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제17대 국회의원/비례대표)] ---- ||<-2> '''대한민국 제17대 국회의원[br]{{{+1 손봉숙}}}[br] 孫鳳淑 | Son Bong-suk'''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KR20190811035000104_02_i_P2.jpg|width=100%]]}}} || ||<|2> '''출생''' ||[[1944년]] [[3월 17일]] ([age(1944-03-17)]세) || ||[[경상북도]] [[영주시|영주군]] || || '''본관''' ||[[경주 손씨]] || || '''학력''' ||[[영주여자고등학교]] {{{-2 (졸업)}}}[br][[이화여자대학교]] {{{-2 ([[정치외교학]] / [[학사]])}}}[b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 ([[정치외교학]] / [[석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43204|韓國自由黨十二年史의 硏究 : 李承晩博士執權下의 政黨體制를 中心으로]](한국자유당12년사의 연구 : 이승만박사집권하의 정당체제를 중심으로, 1967. 2).]·[[박사]][* 박사 학위 논문 : [[http://www.riss.kr/link?id=T7709041|韓國 地方自治 硏究 : 第一共和國의 政治過程을 中心으로]](한국 지방자치 연구 : 제일공화국의 정치과정을 중심으로, 1984).])}}}[br][[하와이 대학교|하와이 대학교 대학원]] {{{-2 ([[정치외교학]] / [[석사]])}}} || || '''종교''' ||[[개신교]]([[감리교]])[* 삼선감리교회에 다닌다.] || || '''가족''' ||남편 안청시[* 安淸市. 1944년 4월 10일 [[일본]] [[나고야]]에서 [[순흥 안씨]] 충정공파 안맹기(安孟基, 1916. 2. 24 ~ ?. 10. 15)의 장남으로 태어나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유년 시절을 보냈으며, 직업은 전직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교수]]이다. 또한 타 학과 동기생 중 하나가 그 유명한 '''[[반기문]]'''이다.][br]장녀 안정현[* 安珽賢. 1970년 8월 28일생.], 차녀 안정민[* 安珽珉. 1973년 1월 23일생.] || || '''소속 정당'''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 '''의원 선수''' ||'''1''' || || '''의원 대수''' ||'''[[제17대 국회의원|17]]''' || || '''약력''' ||사단법인 한국여성정치연구소 이사장[br]사단법인 의회를 사랑하는 사람들 명예회장[br]정치개혁시민연대 공동대표[br]한국시민단체협의회 공동대표[br]중앙선거관리위원회 위원[br]동티모르 제헌국회의원선거 유엔 국제선거관리위원장[br]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베스트우먼아카데미 원장[br]경희대학교 NGO 대학원 객원교수[br]범국민정치개혁협의회 위원[br]민주당 수석 부대표[br]국회 문화관광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장애인특별위원회, 방송통신특별위원회 위원 || [목차] [clearfix] == 개요 == [[대한민국]]의 여성운동가, [[정치인]]이다. [[종교]]는 [[개신교]]이다. == 생애 == 1944년 3월 17일 [[경상북도]] [[영주시|영주군]]에서 아버지 손병오(? ~ 1969)와 어머니 황봉한 사이의 8남매 중 셋째 딸로 [[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2939/1|태어났다]]. [[영주여자고등학교]]와 [[이화여자대학교]] [[정치외교학과]]를 졸업하고 1967년 2월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미국]] [[하와이 대학교|하와이 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석사]] 학위를 취득하고, 1984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한국여성정치연구소에서 소장, [[이사장]] 등을 지내며 여성운동에 참여하였다. 다소 특이한 경력이 있는데, 1999년 8월 [[동티모르]]가 [[인도네시아]]에서 독립해서 민주공화국이 되는 과정에서 유엔 선거 관리 위원 중 한 명으로 활동하여 동티모르가 독립하는데 기여를 했다. 2004년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새천년민주당]] [[비례대표제|비례대표]] [[대한민국 국회의원|국회의원]][* 제1번.]으로 당선되었다. 2008년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합민주당(2008년)|통합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성북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한나라당]] [[정태근]]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 여담 == * 그녀의 부모님은 평소 [[민주당(1955년)|민주당]]을 지지했고, 마침 어머니 황봉한의 일가 친척인 [[황호영]]이 1954년 [[제3대 국회의원 선거]]와 1958년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영주군]] 선거구에 출마했지만 번번이 [[자유당]] [[이정희(1903)|이정희]] 후보에 밀려 낙선했다. 그 뒤 그녀가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던 1960년, [[4.19 혁명]]이 일어나 [[이승만 정부]]가 무너졌고, 그해 있었던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 황호영은 민주당 후보로 출마해 3번의 도전 끝에 당선된다. 이에 황호영의 일가 친척으로서 선거운동을 돕던 어머니 덕분에 당시 [[공무원]]이던 아버지는 황호영의 배려로 1961년 봄에 [[서울특별시]]로 전근갈 수 있었고, 일가족이 상경해 [[동대문구]] [[전농동]]에 새로운 터를 잡았다. 그러나 1년이 채 안 되어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자 당시 민주당의 후광 아래에 혜택을 받은 공무원들은 모두 그 직을 내려놔야 했다고 한다. 이에 가정 형편이 갑자기 안 좋아졌고, 대학생이 된 그녀 또한 [[아르바이트]]로 용돈을 벌어 써야 했는데, 이 아르바이트는 1967년 석사 졸업 때까지 그만둘 수 없었다고 한다.[[https://shindonga.donga.com/3/all/13/102939/4|#]] == 선거 이력 == || {{{#ffffff 연도}}} || {{{#ffffff 선거 종류}}} || {{{#ffffff 선거구}}} || {{{#ffffff 소속 정당}}} || {{{#ffffff 득표수 (득표율)}}} || {{{#ffffff 당선 여부}}} || {{{#ffffff 비고}}} || || 2004 || [[제17대 국회의원 선거]] || 비례대표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1,510,178 (7.1%)''' || '''당선 (1번)''' || '''초선''' || || 2008 ||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 서울 [[성북구 갑|성북 갑]]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30,736 (36.80%) || 낙선 (2위) || || == 둘러보기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제17대 국회 비례대표)] [[분류:대한민국의 감리회 신자]][[분류:대한민국의 여성 정치인]][[분류:1944년 출생]][[분류:영주시 출신 인물]][[분류:경주 손씨]][[분류:제17대 국회의원]][[분류:새천년민주당 국회의원]][[분류:민주당(2005년) 국회의원]][[분류:통합민주당(2008년) 국회의원]][[분류:영주여자고등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출신]][[분류: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출신]][[분류:더불어민주당 소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