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구 역사 송정역, rd1=송정정거장)] ||<-3> {{{+2 '''송정역'''}}} || ||<-3> [[동해선 광역전철|[[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30]]]] || || [[부전역(동해선)|{{{#!html
부전 방면}}}]][[신해운대역|신해운대]][br]← 2.9 ㎞ || [[동해선 광역전철|{{{#!html
동해선
(K121)
}}}]] || [[태화강역|{{{#!html
태화강 방면}}}]] [[오시리아역|오시리아]] [br]1.1 ㎞ → || ||<-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도시철도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 [[부산 도시철도 2호선|[[파일:Busan2.svg|width=30]]]] || || [[동부산관광단지역|{{{#!html
동부산관광단지 방면}}}]]--[[동부산관광단지역|{{{-1 동부산관광단지}}}]]--[br]←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html
2호선
(계획중)
}}}]] || [[양산종합운동장역|{{{#!html
양산종합운동장 방면}}}]]--[[장산역|장 산]]--[br]㎞ → ||}}}}}}}}} || ||<-3>{{{#!wiki style="margin: -6px -10px -5px" [include(틀:지도, 장소=동해선 송정역, 너비=100%, 높이=100%)]}}} || ||<-3> '''역명 표기''' || || [[동해선]] ||<|2><-2> '''송정'''[br]{{{-2 Songjeong[br]松亭 / ソンジョン}}} || || [[동해선 광역전철|{{{#fff 동해선}}}]] || ||<-3> '''주소''' || ||<-3>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 ||<-3>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1147[br](舊 [[송정동(해운대구)|송정동]] 121-1) || ##||<-3>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 ##||<-3> 미정 || ||<-3> '''관리역 등급''' || ||<-3>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 ||<-3> [[무배치간이역]] ([[거제역|거제그룹]] 소속 / [[코레일네트웍스#광역철도|KN 광역사업처]])[br]([[부전역(동해선)|부전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부산경남본부) || ||<-3> '''운영 기관'''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2> [[한국철도공사]]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부산교통공사]] || ||<-3> '''개업일''' || || [[동해선]] ||<-2> 1934년 12월 16일[* 2013년 12월 2일 현 위치로 이전.]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2> 2016년 12월 30일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2029년 예정 || ||<-3> '''역사 구조'''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2> 지상 2층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2> 미정 || ||<-3> '''승강장 구조''' || ||<-3>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선}}}]] || ||<-3> 2면 '''13선''' [[쌍섬식 승강장]] (횡단 가능) || ||<-3>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호선}}}]] || ||<-3> 미정 || ||<-3> '''철도거리표''' || || [[부산진역(경부선)|{{{#!html
