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손오의 황족 손헌(孫憲), rd1=손려(손오), other2=중국의 여배우 손려(孙俪), rd2=쑨리)] [include(틀:오서)] [include(틀:손권의 아들들)] ||<-2>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B0000 0%, #8B0000 20%, #8B0000 80%, #8B0000)" {{{+1 {{{#fecd21 '''{{{+1 孫慮}}}[br]손려'''}}}}}}}}} || ||<:> '''[[성씨|{{{#FEDC21 성씨}}}]]''' ||손^^(孫)^^ || ||<:> '''[[휘|{{{#FEDC21 휘}}}]]''' ||려^^(慮)^^ || ||<:> '''[[자(이름)|{{{#FEDC21 자}}}]]''' ||자지^^(子智)^^ || ||<:> '''{{{#FEDC21 증조부}}}''' ||[[손종| 효의왕 손종^^(孝懿王 孫鍾)^^]] || ||<:> '''{{{#FEDC21 조부}}}''' ||[[손견| 시조 무열황제 손견^^(始祖 武烈皇帝 孫堅)^^]] || ||<:> '''{{{#FEDC21 아버지}}}''' ||[[손권| 태조 대황제 손권^^(太祖 大皇帝 孫權)^^]] || ||<:> '''{{{#FEDC21 형}}}''' ||[[손등(삼국지)| 선태자 손등^^(宣太子 孫登)^^]] || ||<:> '''{{{#FEDC21 생몰연도}}}''' ||213년 ~ 232년 || [목차] [clearfix] == 개요 == [[고대]] [[중국]] [[삼국시대(중국)|삼국시대]] [[오(삼국시대)|손오]]의 초대 [[황제]]인 [[대제]] [[손권]]의 둘째 아들이며 [[자(이름)|자]]는 자지(子智)로 [[아내]]는 [[반준]]의 [[딸]]. == 생애 == 228년 손권이 [[오나라]]를 건국하고 황제에 등극하자 건창후(建昌侯)로 봉해졌는데 이때 전당 앞에 투압란[* 妬鴨欄, 오리가 싸우는 노름판이다.~~[[투계|투압장]]~~]을 만들었다가 [[육손]]에게 야단맞고 철거한다. 230년 [[고옹]] 등 많은 신료들이 손려의 총명함을 칭송하며 [[왕]]으로 높여 봉해야 함을 손권에게 간하였으나, 수차례 끝에 허락되었다. 또한 [[상서성|상서]] [[복야]] 존모가 고옹과 함께 의논하여 손려를 진군대장군에 임명해서 출진시킬 것을 제안하자 손권은 손려에게 부절(假節)을 주고 [[개부의동삼사|관소를 열게 했으며]] 손려는 반주(半州)를 다스렸다. 231년 [[설종]]을 소환하여 [[장사]]에 임명하게 했다고 하며, 어려서부터 총명하여 손권의 총애와 많은 사람들의 기대를 받았지만 232년 [[오나라 요절징크스|20세의 나이로 요절했다.]] 이 때 손권은 너무 슬퍼서 펑펑 울며 신하들의 식사 반찬을 줄이게 했는데, [[손등(삼국지)|손등]]이 아버지를 위로하면서 '이는 예절이 아니라 요구일 뿐입니다'라고 말렸고 손권은 이를 받아들였다. == 평가 == [[진수(역사가)|진수]]가 [[손화]]와 묶어 맨 마지막에 기록하길 "모두 뛰어난 자질을 갖추고 있고 엄격하게 자신을 연마했지만, 어떤 사람은 단명하여 일찍 죽었고, 어떤 사람은 부득이 죽게 되었으니, 애석하구나!"라고 평하였다. 차남 손려의 요절은 [[태자]] 손등의 요절과 더불어 손오의 후계자 쟁탈전 [[이궁지쟁]]을 초래하여 손오를 쇠퇴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 기타 == 그의 동생인 [[손패#s-1]][* 자는 '''[[자위행위|자위]]'''(子威)...]와 마찬가지로 '''[[자지|자가 아주 민망하다]].'''(...) == 창작물에서의 등장 == || [[파일:손려.jpg|width=400]] || || [[삼국지 14]] 일러스트 ||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에 처음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28, 무력 12, 지력 74, 정치 76, 매력 79이며 개성은 법률, 허약,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3, 진형은 방원, 충차, 전법은 화시, 구축, 친애무장은 [[반준]], [[설종]], [[육손]], 혐오무장은 없다. [[조경래]]의 소설 [[삼국지 유지경성]]에서는 '''[[주인공]]'''이다. 여기에서는 무장형 인물로 묘사된다. 형 [[손등(삼국지)|손등]]을 보좌하여 손오를 부강하게 만들고 형과 자신의 요절징크스를 깨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인물로 나온다. 중반 이후부터는 세계관 최강자가 되어 [[반란]]을 [[왕위를 계승하는 중입니다|일으켜 손권에게 양위를 받고]] [[장합]]과 함께 [[위(삼국시대)|조위]]를 정벌한다. [[삼국전투기]]에서는 [[작피 전투]] 편에서 [[이하생략|손등이 죽기 전에 이미 요절했다고 언급만 된다.]] [[분류:손오의 인물]][[분류:삼국시대(중국)/황족]][[분류:213년 출생]][[분류:232년 사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