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일본의 도시권)] ||<-4> '''{{{#fff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2 수도권}}}[br][ruby(首, ruby=しゅ)][ruby(都, ruby=と)][ruby(圏, ruby=けん)] | Greater Tokyo Area}}}'''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일본 수도권 지도.png|width=100%]]}}} || ||<-4> '''{{{#199332 지도}}}''' || ||<-4> '''[[위치|{{{#199332 위치}}}]]'''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 '''[[도쿄도|{{{#199332 도쿄도}}}]]''' ||<-3> [[도쿄도]] || ||<-1>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3> [[도쿄도]], [[가나가와현]], [[사이타마현]], [[치바현]] || ||<-1> '''[[간토|{{{#199332 간토}}}]]''' ||<-3> [[간토]] || ||<-1> '''[[수도권(일본)|{{{#199332 수도권}}}]]''' ||<-3> [[간토|간토 전역]], [[주부(일본)|주부]] [[야마나시현|야마나시현]] ||}}}}}}}}} || ||<-4> '''[[면적|{{{#199332 면적}}}]]'''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 '''[[도쿄도|{{{#199332 도쿄도}}}]]''' ||<-3> 2,193.96㎢[*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3> 13,565.13㎢[*2019] || ||<-1> '''[[간토|{{{#199332 간토}}}]]''' ||<-3> 32,432.69㎢[*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수도권}}}]]''' ||<-3> 36,897.96㎢[*2019] ||}}}}}}}}} || ||<-4> '''[[인구|{{{#199332 인구}}}]]'''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 '''[[도쿄도|{{{#199332 도쿄도}}}]]''' ||<-3> 13,963,751명[*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3> 36,795,327명[*2019] || ||<-1> '''[[간토|{{{#199332 간토}}}]]''' ||<-3> 43,512,195명[*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수도권}}}]]''' ||<-3> 44,323,128명[*2019] ||}}}}}}}}} || ||<-4> '''[[인구 밀도|{{{#199332 인구 밀도}}}]]'''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 '''[[도쿄도|{{{#199332 도쿄도}}}]]''' ||<-3> 약 6,364.63명/㎢[*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3> 약 2,712.49명/㎢[*2019] || ||<-1> '''[[간토|{{{#199332 간토}}}]]''' ||<-3> 약 1,341.61명/㎢[*2019] || ||<-1> '''[[수도권(일본)|{{{#199332 수도권}}}]]''' ||<-3> 약 1,201.23명/㎢[*2019] ||}}}}}}}}} || ||<-4> '''[[경제|{{{#199332 경제}}}]]'''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2> '''[[도쿄도|{{{#199332 도쿄도}}}]]''' ||<-1> '''[[국내총생산|{{{#199332 명목[br]GDP}}}]]''' ||<-2> 약 $9,701억[*2018] || ||<-1> '''[[1인당GDP|{{{#199332 1인당 GDP}}}]]''' ||<-2> $70,146[*2018] || ||<-1><|2>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1> '''[[국내총생산|{{{#199332 명목[br]GDP}}}]]''' ||<-2> 약 $1조 6,954억[*2018] || ||<-1> '''[[1인당GDP|{{{#199332 1인당 GDP}}}]]''' ||<-2> $46,305[*2018] || ||<-1><|2> '''[[간토|{{{#199332 