부산진 방면}}}]][[신해운대역|신해운대]][br]← 2.9 ㎞ || '''[[동해선]]'''[br]송 정 || [[영덕역|{{{#!html
영덕 방면}}}]][[오시리아역|오시리아]] [br]1.1 ㎞ → || [목차] [clearfix] == 개요 == >'''사계절 해양휴양지 송정해수욕장의 관문''' >송정역은 1934년 12월 16일 역원을 배치하지 않은 간이역으로 영업을 시작하여 역사 건립 후 1941년 6월 1일 보통역으로 승격되었다. 부산에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철도역사로 1940년 12월에 지어진 목조 단층 기와지붕이다. 2006년 건축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등록문화재 제302호로 지정되었는데, 건물만 등록문화재로 인정받은 것이 아니라 역사 좌우 각 150m의 선로도 포함되었다. 동해선 광역철도가 개통에 따라 2013년 12월 2일 현대식 역사로 신축이전 하였다. 사계절 해양레저의 명소인 송정해수욕장의 관문으로 개방감과 자연채광이 돋보이는 세련미를 자랑한다. >----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동해선 광역전철]] K121번.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해운대로]] 1147 ([[송정동(해운대구)|송정동]]) 소재. 구 역사는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송정중앙로(부산)|송정중앙로]]8번길 60에 있으며, [[부산광역시]] 동남쪽 끝에 자리잡고 있다. 인근에 관광철도인 [[해운대 블루라인파크]] 송정역이 있다. 이 역은 옛 동해남부선 송정역의 일부를 개조해 쓰는 곳으로 이름은 같지만 700m 정도 떨어져 있다. == 역 정보 == === [[동해선 광역전철]] === ||[[파일:송정역(부산).jpg|width=100%]]||[[파일:구 송정역.jpg|width=100%]]|| || 현 역사 || 구 역사[* 지금은 역명판이 바뀌어 [[해운대 블루라인파크|해변열차]]가 여기서 다닌다.] || ||[[파일:송정역(부산) 개찰구.jpg|width=100%]]||[[파일:songjeong3.jpg|width=100%]]|| || 개찰구 || 내부 모습 || 2014년 1월 24일에 개정된 열차운전시행세칙 제8조에 따라 신해운대역에서 담당하던 운전취급 기능을 넘겨받았다. 따라서 이 역이 해운대역(현 신해운대역)과 수영역(현 센텀역)의 운전취급을 담당하였다. 이와 동시에 1명 근무지정역에서 해제되었었다. 부산광역시 대학교 MT의 성지로, 휴가철이 겹치면 평소에는 일일 이용객 수도 적고 열차 정차편 수도 적으나 [[여름]]철만 되면 폭발적으로 수요가 늘어난다.[* 구 역사 시절때 여름방학 기간 한정으로 새마을호도 지원 정차를 하였다.] 인근에 자리한 [[송정해수욕장]] 때문. 이설로 약간 멀어졌다고는 하지만 [[신해운대역]]과 [[해운대해수욕장]]의 관계와 달리 걸어서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거리다.(도보로 15분 이내 도착)[* 사실 도로 하나 차이다.] 송정동 주민센터 청사가 신축공사에 들어가면서 완공될 때까지 종합민원과 동대본부 업무 등을 신 역사에서 처리했던 시절이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202_0013331571&cID=10811&pID=10800|있었다.]] 2015년 12월 30일에 완공되면서 주민센터는 신 청사로 이전했다.[[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563832|#기사 링크]] [[부전역(동해선)|부전역]], [[좌천역(동해선)|좌천역]]과 더불어 [[동해선]] 화물 취급을 실시할 예정이다. 서쪽에는 컨테이너 야적장이 마련되어 있다. 현재는 종종 [[도담역|도담]] - 송정간 시멘트 화물 하차장으로 이용되곤 한다. 2016년 12월 시각표 개정으로 12월 9일부터 여객 취급을 중단하였다. 2016년 12월 30일부터 동해선 광역전철만 정차하고 있으며,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다. 동시에 운전취급역 대상에서도 배제된 것으로 보인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의 연장선인 [[오시리아선]]이 해당 역을 경유하는 것으로 결정됨으로써, 2호선과 동해선의 두 번째 환승역이 된다.