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12.12 군사반란 가담자)]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801A24, #993334 20%, #993334 80%, #801A24)" {{{#FFFFFF '''역임한 직위'''}}}}}} || ||<#FFF,#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include(틀: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 [include(틀:제7기동군단장)] [include(틀:제51보병사단장)] }}} || [[파일:external/thumb.mt.co.kr/2012110113238243104_1.jpg|width=150]] 宋膺燮. [[1937년]] [[3월 31일]] ~ [[2012년]] [[10월 29일]](75세) [목차] == 개요 == [[대한민국 육군]]의 군인.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을 지냈다. [[12.12]] 반란 직후 찍은 중간줄 우측 세번째 단체사진(바로 우측 옆이 [[장세동]])에 나옴. == 생애 == 1937년 [[충청북도]] [[제천시|제천]]에서 태어났다. [[중앙고등학교]](47회)를 졸업한 뒤 1956년 [[육군사관학교]] 16기로 입학하여 1960년에 임관했다. [[하나회]] 멤버는 아니었지만 [[제30기계화보병사단]] 90[[연대장]]으로서 [[12.12 쿠데타]]에 직접 가담했으며 이후 [[제51보병사단]]장과 [[제7기동군단|제7군단]]장을 지낸 뒤에 1989년 12월 30일 [[대한민국 합동참모차장|합동참모차장]]에 보임되었다. 차장 당시에 [[합동군]] 운영계획을 수립했고 남북고위급회담에 차석대표로 배석하다가 1992년에 전역하였다. 당시 [[대한민국 합동참모본부]]는 명예기관에서 벗어나 [[군령권]]을 받으면서 한국군 최고의 작전기관으로 바뀔 즈음이었다. 그래서 합동참모1차장에 [[대장(계급)|대장]]이 보임되었다. 다만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도 육군대장이고 합참1차장도 육군대장이라 결국 육군대장 숫자 늘려준 거 아니냐는 비판도 있었다. 1995년까지 합참차장은 대장으로 유지되다가[* 당시 [[대한민국 합동참모의장|합참의장]]은 첫 非육군 출신 의장인 [[이양호]] 공군대장.] 중장 보직으로 변경되었다. [[김대중]] 정권 시절에 다시 남북군사회담 얼굴마담으로 합참차장 계급을 대장으로 재격상시키려다 취소된 적이 있었다. 2005년에 [[김명립]] 공군대장이 보임되면서 다시 대장이 보임되다가, 2008년 [[박인용]] 해군대장을 끝으로 다시 중장계급으로 환원되었다. 2012년 10월 29일에 76살로 사망하였다. [[분류:1937년 출생]][[분류:2012년 사망]][[분류:제천시 출신 인물]][[분류:중앙고등학교 출신]][[분류:육군사관학교 출신]][[분류:여산 송씨]][[분류:12.12 군사반란/관련 인물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