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d313a 50%, #0047a0 50%)" '''[[독립유공자|{{{#ffffff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br] {{{#ffffff '''{{{+1 송복덕}}}'''[br]'''宋福德'''}}}}}}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송복덕.png|width=100%]]}}} || ||<-2> 1951년경, [[회갑|회갑연]] 당시 촬영된 사진.[* [[https://www.gov.kr/portal/ntnadmNews/2011727?pageIndex=2&hideurl=N|#]]] || ||<|2> '''출생''' ||[[1891년]] [[10월 20일]] || ||[[평안북도]] [[의주군]] 주내방 원화동[br](현 평안북도 의주군 의주읍) || ||<|2> '''사망''' ||[[1965년]] [[3월 10일]] (향년 73세)|| ||[[충청남도]] [[대전광역시|대전시]] || || '''묘소'''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872호 || ||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독립유공자 [[송병철(독립운동가)|송병철]]과 [[송병하]]는 그의 아들이다. == 생애 == 송복덕은 1891년 10월 20일 평안북도 의주군 주내방 원화동(현 의주군 의주읍)에서 태어났다. 일찍이 [[중국]]으로 혈혈단신 이주해 독립운동 대열에 합류, 1941년 초에 9전구 지역에서 [[조선의용대]] 제3지대에 소속되어 항일전선의 선봉에서 활약하였다. 이때 [[민족혁명당]]에도 참여하였으며, 그해 2월에는 [[한국광복군]] 제5지대가 창설되는 데에도 기여하였다. 1942년 4월 조선의용대가 한국광복군에 합병되자 재편되면서 그는 한국광복군 제1지대에 배속되었다. 그해 10월 그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내무부의 경위대원에 임명되었으며, 요인 경호 및 임시정부의 경찰 임무 뿐만 아니라 교민을 보호하고 밀정을 색출하는 업무를 수행하였다. 또한 그는 광복군 총사령부의 선전 및 초모활동을 지원하는 한편 [[한국독립당(1940년)|한국독립당]]원으로서 항일전선에 앞장섰다. [[8.15 광복]] 후 중국에 거주하는 한국인들에 대한 신변 보호 임무를 수행하는 등 국민을 보호하는 임시정부 일원으로서의 사명을 맡았고, 임무를 완수한 후 [[인천광역시|인천시]] [[월미도]]를 통하여 귀국하였다. 이후 충청남도 대전시로 이주하여 살다가 1965년 3월 10일 별세하였다. 1980년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건국포장이 추서되었으며,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그의 유해는 2000년 10월 19일 [[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2묘역에 이장되었다. [[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한국광복군/군인]][[분류:실향민]][[분류:의주군 출신 인물]][[분류:1891년 출생]][[분류:1965년 사망]][[분류:국립대전현충원 안장자]][[분류:건국훈장 애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