[* [[부전-마산 복선전철]]까지 포함하면 [[사상역]]에 이어 3번째로 2호선과 환승하게 되는 역이다.] 신해운대 역의 경우 신시가지 주민들이 버스로 완전히 연계를 못하고 있어 장산역을 이용, 본역에서 동해선 환승을하여 수요가 늘 가능성이 높다. 청강리공영차고지행 버스들중 오시리아 관광단지 경유를 위해 송정중앙로를 경유하는 버스를 제외하고 모든 버스가 본 역을 연계하나, 출퇴근시에는 위쪽의 고속도로나 본 도로나 모두 정체가 극심한 상태로, 연계는 제대로 되지않고 있다. === 역사 === 옛 송정역 - 옛 해운대역간의 [[청사포]] 철길은 바닷가 [[절벽]]을 따라서 기차가 운행하기 때문에, 열차 내에서 [[바다]]를 볼 수 있는 구간 중 하나였고 [[출사]] [[포인트]]로도 각광받는 곳이었으나 [[2013년]] [[12월 2일]]자로 선로가 이설되어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됐다. 여러모로 아쉬운 부분. 참고로 [[동해]]가 들어가는 노선 이름과 달리 동해선 열차에서 바로 옆으로 바다를 끼고 계속 달리는 구간은 의외로 거의 없다. 이 청사포 철길이 폐선되면서 바다를 끼는 구간은 [[좌천역(동해선)|좌천역]]~[[월내역]] 구간 정도밖에 없다. 대신 이 구간은 산책로로 탈바꿈되어 걸어다니면서 드넓은 바다 풍경을 조망할 수 있다! 옛 송정역에서 시작되어 구덕포[* [[송정해수욕장]]과 바로 인접해 있다.]~[[청사포]]~[[미포(지명)|미포]]까지 이어진다.[* 단, 해가 지고 난 후에는 깜깜하고 어두워서 위험하다.] [[박화요비|화요비]]의 "남자는 모른다" [[https://www.youtube.com/watch?v=IAAFcu1Fulw|뮤직비디오]]에도 구 역사와 인근 대변항, 정관보건지소 등이 나온다. [[2013년]] [[12월 2일]]에 이설된 송정역은 동일주유소 건너편에 위치하고 있다. [[태화강역]]으로 가는 광역전철이 개통되면 일반열차는 취급하지 않고 [[동해선 광역전철]]만 취급할 예정이다. 그래서 [[용산선]]을 지하화 하면서 새롭게 지상 승강장을 만들기 전에 임시로 [[고상홈]]을 설치했었던 [[가좌역]]과 반대로 [[고상홈]] 끄트머리에다가 임시로 [[저상홈]]을 만들어 놨었다.[* 비슷한 선례로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평내호평역]]이 있다.] 현재는 철거한 상태다.[[http://gall.dcinside.com/board/view/?id=train&no=891005|링크]] 복선 전철화 사업으로 이전되면서 대중교통 접근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다. 구 역사는 송정해수욕장과는 가까웠으나 [[해운대로]]에서의 접근이 사실상 불가능했고, 진입로가 1차선인데다 연계되는 [[시내버스]] 노선도 없는 민박촌 골목길 한가운데 있어 헤매기 딱 좋은 자리였지만, 신 역사는 [[해운대로]] 바로 옆에 건설되어 [[급행버스]]를 제외한 [[청강리공영차고지]]가 기점인 모든 [[부산 시내버스]]와 연계된다. 바로 앞에 있는 버스정류장은 급행버스가 서지 않으므로 [[부산 버스 1001|1001번]], [[부산 버스 1003|1003번]]을 타고 왔다면 송정해수욕장입구나 송정2휴먼시아 정류장에서 걸어와야 한다. 역사 이전으로 [[송정해수욕장]]과의 접근성이 조금 떨어지긴 했으나, 도보로 2~3분 정도 차이밖에 없는지라 크게 영향은 없는 편이다. ==== 舊 송정역(현 [[해운대 해변열차]] [[송정정거장]])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송정정거장)] == 승강장 == ||[[파일:송동승.jpg|width=100%]]|| || [[동해선 광역전철]] 승강장 || ||<-17>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 || ㅣ || ㅣ || ㅣ || ㅣ || {{{#ffffff 1}}} || {{{#ffffff 2}}} || ㅣ || ㅣ || {{{#ffffff 3}}} || {{{#ffffff 4}}} ||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ㅣ || ||<-17> [[오시리아역|오시리아]] ↓ || || {{{#ffffff 1}}} ||<|4> [[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17]] [[동해선 광역전철]] ||<|2>[[신해운대역|신해운대]]·[[거제역|거제]]·[[부전역(동해선)|부전]] 방면 || || {{{#ffffff 2}}} || || {{{#ffffff 3}}} ||<|2>[[오시리아역|오시리아]]·[[기장역|기장]]·[[태화강역|태화강]] 방면 || || {{{#ffffff 4}}} || 대피선로가 있어 컨테이너 화물열차가 정차하여 본선에는 [[동해선 광역전철]]이나 [[무궁화호]]를 통과하는 모습도 종종 보인다. 