해양수산부]] 공무원 일반수산직·어로직 경력경쟁 채용 자격요건, 지방직 공무원 일반수산직 가산점, 관련 공기업 가산점] * [[수질환경기사]] [[http://www.q-net.or.kr/crf005.do?id=crf00505&gSite=Q&gId=|#]][* [[해양수산부]] 공무원 일반수산직 경력경쟁 채용 자격요건, 지방직 공무원 일반수산직·환경직 가산점, 관련 공기업 가산점] * [[수산물품질관리사]] [[http://www.q-net.or.kr/man001.do?gSite=L&gId=72|#]] [* 자격제한이 전혀 없기 때문에 딱히 메리트가 없다는 것이 현재까지의 인식이다. 실제로 [[수협]] 내 승진용으로 취득되어지는 정도][* 다만 수산물 검역관([[비정규직 #s-2.2.3|공무직]])을 준비하는 사람이 있다면 이 자격증을 따보는 걸 추천한다, 경력직으로 뽑는 자격증인데 이 자격증이 자격증 가산점 항목에 가장 높은 점수로 책정 되어 있기 때문(그 외에는 수산질병관리사, 수의사 자격증이 15점 가산점 증정,)] * [[스킨스쿠버]] 자격증 == 가능한 진로 == * 수산질병관리원 개원 * 공무원([[해양수산부]][*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지방 해양수산청, [[국립수산과학원]]] 공무원, 지방자치단체 일반수산직 공무원, 지방자치단체 해양수산 연구사 및 어촌지도사) * 관련 공기업: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해양환경공단]], [[국립해양생물자원관]], [[국립공원공단]] 등 * [[대학원]] 진학 후 [[연구원]]: 대학[[교수]], [[해양수산부]] 연구사[*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 국립수산과학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국립보건연구원, 전국 각 지역 수산시험장, 한국생명과학연구소, 기업연구소 등 * [[교직이수]]시 [[수산고등학교|수산해양계열]] 중등교사 * 언론사: 한국수산신보사, 수산해양신문, 수산경제신문, 아쿠아인포 등 * 금융계: [[수협]]중앙회, 현대해상 등 * 대형 [[아쿠아리움]] 아쿠아리스트: [[국립해양박물관]], [[코엑스 아쿠아리움]], [[한화호텔앤드리조트|한화 아쿠아플라넷]], [[롯데월드 아쿠아리움]], [[SEA LIFE 부산아쿠아리움]] 등 * 동물약품회사: 이화팜텍, 삼양약화학, 경동약품, 두산에코비즈넷, 다원케미칼, 이-글벳, 나노피코텍, 대양신약, 대성미생물연구소, 삼우화학, 고려비엔피, 바이엘코리아, 대한뉴팜, 알켐코리아, 디앤텍, 참신약품 등 * [[사료]]회사: [[제일제당]] 마린텍, 명선해양산업, 천하제일사료, 대상사료, 고려특수사료, 무지개사료 등 * 어업손실 평가기관: [[한국부동산원]][* 다만 실제 피해액 산정은 대학 소속 연구원에 위탁한다.], 각종 감정평가법인등 * 기타 유관기관: (사)한국수산회[* 기장군 수산과학관 운영] == 개설 대학 == * [[강릉원주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경상국립대학교]] [[경상국립대학교/학부/해양과학대학|해양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2024년 신설.] * [[공주대학교]] [[공주대학교/학부/산업과학대학|산업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2024학년도에 [[수산자원학과|스마트수산자원학과]]가 개편될 예정.] * [[군산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목포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2024학년도에 [[수산자원학과|해양수산자원학과]]가 개편될 예정.] * [[부경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선문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전남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 * [[제주대학교]] [[제주대학교/학부/해양과학대학|해양과학대학]] 수산생명의학과 * [[한서대학교]] 수산생명의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