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함경남도의 시군)] ||||<:>{{{#white {{{+3 수동군 }}}}}}|| ||<-3><:> [include(틀:지도, 장소=북한 수동읍, 높이=250px, 너비=100%)] || 水洞郡 / Sudong-gun [목차] == 개요 == [[함경남도]] 최남단에 위치했던 군. 동쪽은 [[금야군]]과 [[고원군]] 및 [[강원도(북한)|강원도]] [[천내군]], 서쪽은 [[평안남도]] [[신양군]], 남쪽은 [[평안남도]] [[양덕군]], 북쪽은 [[요덕군]]에 접해 있었다. 인구는 2008년 기준 95,716명. == 역사 == 광복 당시 [[고원군]]의 일부였다. 1952년 북한 행정구역 개편 때 고원군 서부 지역에 해당하는 고원군 수동면(8개 리), 운곡면, 산곡면과 강원도 [[문천시|문천군]] 운림면 구덕리 일부를 분리 통합하여 [[수동군]]을 신설하였다. 수동군이라는 이름은 당시 수동읍이 위치했던 고원군 수동면에서 따온 것이다. [[1954년]]에 수동읍을 옛 산곡면 지역으로 옮겼다. [[1974년]] [[1월]] 수동군이 폐지되어 전지역이 고원군에 흡수되었으나, [[1990년]] [[12월]]에 시군급 도 직할 행정구역인 구(區)로 재분리되어 수동구가 되었다. 그 사이에 관평리가 [[요덕군]]으로 이관되었으므로 수동군의 영역과 수동구의 영역이 조금 차이가 난다. 2020년 8월 27일 기사까지는 '수동구'로 사용되었으나, 11월 11일 기사부터는 '수동군'이라고 바뀌어 표기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사이에 군으로 변경되었음이 확인되었다.[* [[청남군]] 문서에서 언급된 내용을 바탕으로 볼 때 2020년 9월 3~13일 사이에 개편된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아무래도 군급 행정구역을 굳이 구분할 필요도 없고[* 도 산하의 구역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도-시,군이나 직할시-구역이나 똑같이 2층제이기는 해도 단일한 광역행정의 필요성이 더 중요시되는 직할시의 권능이 더 클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한국의 경우도 [[자치구]]의 자치권은 시,군의 자치권보다 더 제한되어 있다.], '로동자구'의 약칭인 '구'와도 같아서 혼동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바꾼 것으로 보인다. [[청남군|청남구]] 역시 '청남군'으로 바뀌며 북한에서 군급 행정구역 '구'는 완전히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 폐지 == 2023년 3월 2일자 [[로동신문]] 보도에서 '수동과수농장' 소식을 전하면서 수동군이 폐지되어 고원군으로 재편입된 정황이 포착되었다.[* "도농촌경리위원회 '''수동과수농장'''에 달려나간 '''고원군'''의 건설자들은 기초, 골조공사와 내외부미장, 건구설치작업 등을 본격적으로 내밀어 농산작업반마을의 면모를 일신시키였다." - 당의 령도아래 펼쳐진 사회주의농촌의 새 풍경 요덕군, 고원군, 온천군, 항구구역의 농장마을들에서 살림집입사모임 진행, [[로동신문]], 2023년 3월 2일.] 이후 7월 21일자 [[조선중앙통신]] 폭염 관련 보도에서 "함경남도 고원군 수동로동자구"라는 표현이 등장하면서 수동군 폐지 및 고원군 편입이 확인되었다.[* "기상수문국에서 20일 최고기온을 관측한데 의하면 35℃이상인 지역들은 '''함경남도 고원군 수동로동자구'''(37.8℃),요덕군(35.7℃),황해남도 은천군(35.4℃),평양시 룡성구역과 평안북도 구성시,자강도 중강군(각각 35℃)이다." - 우리 나라에서 련일 나타나고있는 폭염현상, [[조선중앙통신]], 2023년 7월 21일.] == 하위 행정구역 == 아래는 수동구 시절의 행정구역이다. 2020년 군으로 변경되면서 수동동은 수동로동자구로, 나머지 동도 로동자구로 변경되었을 가능성이 크다. 군 아래에는 읍을 한 개만 둘 수 있으며, 동을 둘 수 없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편제가 수동구로 전환되기 전 수동군의 것과 동일하기도 하다. 이후 보도를 통해 원거동과 팔흥동은 원거로동자구와 팔흥로동자구로, 수동동은 수동로동자구로 개편된 것이 확인되었다. * 동 : 덕사동, 수동동, 운곡동, 원거동, 장동동, 팔흥동 * 리 : 용평리, 산곡리, 삼평리, 성남리, 성내리, 수산리, 운산리, 운흥리, 장량리, 죽전리, 천성리, 축전리, 회평리 == 교통 == 철도는 [[평라선]]과 [[고원탄광선]]이 있다. [[둔전역(평라선)|둔전역]]에서 고원탄광선이 평라선으로부터 분기한다. 그 이외에 평라선에는 [[토령역]], [[문필역]], [[성내역]], [[팔흥역]], [[축전역]]이 있고, [[고원탄광선]]에는 [[수동역]], [[덕사역]], [[장동역(고원탄광선)|장동역]]이 있다. [[분류:함경남도]][[분류:1952년 설치된 행정구역]][[분류:2023년 폐지된 행정구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