동해선 광역전철 1단계 구간 중에서는 스크린도어 공사를 시작한 첫번째 역이었으나, 2022년 3월 당시 아직도 그대로여서 결국 첫번째는 오시리아역에게 자리를 내주었다. 2023년 3월 28일 기준 외선과 내선 스크린도어 모두 가동 중이다.[[https://youtu.be/OAd9vagyCvU]] 오시리아역 방면 승강장 부본선 쪽에 붉은색 띠를 두른 필리핀 [[마닐라 MRT]] 7호선 열차가 수출대기 상태로 서있다. 본래 [[신창원역]]에 있어야 하지만, 정상적이라면 2022년 12월에 개통해야할 마닐라 MRT 7호선 개통이 2024년에 일부, 2027년에 완전개통으로 계획이 늦어지면서 신창원역에 계속 쟁여놓다보니 유치선 포화 문제로 일부 열차를 송정역에 옮겨둔 상태이다. 현재는 모든 열차가 [[신창원역]]으로 옮겨젔다. == 역 주변 정보 == [[송정해수욕장]]이 지척에 있으며 [[해동용궁사]], 국립수산과학원에서 제일 가까운 전철역이기도 하여 [[불교]] 신자, 부산을 방문하는 [[관광객]]이나 [[외국인]]들도 많이 찾아온다. 하지만 [[오시리아역]]이 개통하게 되어 일부 수요가 이탈되어 나갈 가능성이 있다. 부산,경남지역 [[대학교]]들 [[MT]] 장소로 송정이 많이 채택되는 이유로 수요가 꽤 있다. 무궁화호 시절에는 MT철이 되면 부전역에서 송정역까지 무궁화호가 입석으로 다닐 정도로 수요가 있었던 전력이 있다. 다만 배차간격 등 여러 문제 때문에 실제 이용률이 높지는 않다. 근방에 송정주공 1단지가 있지만 하필이면 약 500m 정도 떨어져있어서 이용객 수에 영향을 미치지 못 하고 있다. == 일평균 이용객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 {{{#ffffff '''연도'''}}} || [[동해선 광역전철|[[파일:동해선 광역전철 로고.svg|width=25]]]] || {{{#ffffff '''비고'''}}} || || 2016년 || 1,323명 || [* 개통일인 12월 30일부터 12월 31일까지 2일간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 2017년 || 2,106명 || || || 2018년 || 2,403명 || || || 2019년 || 2,615명 || || || 2020년 || 2,089명 || || || 2021년 || 2,379명 || || || 2022년 || 3,059명 || || || 2023년 || {{{#0054a6 3,194명}}} || || ||<-3> {{{#ffffff '''출처'''}}} || ||<-3> [[https://info.korail.com/info/selectBbsNttList.do?bbsNo=425&key=867|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br]수송통계 자료실]] || }}} * 명목상 부산 시내(동 지역)이긴 하지만 송정고개로 단절[* 지도를 펼쳐 보면 송정동 혼자 산맥으로 단절되어 해운대구 나머지 동들과 연담이 되어있지 않다. 이 때문에 1960년대까지 부산직할시 해운대구가 아닌 '''동래군 기장읍 송정리'''에 속해 있었으며(1914년 부군면 통폐합 전에는 기장군 소속), 오히려 [[기장군]] 쪽으로 평지가 이어져 있고 연담화된 모습을 볼 수 있다.]되어 있어 교통이 불편한 까닭에 여기서부터는 광역철도(급행)[* 이곳에서 전철을 타면 환승역이자 주요 지역인 [[벡스코역]], [[교대역(부산)|교대역]]까지 각각 8분, 21분밖에 안 걸린다! 참고로 같은 구간을 시내버스로 이동할 경우 교통체증 등을 감안하면 벡스코역까지는 30~40분, 교대역까지는 1시간 정도 잡아야 한다. 이렇듯 엄청난 시간 단축 효과가 있기에 전철은 [[급행]]의 면모도 띤다고 봐야 할 것이다.]의 성격을 일부 가진다. 