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95959 20%, #595959)" {{{#FFFFFF '''손영목의 주요 수상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5>
[[백상예술대상|[[파일:백상예술대상로고(1).png|width=160]]]] || ||<-5> [[파일:baeksangartsawards4.png|height=100]] || ||<-5> {{{#fff '''TV부문 극본상'''}}} || || '''제32회[br]([[1996년]])''' || {{{+1 →}}} || '''제33회[br]([[1997년]])''' || {{{+1 →}}} || '''제34회[br]([[1998년]])''' || || [[문영남]][br]([[바람은 불어도]]) || {{{+1 →}}} || '''{{{#000 손영목[br]([[머나먼 나라|{{{#000 머나먼 나라}}}]])}}}''' || {{{+1 →}}} || 박정란[br]([[새끼(드라마)|새끼]]) || ||<-5> || ---- }}} || ||<-2>
{{{+1 '''손영목'''}}} [br] 드라마 작가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image/108/2005/02/19/2005021910024660226_1.jpg|width=100%]]}}} || || '''이름''' ||손영목 || ||<|2> '''출생''' ||[[1966년]] [[8월 25일]] ([age(1966-08-25)]세) || ||[[경상남도]] [[밀양시]] || || '''거주지''' ||[[서울특별시]] || || '''학력''' ||[[브니엘고등학교]] {{{-2 ([[졸업]])}}}[br][[고려대학교 문과대학]] {{{-2 ([[국어국문학]] / [[학사]])}}} || || '''수상''' ||1997년 제33회 [[백상예술대상]] TV부문 극본상[br]2012년 [[MBC 연기대상]] 올해의 작가상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각본가]]. == 경력 == [[1966년]] [[8월 25일]]에 [[경상남도]] [[밀양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부산시]]로 이주했고, 1984년 [[브니엘고등학교]], 1990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 졸업 후 [[1990년]]에 방송 보조작가로 활동하다가 [[1992년]], 증권회사 투자자들 사이에서 벌어지는 살인사건의 범인을 찾는 단막추리극 '황금분할'로 본격적인 작가 생활을 시작했다. 이후 [[이병헌]], [[고소영]], [[박소현(배우)|박소현]] 등이 출연한 캠퍼스 드라마 '[[내일은 사랑]]'으로 조금씩 [[이름]]을 알리게 되고, [[1994년]] 초에 [[장동건]], [[심은하]], [[손지창]] 등이 출연한 [[마지막 승부]]로 스타작가로 우뚝선다. 이후 사회현실을 반영하는 작품을 선보이는데, [[1995년]]의 [[바람의 아들]]을 통해 [[1970년대|70년대]] [[10월 유신|유신시대]]의 사회상과 부패한 정치권의 뒷 이야기를 사실적으로 반영했고, 이듬해인 [[1996년]]에는 [[머나먼 나라]]로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된 서민들의 이야기를 선보였다. 두 작품은 방영된지 20년이 지난 지금도 [[드라마]] 매니아들 사이에서 '''[[명작]] 중의 명작'''이라는 평가와 함께 지금도 드라마 관련 커뮤니티에서 회자되고 있다. 화질은 오래되어 보이지만 드라마 동영상들도 소장중인 사람들이 꽤 있는 편. 뿐만 아니라 청각 장애인의 사랑을 그린 '그대 나를 부를 때'와 선과 악의 공존을 그린 환타지 드라마 [[천사의 키스]] 등 [[1990년대|90년대]]의 다양한 소재와 실험적인 작품을 선보이면서 90년대 최고의 작가 반열에 오른다. 그러나 [[2000년대]] 들어서 방영한 [[천둥소리]]가 높은 완성도임에도 불구하고 [[시청률]] 6%로 막을 내렸고, 이어 [[2009년]]에 방영된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마저도 작품성에서도 시청률에서도 몽땅 [[실패]]를 거두게 된다. 이어 [[2010년]]의 [[프레지던트(드라마)|프레지던트]]까지 저조한 시청률을 기록했다. 2010년 이후로는 [[메이퀸]], [[황금무지개]], [[화려한 유혹]]까지 시청률에서도 모두 성공하게 되지만, 정작 극본의 완성도는 심히 [[막장 드라마]]스럽다는 혹평을 받고 있다. 심지어 그동안 손작가의 필력을 알아준 고정팬들마저도 이젠 등을 돌리는 추세. 하지만 개연성 없이 무조건 [[막장]]--만--을 추구하는 --[[임성한]]이라는가, [[문영남]]이라든가 하는-- 타 작가들과는 다르게 손영목 작가는 똑같은 막장이어도 극의 흐름에 방해되지 않게 구성을 탄탄하게 만든다는 평이다. 드라마를 시청하는 연령층과 시청자들의 시청방향이 20년 전과 비교하면 정 반대 상황으로 변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자극적이고 생각없이 재미만 추구하는 각본을 쓸 수 밖에 없지만, 그나마 등장인물들이 사건을 겪으면서 왜 변하는지 혹은 왜 그렇게 사는지에 대한 [[이유]]에는 공감할 수 있게 해 준다. [[2017년]] 작인 [[도둑놈, 도둑님]]은 이전 세 작품들에 비해 막장도는 적은 편이다. 대신 [[시청률]]에서 망했다는 게 흠. 특이하게도 아직까지 [[SBS]] 작품을 집필한 적이 없다. 