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이중가닥 DNA 바이러스]] ||<-2> '''{{{#000,#fff {{{+1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br]Varicella-zoster virus}}}'''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hingles-750x430.jpg|width=100%]]}}} || || '''병명''' ||'''[[수두]], [[대상포진]]''' || ||<-2> '''분류''' || || {{{#000 '''미분류'''}}} ||[[바이러스]] || || [[생물 분류 단계#문|{{{#000 '''문'''}}}]] || || || [[생물 분류 단계#강|{{{#000 '''강'''}}}]] || || || [[생물 분류 단계#목|{{{#000 '''목'''}}}]] ||헤르페스바이러스목 || || [[생물 분류 단계#과|{{{#000 '''과'''}}}]] ||헤르페스바이러스과 || || [[생물 분류 단계#아과|{{{#000 '''아과'''}}}]] ||알파헤르페스바이러스아과 || || [[생물 분류 단계#속|{{{#000 '''속'''}}}]] ||바리셀로바이러스(Varicellovirus) || || [[생물 분류 단계#종|{{{#000 '''종'''}}}]]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 || ||<-2> '''특징''' || || '''분포 지역''' ||전 세계 || || '''숙주''' ||사람 || || '''백신''' ||'''약독생백신''' || [목차] [clearfix] == 개요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한번 감염되면 평생 사라지지 않는다고 알려지기도 한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이다. 게놈 분석을 해보니 125,000개의 뉴클레오타이드로 구성된 선형 이중가닥 DNA 바이러스였다. == 명칭의 유래 == 가렵다는 의미의 고대 영어 ‘짓챈(giccan)’이 ‘치킨(chicken)’으로 바뀐 것이라는 설이 있지만 수두(chicken pox)라는 이름의 기원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 증상 ==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전염성이 높고 대개 [[학교]]를 통해 감염된다. 수두는 일반적으로 증상이 경미해서 대부분의 아동이 쉽게 회복하지만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임산부가 이 바이러스에 1차 감염되면 신생아에게 선천성 결손이 발생할 수 있다. 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고열]]과 [[두통]]이 생기며, 고름물집을 형성하는 울퉁불퉁하고 가려운 [[발진]]이 돋다가 나중에는 허물이 벗겨진다. 수두의 증상은 오래 가지 않지만 바이러스가 절대 사라지지 않는다. 한번 감염되면 대부분의 사람이 평생 감염 상태로 지낸다. 헤르페스바이러스처럼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는 신경에서 비활성 상태로 있다가 후에 사람이 면역력이 떨어지면 활동을 한다. 이때 활성화된 바이러스는 대상포진을 일으킨다. 대상포진에 걸리면 일반적으로 몇 주 동안 피부통증에 시달린다. 증상이 이보다 오래 가기도 하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은 짧게는 몇 년, 길게는 평생 지속될 수도 있다. 마취통증의학과에서도 난치성 통증질환으로 악명이 높으며 심한 경우 CRPS에 사용되는 척수강 내 모르핀 공급 장치나 척수자극기를 이식하기도 하고, 아예 [[CRPS]]로 발전하기도 한다. == 백신 == [[수두]]는 대개 백신을 접종하기도 전에 걸리는 소아 질환이다. 그래도 일부 국가에서는 예방 접종을 널리 보급한다. 대상포진 예방 백신은 수두와 같은 약독화된 수두-대상포진 바이러스를 백신으로 사용하는데, 더 많은 양을 투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