간토}}}]]''' ||<-1> '''[[국내총생산|{{{#199332 명목[br]GDP}}}]]''' ||<-2> 약 $1조 9,889억[*2018] || ||<-1> '''[[1인당GDP|{{{#199332 1인당 GDP}}}]]''' ||<-2> $45,828[*2018] || ||<-1><|2> '''[[수도권(일본)|{{{#199332 수도권}}}]]''' ||<-1> '''[[국내총생산|{{{#199332 명목[br]GDP}}}]]''' ||<-2> 약 $2조 213억[*2018] || ||<-1> '''[[1인당GDP|{{{#199332 1인당 GDP}}}]]''' ||<-2> $45,713[*2018] ||}}}}}}}}} || ||<-4> '''[[행정구역|{{{#199332 행정구역}}}]]''' || ||<-4> {{{#!wiki style="margin: 0 -1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 -11px" ||<-1><|8> '''{{{#199332 수도권}}}''' ||<-1> '''[[도쿄도|{{{#199332 도쿄}}}]]''' ||<-2> [[도쿄도]] || ||<-1><|3> '''[[수도권(일본)|{{{#199332 광역권}}}]]''' ||<-2> [[가나가와현]] || ||<-2> [[사이타마현]] || ||<-2> [[치바현]] || ||<-1><|3> '''[[간토|{{{#199332 간토}}}]]''' ||<-2> [[군마현]] || ||<-2> [[도치기현]] || ||<-2> [[이바라키현]] || ||<-1> '''[[주부(일본)|{{{#199332 주부}}}]]''' ||<-2> [[야마나시현]] ||}}}}}}}}} || [목차] [clearfix] == 개요 == [[일본]]의 [[수도권]](일본어: [ruby(首,ruby=しゅ)][ruby(都,ruby=と)][ruby(圏,ruby=けん)], ''{{{-1 Shutoken}}}'')은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대도시권으로, 일반적으로 [[도쿄도]]를 중심으로 한 [[간토]] 지방을 가리킨다. [[1956년]] 일본의 '수도권정비법([ruby(首,ruby=しゅ)][ruby(都,ruby=と)][ruby(圏,ruby=けん)][ruby(整,ruby=せい)][ruby(備,ruby=び)][ruby(法,ruby=ほう)])'에 의하면, 일본의 수도권은 '''[[간토]] 지방 전체와 [[주부(일본)|주부]] 지방의 [[야마나시현]]'''을 그 범위로 하고 있다. 보통 '간토'와 '일본의 수도권'이 혼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 규모 == [[2020년]]의 추계인구는 '''44,322,298명'''으로 '''일본 인구의 35% 이상'''이 수도권에 거주한다. 수도권 집중이 50%에 달하는 한국보다는 비율상 덜하지만 일본 역시 세계적 기준으로 수도권 집중 현상이 강한 편이다. 명목 GDP는 2019년 기준 2조 154억 달러 이상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세계 8위 경제 대국인 [[이탈리아]]의 명목 GDP를 능가하는 엄청난 수치다. 또한 '''세계 도시권 중 유일하게 GDP 2조 달러를 넘는''' 지역이다. 그야말로 인구나 경제나 세계 최대 규모의 경제권이라 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대한민국 수도권]]과 일본 수도권을 그 나라의 최대 도시권이자 수도라는 이유로 비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인구 2,600만여 명인 한국 수도권은 4,400만여 명인 일본 수도권보다는 일본 제2의 도시권인 [[간사이]](2,220만여 명)와 규모적으로 더 비슷하다.][* [[인도]]의 [[델리]] 광역 수도권이 4800만명으로 세계 1위다. 다만 수도권의 정의를 좀 더 낮추면 더 많은 곳이 있는데, 예로 [[방글라데시]]의 수도 [[다카(방글라데시)|다카]] 구로 면적 2만km^^2^^에 인구 4,700만을 자랑한다. 그 외 파키스탄이나 이집트, 인도네시아 등도 수도권의 정의가 모호하여 확실히 정립되지 않을 뿐, 각자 최대도시의 인근 위성도시들을 합산하면 간토 지방만큼 거대하다. 다만 이들 국가는 경제력이 심히 낙후되어 세계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세계 최대 도시권으로 일본 수도권을 꼽는 경우가 많다. ] 특히 경제 규모에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는 세계 최대의 경제권이다. 