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나무위키 독립운동가 프로젝트]][[분류:한국의 독립운동가]][[분류:완도군 출신 인물]][[분류:1895년 출생]][[분류:1936년 사망]][[분류:건국훈장 애족장]] || 성명 ||송내호(宋乃浩) || || 이명 ||송형호(宋亨浩) || || 생몰 ||[[1895년]] [[8월 12일]] ~ [[1936년]] [[8월 23일]] || || [[출생지]] ||[[전라남도]] [[완도군]] 소안면 이목리 || || 사망지 ||[[전라남도]] [[완도군]] || || 추서 ||건국훈장 애족장 || [목차] == 개요 ==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 == 생애 == 송내호는 1895년 8월 12일 전남 완도군 소안면 이목리에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월 15일 완도군에서 발발한 독립만세시위에 참가했고, 1920년 11월에는 서울에서 동지 [[정순영(1879)|정순영]]의 소개로 만주 관전현에서 조국광복을 목적으로 조직된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의 사한장(司翰長) [[김기한]]을 만나 독립단의 취지에 적극 찬동하고 이에 가입하였으며, 전라도 지단(支團)을 설치할 책임을 맡았다. 이후 전라도 일대에 배포할 임시 통칙 등 9종의 인쇄물을 받아 고창(高敞)의 김정환(金淀煥)에게 이를 위임하고 군자금 모집 활동을 진행하다가 일경에 탐지되어 체포되었다. 그 후 1921년 9월 30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징역 1년형을 받고 옥고를 치렀고, 출옥 후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하여 1925년 2월 15일 신간회 창립총회에서 [[안재홍]], [[권동진]], [[신석우]], [[김준연]] 등 35명과 함께 간사가 되어 활동했다. 신간회 해소 후에는 완도군으로 돌아가 조용히 지내다 1936년 8월 23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3년 송내호에게 대통령표창을 추서했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