또한 활동 시기가 활발했던 2010년대에 비해 2020년대에는 신작 소식이 전무하다. == 작품 == * [[황금분할]] - 1992년 * [[내일은 사랑]] - 1992년 ~ 1994년 * [[마지막 승부]] - 1994년 * [[바람의 아들]] - 1995년 * [[머나먼 나라]] - 1996년 ~ 1997년 * [[그대 나를 부를 때]] - 1997년 * [[천사의 키스]] - 1999년 * TV소설 [[누나의 거울]] - 2000년 * [[천둥소리]] - 2001년 * TV소설 [[바람꽃(드라마)|바람꽃]] - 2005년 * [[천추태후(드라마)|천추태후]] - 2009년 * [[프레지던트(드라마)|프레지던트]] - 2010년 * [[메이퀸]] - 2012년 * [[황금무지개]] - 2013년 * [[화려한 유혹]] - 2015년 * [[도둑놈, 도둑님]] - 2017년 == 손영목 사단 == * [[이병헌]]: 내일은 사랑, 바람의 아들 * [[차예련]]: 황금무지개, 화려한 유혹 * [[김희선]]: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 * [[김지훈(배우)|김지훈]]: 천추태후, 도둑놈 도둑님 * [[김유정(배우)|김유정]]: 메이퀸, 황금무지개 * [[최재성(배우)|최재성]]: 천둥소리, 천추태후 * [[최수종]]: 그대 나를 부를 때, 프레지던트 * [[이덕화]]: 천추태후, 메이퀸 * [[김호진]]: 천추태후, 화려한 유혹 * [[김상중]]: 그대 나를 부를 때, 황금무지개 * [[안내상]]: 메이퀸, 황금무지개 * ~~[[조민기]]: 천사의 키스, 황금무지개~~ * [[연규진]]: 천사의 키스, 누나의 거울, 바람꽃 * [[김규철(배우)|김규철]]: 그대 나를 부를 때, 프레지던트, 메이퀸 * [[김영철(배우)|김영철]]: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종 김종식PD 작품으로 한정되어 있다.] * [[이현경(배우)|이현경]]: 천둥소리, 천추태후 * [[이재윤]]: 황금무지개, 화려한 유혹 * [[신은정]]: 천둥소리, 도둑놈 도둑님 * [[김명수(배우)|김명수]]: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천추태후 * [[김하균]]: 내일은 사랑,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 누나의 거울, 천추태후, 프레지던트 * ~~[[김흥기]]: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 이배국: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바람꽃 * [[신귀식]]: 내일은 사랑, 마지막 승부,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 [[맹호림]]: 내일은 사랑, 천둥소리, 천추태후 * [[주호성]]: 바람의 아들, 천둥소리 * [[이원발]]: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천추태후, 황금무지개 * [[박지빈]]: 천추태후, 메이퀸 * [[반효정]]: 그대 나를 부를 때, 천둥소리, 천추태후 * [[정동환]]: 천둥소리, 프레지던트 * [[고인범]]: 천추태후, 메이퀸 * [[김종결]]: 머나먼 나라, 천둥소리, 천추태후 * [[임병기]]: 천추태후, 프레지던트 * [[이한위]]: 내일은 사랑,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 천사의 키스 * [[서갑숙]]: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 [[손종범]]: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누나의 거울 * [[김덕현]]: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 양재원: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천둥소리, 천추태후 * [[김정난]]: 내일은 사랑, 프레지던트 * [[정재순]]: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종 김종식PD 작품으로 한정되어 있다.] * 안해숙: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천추태후 * [[최동준]]: 천추태후, 프레지던트 * [[윤용현]]: 천추태후, 도둑놈 도둑님 * [[그리(래퍼)|그리]]: 메이퀸, 황금무지개 * [[서영주]]: 메이퀸, 황금무지개 * [[정흥채]]: 천둥소리, 천추태후 * 이기열: 천추태후, 프레지던트 * [[오성열]]: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천둥소리, 천추태후 * [[강신조(배우)|강신조]]: 내일은 사랑, 머나먼 나라, 천추태후, 프레지던트 * 조정국: 천둥소리, 천추태후 * 전병옥: 내일은 사랑, 천추태후 * [[황덕재]]: 천둥소리, 천추태후 * [[허기호]]: 천둥소리, 천추태후 * [[송금식]]: 바람의 아들, 머나먼 나라, 천추태후 * 양영준: 바람의 아들, 천둥소리 * [[강지우(배우)|강지우]]: 메이퀸, 도둑놈 도둑님 * [[박노식(1971)|박노식]]: 화려한 유혹, 도둑놈 도둑님 * [[박병호(배우)|박병호]]: 천둥소리, 천추태후 * [[원석연]]: 천둥소리, 천추태후 * 이준우: 천둥소리, 천추태후 * [[김기복]]: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 [[하다솜]]: 머나먼 나라, 누나의 거울, 천둥소리 * [[조미녀]]: 화려한 유혹, 도둑놈 도둑님 [[분류:대한민국의 드라마 각본가]][[분류:밀양시 출신 인물]][[분류:1966년 출생]][[분류:브니엘고등학교 출신]][[분류:고려대학교 출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