이렇게 경제력이 지나치게 집중되어있다보니 수도를 옮기자는 말도 종종 나오지만, 이렇다 할 움직임은 없다. 국가 전체가 아닌 하나의 광역권임에도 불구하고 그 인구와 경제 규모가 실로 거대하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일본의 국토 대비 산지 비율이 70%에 달하는데다 산지 자체도 훨씬 깊고 가팔라 대부분의 인구가 해안 지대에 거주하는데, 간토 지역에는 특히 일본 2위 면적의 평야인 [[토카치 평야]]에 비해서도 4~5배에 이르는 대규모의 [[간토 평야]]가 자리잡고 있어 여기에 수도권이 자리잡으면서 인구가 어마어마하게 집중되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19세기부터 인구가 유입되어 시가지가 [[도시연담화|연담화]]되었기 때문에 한국 수도권과 비교해보면 공원녹지의 비중이 적다. [[파일:도쿄광역권 경제.png|width=80%]] ▲ 2014년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에서 조사한 일본 수도권의 경제 규모. GDP(국내총생산)가 '''1조 6,167억 달러'''로 '''세계 1위'''이다. 2위인 [[뉴욕주|뉴욕 도시권]]과 함께 GDP가 1조 달러를 넘는 지역이다. 동일 조사에서 3위를 기록한 [[로스 앤젤레스]] 도시권이나 4위를 기록한 [[수도권(대한민국)|한국 수도권]]과 비교해도 거의 2배 수준인 실로 엄청난 경제력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이외 미국 CCGA에서 수도권과 국가 GDP들을 모두 포함해 비교조사한 결과를 보더라도 2014년 기준 전세계 '''국가'''들까지 포함해도 14위권의 엄청난 경제 규모를 자랑한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10/21/0200000000AKR20161021112900009.HTML?input=1195m|#]] 참고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경제 규모를 갖춘 뉴욕 도시권은 19위, 한국 수도권은 28위를 기록하였다.] == 스포츠 == === 야구 ===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강력한 [[텃밭]].''' 수도권의 야구팀은 [[요미우리 자이언츠]],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 [[요코하마 DeNA 베이스타즈]], [[치바 롯데 마린즈]],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 5개 있는데 워낙 요미우리 자이언츠의 인기가 높다 보니 다른 팀 팬들을 모두 합쳐도 요미우리 자이언츠 팬보다 적다. 과거 [[홋카이도 닛폰햄 파이터즈]]도 수도권에 있었으나 같은 홈구장을 쓰는 [[요미우리 자이언츠]]보다 관중 수가 적어서 2004년 홋카이도로 연고지를 이전했다. === 축구 === 2023년 시즌 기준으로 일본의 1부 축구리그인 [[J1리그]]에 있는 구단은 [[FC 도쿄]],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가와사키 프론탈레]], [[카시와 레이솔]],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요코하마 FC]], [[쇼난 벨마레]], [[가시마 앤틀러스]]가 있다. K리그와 마찬가지로 승강제를 시행하기 때문에 J1리그 참가구단은 매년 달라질수 있다. 이 중에서 가장 높은 인기를 자랑하는 것은 바로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는 경기당 평균관중 3만여명으로 일본 수도권 뿐만이 아니라 '''J리그 전체를 대표하는 최고의 인기 축구단'''이다. 이러한 영향과 사이타마 소재 야구단인 [[사이타마 세이부 라이온즈]]가 상대적으로 비인기 팀[* 비인기 팀이라고는 하지만, 평균관중 2만명 가량을 기록하고 있다. NPB 12개 구단 중 11위니 상대적으로 비인기 팀인 것은 맞지만...]이라는 점으로 인해 사이타마는 일본에서 보기 드물게 야구보다 축구의 인기가 더 높은 지역으로 유명하다. 그 외에는 FC 도쿄, 요코하마 F. 