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ffffff {{{+5 Shouwang}}}}}}''' [br] {{{#ffffff 쇼우왕}}} || ||<-2> [[파일:쇼우왕 브랜드 로고.png|width=270px]] || || '''{{{#fff 정식 명칭}}}''' || 首望 || || '''{{{#fff 영문 명칭}}}''' || Shouwang || || '''{{{#fff 한국어 명칭}}}''' || 쇼우왕 || || '''{{{#fff 설립일}}}''' || [[2011년]] || || '''{{{#fff 본사 소재지}}}'''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5]] [[중국]], [[베이징]] || || '''{{{#fff 업종}}}''' || 자동차 제조업 || [목차] [clearfix] == 개요 == [[현대자동차]]의 중국 법인인 [[베이징현대]]에서 [[2010년대]]에 런칭했던 --허수아비-- 자동차 브랜드였다. == 상세 == 2011년 [[광저우 모터쇼]] 처음 런칭이 이루어졌으며, [[중국]] 시장 내에서 [[혼다]]가 [[에베루스]]/[[시모]], [[제너럴 모터스]]에서 [[바오준]], [[둥펑]] [[닛산]]의 [[베누시아]]처럼 산하 브랜드들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현대차 역시 이에 대응하기 위해 개발한 브랜드였다.[* 이는 [[중국 정부]] 측에서 자동차 브랜드에게 [[중국]] 현지 브랜드 창설을 요구했기 때문에 울며 겨자먹기로 만들었다는 부분이 지배적이다.]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와는 다르게 염가 브랜드로 포지셔닝을 했으며, 일부 차종은 해당 브랜드를 통해 수출할 계획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승승장구해서 [[한국GM]]을 대체하는 차량 개발 기지로 성장한 [[바오준]]과는 다르게 해당 브랜드는 처참히 실패했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폭스바겐]]에서 탄투스와 카일리 브랜드를 만들기도 했지만 쇼우왕과 같은 운명을 맞기도 했다. [[현대자동차그룹]] 창사 이래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보다 훨씬 더 이전에 만들어진 브랜드긴 했으며, 중형 세단 컨셉트카인 BHCD-1을 공개하기도 했지만, 실제로 만든 차량은 [[아반떼 XD|현대 아반떼 XD]] 중국 사양인 이란터를 기반으로 만든 전기차 정도만 만들어 냈고 이마저도 출시가 됐는지 불분명하다. 현대차 로고와 다르게 V자 형상 로고가 적용되며, [[베이징현대]] 레터링과 쇼우왕 브랜드 레터링이 함께 적용된 것이 특징이다. 재밌는 것은 차량의 어원이 [[중국어]]로 '최초'라고 한다. 그런데 [[제네시스(자동차)|제네시스]] 역시 '창세기'라는 이름을 가지고 있으며, 쇼우왕 브랜드 런칭 10년 후에 捷尼赛思라는 이름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했다. [[기아기차유한공사]] 버전으로는 [[화치]] 브랜드가 있으며, 쇼우왕 브랜드와는 다르게 여기서는 [[기아 쎄라토]] 중국 사양을 현대화해 우려먹은 전기차 [[화치 300E]]를 2020년까지 생산한 바가 있다. 어용 브랜드로 끝나긴 했지만 [[혼다]]의 [[시모]]나 [[에베루스]]처럼 사장된 듯한 브랜드도 신차를 내고 다시 진출했던 전력이 있기에 화치나 쇼우왕 브랜드 역시 마음만 먹는다면 다시 내놓을 가능성이 있을 수 있지만, 중국 시장에서 [[현대자동차그룹]]의 판매량이 매우 부진한 관계로 사업을 점차 축소하고 있어 그럴 가능성이 있을지는 미지수다. == 생산차량 == * [[쇼우왕 500e]] - 2013년 즈음에 공개됐다. [[분류:현대자동차]][[분류:중국의 자동차 제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