그러나 기나긴 배차 간격 때문에 이용률은 그리 높지 않다. * 동해남부선 시절부터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이었고, 현재도 그러하지만 정작 여름이 되어도 해수욕장을 찾는 이용객은 극히 미미하다. * 배차 간격이 개선되고 인지도가 오르는 호재가 이어진다면 이용객이 지금보다 큰 폭으로 증가할 여지는 있다. 이미 무궁화호 시절 구송정역보다 [[송정해수욕장|주수요처]]가 멀어졌으나 시간당 1회 수준인 배차간격이 시간당 2~3회 수준으로 바뀌자 수요가 멀어도 승차량은 확실히 늘어난 상태이다. 일례로 송정역 일대는 재개발이 되지도 않지만 코로나19시기를 제외하고 계속하여 승차량이 늘고있다. == 요금 == ||<-6> 1구간 요금으로 갈 수 있는 범위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ffffff 1[*a 일회용 승차권 사용 불가 ([[간접환승]] 구간)]}}}]] || [[부전역(도시철도)|부 전]] || ◁ || [[연산역(부산)|연 산]][* 1호선과의 환승역인 [[교대역(부산)|교대역]]은 기본 요금 구간이 아니다.] || ▷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ffffff 2[*a]}}}]] || [[장산역|장 산]] || ◁ || [[벡스코역|벡스코]] || ▷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ffffff 3[*a]}}}]] || || ◁ || [[수영역|수 영]][* 3호선과의 환승역인 [[거제역]]은 기본 요금 구간이 아니다.] || ▷ || [[연산역(부산)|연 산]]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ffffff 4[*a]}}}]] ||<-5> {{{#c0c0c0 없 음}}} || || [[동해선 광역전철|{{{#ffffff 동해}}}]] || [[재송역|재 송]] || || {{{#c0c0c0 송 정}}} || ▷ || [[일광역|일 광]] || == 연계 교통 == * 동해선 송정역(정류장 번호: 09-006) * [[부산 버스 38]] - 중앙공원·민주공원행 * [[부산 버스 39]] - 용호동행 * [[부산 버스 40]] - 구덕운동장행 * [[부산 버스 63]] - 부산진구청행 * [[부산 버스 100-1]] - [[장전역]]행 * [[부산 버스 139]] - [[올림픽교차로 환승센터]]행 * [[부산 버스 182]][*심야 심야포함] - 정관행(장산역방면) * [[부산 버스 200]] - 구포시장행 * [[부산 버스 1011]] - 경제자유구역청행 * [[부산 버스 1003|부산 버스 심야1003]] - 부산대학병원행 * [[부산 버스 180|부산 버스 오전180]] - 고원3차아파트행(해운대구청방면) * 동해선 송정역(정류장 번호: 09-007) * [[부산 버스 38]]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39]] - 기장(교리)행 * [[부산 버스 4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6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39]]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82]][*심야] - 정관행 * [[부산 버스 200]]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11]]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003|부산 버스 심야1003]] - [[동부산공영차고지|청강리공영차고지]]행 * [[부산 버스 180|부산 버스 오전180]] - 고원3차아파트행 == 기타 == 여담으로 이 역과 일본의 [[산인 본선]] [[아가와역]]은 한일 철도역 중 가장 가까운 역으로 182km 거리이다. == 둘러보기 == [include(틀:동해선 광역전철의 역 목록)] [include(틀:동해선의 역 목록)] [[분류:1934년 개업한 철도역]][[분류:부산광역시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대한민국의 도시철도 정거장]][[분류:동해선 광역전철]][[분류:동해선]][[분류:대한민국의 국가등록문화재]][[분류:해운대구의 철도역]][[분류:해운대로]][[분류:나무위키 철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