마리노스, 가와사키 프론탈레, 가시마 앤틀러스가 평균관중 10위권 내에 들어가있다. === 농구 === == 도시별 행정구역 == ===# [[도쿄도]] #=== [include(틀:도쿄도의 행정구역)] [include(틀:도쿄도의 특별구)] [include(틀:도쿄도의 시)] [include(틀:도쿄도의 정과 촌)] [include(틀:도쿄도의 도서부)] ===# [[가나가와현]] #=== [include(틀:가나가와현의 시정촌)] ===# [[군마현]] #=== [include(틀:군마현의 시정촌)] ===# [[도치기현]] #=== [include(틀:도치기현의 시정촌)] ===# [[사이타마현]] #=== [include(틀:사이타마현의 시정촌)] ===# [[야마나시현]] #=== [include(틀:야마나시현의 시정촌)] ===# [[이바라키현]] #=== [include(틀:이바라키현의 시정촌)] ===# [[치바현]] #=== [include(틀:치바현의 시정촌)] == 주요 인프라 == === 도로 === * [[수도고속도로]] * [[수도고속 도심환상선]] * [[수도고속 중앙환상선]] * [[도쿄외환자동차도]] * [[도메이고속도로]] * [[주오자동차도]] * [[도호쿠자동차도]] * 조반자동차도 * 히가시간토자동차도 === 철도 === [[파일:Screenshot_2020-01-01 Greater Tokyo Railway Network.jpg]] 해당 노선도의 상세 확대는 링크 참조[[https://www.flickr.com/photos/kzaral/3373021846/sizes/o/|#]] 일본 도쿄를 중심으로 한 수도권 전체의 전철•지하철 노선은 어마어마하게 많다. 도쿄도 내의 전철 노선수만 '''약 60개 이상'''으로, 일본 수도권 전체 간토 지역의 전철 노선수는 무려 '''100개가 넘는다.''' 이런 전철수는 세계 어느 도시권과 비교해도 [[넘사벽]]인 수준.[* 일본 수도권의 철도 연장은 [[신칸센]]을 제외하면 4,200km 수준으로, 면적이 비슷한 [[프랑스]] [[파리(프랑스)|파리]] 광역권([[일드프랑스]])의 2,200km(지하철, 트램 포함)의 두 배에 달한다.] 이는 일본 철도의 역사가 서구에 크게 뒤지지 않을 정도로 길며[* 위키백과에 의하면 일본 [[도카이도 본선|최초의 철도]]는 1872년 10월 14일, [[긴자선|지하철]]은 1927년 12월 30일부터 최초 영업을 시작하였다고 한다. 참고로 한국의 경우 경인선이 1899년 9월 18일, 서울 지하철 1호선이 1974년 8월 15일 처음 개통하였다. 다만 일제 시기인 1939년 경춘철도주식회사가 사철로 경성에 지하철을 건설할 계획은 있었다. 하지만 전쟁으로 인한 자금 부족으로 결국 실행되진 못했다.] 인구밀도가 높고[* 도쿄의 광역인구는 유럽 최대 도시권인 런던, 파리, 모스크바의 2~4배에 달하며, 심지어 위성도시가 자체적으로 도시철도를 구축한 것도 두 곳 있다.] 세계적으로도 드물 정도로 [[사철(철도)|민간에 의한 교외노선]]이 발달한 영향이 크다. 실제 유럽 도시의 경우 도시 자체의 철도 밀도는 높지만[* 가령 도쿄도의 2/3 정도의 면적과 인구를 보유한 [[그레이터 런던]]은 지하철 400km를 포함해 시내의 철도망이 1천 km를 상회하며 도쿄와 비슷한 수준이 된다. 실제로 유럽의 대도시는 화물경유 등의 이유로 여객 운송을 하지 않는 우회 노선이 많이 발달해 있는데, 도쿄가 우회노선 자체는 그다지 발달하지 않았고 있는 선로는 싹싹 긁어 통근 운송에 활용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광역권의 밀도가 현격히 낮다. --덕분에 [[거미]]줄같다 못해 [[거미줄]]을 넘어서버렸다.-- --도쿄 23구 어디에 살아도 역세권인 수준-- [[뉴욕 지하철|뉴욕]], [[모스크바 지하철|모스크바]], [[베이징 지하철|베이징]], [[상하이 지하철]]은 말할 것도 없고, 한국 [[수도권 전철]]도 날이 갈수록 [[멘탈 붕괴]]를 일으키게 할 정도로 복잡해지고 있지만, 아직은 20여개인 한국 수도권 전철 노선과 비교하면 서울에 사는 사람들조차 일본 수도권 전철 노선도엔 기절초풍할 수 밖에 없다. 한편, 저 수많은 노선이 죄다 지하로 다니는 것은 아니라서, 일본에 가보면 일본 도시풍경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도심 내 고가철교를 굉장히 자주 볼 수 있다. 2~3층으로 겹겹이 쌓여있거나 교차하는 곳도 매우 많다. * [[JR 동일본]] * [[도부 철도]] * [[세이부 철도]] * [[케이세이 전철]] * [[신케이세이 전철]] * [[케이오 전철]] * [[오다큐 전철]] * [[도큐 전철]] * [[케이큐 전철]] * [[사가미 철도]] * [[도쿄메트로]] * [[도쿄도 교통국]] * [[요코하마 시영 지하철]] * [[츠쿠바 익스프레스]] === 항구 === * 도쿄항 * 지바항 * 기사라즈항 * 가와사키항 * 요코하마항 * 요코스카항 === 공항 === * [[나리타 국제공항]] * [[도쿄 국제공항]] * [[이바라키 공항]] [[분류:일본의 지역구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