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a348b 0%, #4a348b 20%, #4a348b 80%, #4a348b)" '''{{{#fff 대한민국 제헌 국회의원}}}[br]{{{#fff {{{+1 송필만}}}[br]宋必滿}}}'''}}}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송필만.jpg|width=100%]]}}} || ||<|2> '''출생''' ||[[1890년]]|| ||[[충청북도]] [[진천군]] || ||<|2> '''사망''' ||[[1978년]] [[7월 23일]] (향년 88세) ||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동(서울)|창전동]] || || '''본관''' ||[[여산 송씨]] || || '''호''' ||명고(鳴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가]], 법학자, [[정치인]]이다. 본관은 [[여산 송씨|여산]](礪山), 호는 명고(鳴皐)이다. == 생애 == 1890년 [[경기도]] 음죽현 동면 풍계리(현 [[이천시]] [[장호원읍]] 풍계리)에서 태어났다. 이후 [[충청북도]] [[진천군]]으로 이주하여 성장하였다. [[일본]] 세이소쿠가쿠엔(正則學園)고등학교와 [[주오대학]] [[법학과|법과]]를 졸업하고, [[미국]] [[아메리칸 대학교]]에서 유학하였다. 1919년부터 [[연희전문학교]] 법률과 [[교수]]를 지냈다. 1923년 한국독립동지회 중앙부 총무로 [[태평양잡지]]를 발행하였다. [[8.15 광복]] 후 [[한국민주당]] 창당에 참여하여 충청북도당 위원장을 지냈다. 1948년 [[제헌 국회의원 선거]]에서 [[한국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국회]]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 부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후보로 [[충청북도]] 진천군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무소속]] [[이충환]]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60년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당(1955년)|민주당]] 후보로 충청북도 [[대한민국 참의원|참의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72년 [[제헌동지회]] 회원으로 10월 유신을 지지하는 성명 발표에 참여하기도 했다. 1978년 7월 23일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동(서울)|창전동]] 자택에서 [[숙환]]으로 [[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aver?articleId=197807240032920701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78-07-24&officeId=00032&pageNo=7&printNo=10097&publishType=00020|별세했다]].[* 당시 주소지인 마포구 창전동 27-36번지에는 현재 [[http://naver.me/xevN1LTF|마포웨스트리버 태영데시앙아파트]]가 들어서있다.] == [[제헌 국회]] 활동 == * 1948년 8월 5일 반민처벌법 기초위원으로 뽑혔다. * 1948년 10월 11일 반민특위 충청북도 조사위원으로 호선 되었으나 [[김재학(정치인)|김재학]] 의원과 함께 최종적으로 부결되었다. == 둘러보기 == [include(틀:제헌 국회의원/충청북도)] [include(틀:초대 참의원/충청북도)] [[분류:이천시 출신 인물]][[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제헌 국회의원]][[분류:초대 참의원의원]][[분류:한국민주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1955년) 국회의원]][[분류:신민당(1960년) 국회의원]][[분류:1890년 출생]][[분류:1978년 사망]][[분류:여산 송씨]][[분류:주오대학 출신]][[분류:사회과학 교수]][[분류:연세대학교 재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