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환경부 산하기관)] ||<-2> {{{#ffffff '''{{{+2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br]'''SLC'''}}} || ||<-2> [[파일: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로고.svg|width=220]] || || {{{#ffffff '''정식 명칭'''}}}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 || {{{#ffffff '''한자 명칭'''}}} ||首都圈埋立地管理公社 || || {{{#ffffff '''영문 명칭'''}}} ||'''S'''UDOKWON '''L'''andfill Site Management '''C'''orporation || || {{{#ffffff '''국가'''}}}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 || || {{{#ffffff '''설립일'''}}} ||[[2000년]] [[7월 22일]] || || {{{#ffffff '''설립목적'''}}} ||[[수도권 매립지|수도권매립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적절한 처리와 자원화를 촉진하고,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주민을 위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이바지[br][[http://www.law.go.kr/법령/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설립및운영등에관한법률|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 || {{{#ffffff '''업종명'''}}} ||지정 외 폐기물 처리업 || || {{{#ffffff '''전신'''}}} ||'''수도권매립지운영관리조합'''[br]([[1991년]] [[11월 7일]] ~ [[2000년]] [[7월 21일]]) || || {{{#ffffff '''대표자'''}}} ||[[송병억]] || || {{{#ffffff '''주무기관'''}}}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 || || {{{#ffffff '''주요 주주'''}}} ||해당사항 없음 || || {{{#ffffff '''기업 분류'''}}} ||[[기타공공기관]] || || {{{#ffffff '''상장 여부'''}}} ||비상장기업 || || {{{#ffffff '''직원 수'''}}} ||360명^^(2021년 4분기 기준)^^ || || {{{#ffffff '''자본금'''}}} ||1,115억 759만 8,498원^^(2020년 기준)^^ || || {{{#ffffff '''매출액'''}}} ||1,917억 8,800만 314원^^(2020년 기준)^^ || || {{{#ffffff '''영업이익'''}}} ||-131억 6,287만 2,413원^^(2020년 기준)^^ || || {{{#ffffff '''순이익'''}}} ||7억 8,286만 8,502원^^(2020년 기준)^^ || || {{{#ffffff '''자산총액'''}}} ||5,207억 625만 2,160원^^(2020년 기준)^^ || || {{{#ffffff '''부채총액'''}}} ||722억 1,807만 7,488원^^(2020년 기준)^^ || || {{{#ffffff '''미션'''}}} ||'''우리는 자원순환사회를 선도하고 더 나은 삶을 위한 친환경 미래가치를 창출한다.''' || || {{{#ffffff '''비전'''}}} ||'''자원순환으로 미래 에너지와 친환경 사회를 만드는 환경전문기관''' || || {{{#ffffff '''소재지'''}}} ||'''본사'''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자원순환로]] 170 ([[백석동(인천광역시 서구)|백석동]]) || ||<-2> {{{#ffffff '''관련 웹사이트'''}}} || ||<-2> [[https://www.slc.or.kr| '''{{{#117ac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홈페이지}}}''']] || ||<-2> {{{#ffffff '''공식 SNS'''}}} || ||<-2> [[https://blog.naver.com/slcdream|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width=15]] '''{{{#117ac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블로그}}}''']][br][[https://www.youtube.com/channel/UCVMVuH8-OLHjFx-uW_Po-RQ| [[파일:유튜브 아이콘.svg|width=15]] '''{{{#117ac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유튜브}}}''']][br][[https://www.facebook.com/slcdream|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width=15]] '''{{{#117ac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페이스북}}}''']][br][[https://post.naver.com/my.nhn?memberNo=28671290|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width=15]] '''{{{#117ac9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포스트}}}''']] || ||<-2> {{{#ffffff '''공식 캐릭터'''}}} || ||<-2> [[파일: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_캐릭터.png|width=150]][br]마스코트 '랜디' & '필리' || ||<-2> {{{#ffffff '''관련 전화번호'''}}} || ||<-2> 대표전화: {{{#117ac9 '''032-560-9300'''}}} || [clearfix] ||[youtube(4QMT2QMK-hY)]|| || {{{#white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공식 홍보영상'''}}} || [[파일: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_HQ.jpg|width=500]] ▲ [[인천광역시]] [[서구(인천광역시)|서구]] [[자원순환로]] 170 ([[백석동(인천광역시 서구)|백석동]])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본사 사옥. >버려진 것의 '''새로운 가치'''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캐치프레이즈]] [목차] == 개요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1조(목적)''' 이 법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수도권 매립지|수도권매립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수도권에서 배출되는 폐기물의 적절한 처리와 자원화를 촉진하고, 수도권매립지 주변지역 주민을 위하여 쾌적한 생활환경을 조성하는 데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7조(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법인격)''' ① 수도권매립지를 환경상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를 설립한다. ② 공사는 법인으로 한다. '''제11조(유사 명칭 등의 사용 금지)''' 이 법에 따른 공사가 아닌 자는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를 위반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30조 제1항).] '''제29조(「민법」의 준용)''' 공사에 관하여 이 법 및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서 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민법」 중 [[재단|재단법인]]에 관한 규정을 준용한다.|| [[수도권 매립지]]의 관리 사업을 하는, [[대한민국 환경부|환경부]] 산하 [[기타공공기관]]. 지방자치단체조합(서울, 인천, 경기)이었던 수도권매립지운영관리조합(1991년 11월 7일 설립)의 후신으로서, 2000년 7월 22일 설립되었다. == 연혁 == * [[1989년]] [[2월 2일]]: 수도권매립지 건설 및 운영협정 체결(환경청↔3개시·도) * '''[[1991년]] [[11월 7일]]: 수도권매립지운영관리조합 설립(서울, 인천, 경기)''' * [[1992년]] [[2월 10일]]: 제1매립장 사용개시(폐기물 최초반입) * '''[[2000년]] [[7월 22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설립''' * [[2000년]] [[10월 13일]]: 제2매립장 사용개시 * [[2006년]] [[12월 12일]]: 50MW 매립가스 발전시설 준공 * [[2018년]] [[9월 3일]]: 제3-1매립장 사용개시 == 사업 == 공사는 다음 각 호의 사업을 한다(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제19조 제1항). *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처리 * 폐기물처리시설 및 이에 부속되는 시설의 설치·관리 * 폐기물을 자원화하기 위한 시설의 설치 및 운영 * 주민 지원 기금의 조성 및 주변 영향 지역에 대한 지원 * 다음 각 목의 결정 및 징수 * 수도권매립지에 반입되는 폐기물의 처리에 필요한 반입수수료 * 「폐기물처리시설 설치촉진 및 주변지역지원 등에 관한 법률」 제8조에 따른 가산금 * 시·도지사, 시장·군수·자치구청장 또는 수도권매립지에 폐기물을 반입하는 자로부터 징수하는 폐기물처리시설의 설치에 필요한 [[부담금]] * 수도권매립지 및 주변지역의 환경 관리 * 오염방지시설의 설치 및 관리 * 복토용 흙과 모래를 확보하기 위한 취토장(取土場)의 개발 및 운영 * 수도권매립지의 사후 관리 * 수도권매립지 안의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제4호에 따른 공원시설,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체육시설, 「문화예술진흥법」 제2조제1항제3호에 따른 문화시설 등의 설치 및 운영 * 그 밖에 수도권매립지의 설치·관리와 관련하여 국가나 지방자치단체로부터 위탁받은 업무 * 이상의 사업을 위한 조사·연구, 기술개발, 설계, 책임감리, 환경오염물질의 측정·분석 및 기술지원 등 부수(附隨)된 업무 공사는 위 사업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위 사업과 관련된 사업에 출자하거나 출연(出捐)할 수 있으며(같은 조 제2항), 환경부장관의 승인을 받아 사업을 위탁할 수 있다(같은 조 제3항). == 사건·사고 == === [[내부고발]]자 보복 사건 ===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의 비리 의혹을 제보한 공익신고자들이 곧바로 제보 사실이 공사 측에 전달되면서 도리어 해고 등의 인사 보복을 당한 사건.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114771|#]] 이후에 해당 내부고발자의 정보를 공사 측에 빼넘긴 새누리당 비서관은 해당 공사의 2급 전문 위원[* 2급은 부장급에 해당되며 20년 이상을 근무해야 앉을 수 있는 자리. 연봉은 약 7500~8500.]으로 특채되었다. [[http://www.viewsnnews.com/article/view.jsp?seq=115427|#]] === [[문재인 정부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문재인 정부의 환경부 블랙리스트)] === 신창현 사장의 갑질 및 폭언 === 9대 사장인 신창현 전 국회의원이 사장 취임이래 폭언과 갑질로 논란이 있었고, 이에 따른 징계로 2022년 12월에 해임되는 사건이 있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21229147900065?input=1195m|#]] == 역대 사장 == [include(틀: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사장)] == 관련 문서 == * [[수도권 매립지]] * [[드림파크 야생화공원]] [[분류:2000년 기업]][[분류:기타공공기관]][[분류:특수법인]][[분류:대한민국 환경부]][[분류:인천광역시의 기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