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관련 문서, top1=속초시/정치, top2=인제군/정치, top3=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정치, top4=양양군/정치)] [include(틀:제21대 국회의원/강원특별자치도)] ---- ||<-4> '''[[대한민국|[[파일:대한민국 국기.svg|height=15]]]] {{{#fff [[대한민국|{{{#fff 대한민국}}}]]의 [[대한민국 국회|{{{#fff 국회}}}]][[선거구|{{{#fff 선거구}}}]]}}}'''[br]{{{#!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wiki style="margin: -5px 0" [[대한민국 국회|[[파일:국회휘장.svg|height=70]]]]}}}|| {{{#!wiki style="margin: -5px 0" '''{{{+1 {{{#fff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br]{{{-1 {{{#fff [[속초시|{{{#fff 속초시}}}]], [[인제군|{{{#fff 인제군}}}]], [[강원도 고성군|{{{#fff 고성군}}}]], [[양양군|{{{#fff 양양군}}}]] 전 지역[br]束草市·麟蹄郡·高城郡·襄陽郡[br]Sokcho–Inje–Goseong–Yangyang}}}}}}}}} ||}}} || ||<-4>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국회선거구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svg|width=100%]]}}} || ||<-2> '''선거인 수''' ||<-2> 168,003명 (2020) || ||<-2> '''상위 행정구역''' ||<-2> [[강원특별자치도]] || ||<-2> '''관할 구역''' ||<-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속초시|{{{#373a3c,#ddd 속초시}}}]] 전역'''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 '''[[인제군|{{{#373a3c,#ddd 인제군}}}]] 전역'''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 ---- '''[[강원도 고성군|{{{#373a3c,#ddd 고성군}}}]] 전역'''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 '''[[양양군|{{{#373a3c,#ddd 양양군}}}]] 전역'''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 ||<-2> '''신설년도''' ||<-2> [[제21대 국회의원 선거|2020년]] || ||<-2> '''이전 선거구''' ||<-2> [[속초시·고성군·양양군]],[br]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2> '''국회의원''' || [include(틀:국민의힘)] || [[이양수]] || [목차] [clearfix] == 개요 == ||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 →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 [[속초시·고성군·양양군|'''속초·고성·양양''']] ([[이양수]])[br][[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홍천·철원·화천·양구·'''인제''']] ([[황영철]])[*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인해 의원직을 상실하였으나 잔여임기가 1년 미만이라 재보궐선거 미실시.] || '''속초·인제·고성·양양''' ('''[[이양수]]''')[br][[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춘천·철원·화천·양구 을]] ([[한기호]])[br][[홍천군·횡성군·영월군·평창군|홍천·횡성·영월·평창]] ([[유상범]]) || ---- '''대한민국 최북단 선거구'''이자 설악권 지역으로 불리고 있는 선거구.[* 실제로 설악산국립공원은 이 4곳에 모두 걸쳐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종전 선거구인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이 인구 미달로 통합이 예정되어 있고, [[춘천시(선거구)|춘천시]]는 인구 초과로 분구가 가시화되고 있었다. 선관위 획정위는 당초 춘천시를 갑/을로 분구하고, 강원도의 북한 접경 6개 시군을 묶어서 공룡 선거구를 만들려 했으나, 여야 의원들의 반발로 실패하여 인제군을 묶어 이 선거구를 만들었다. 현재 국회의원은 [[국민의힘]] [[이양수]] 의원이다. 다만, 이 선거구는 원래 없었던 것이 아니라, 9대[* 이 당시에는 중대선거구로 2명의 국회의원 선출.], 15~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잠시 존재했던 선거구[* 당시의 명칭은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으로 이번엔 순서가 바뀌었다.]로, 17대 때 인제군이 떨어져 나갔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합류한 것이다. 이를 두고 [[https://www.yna.co.kr/view/AKR20200309103800062|20년 만에 다시 묶인 선거구]]라는 기사도 찾아볼 수 있다. 관광 도시인 [[속초시]]를 제외하면 [[인제군]]과 [[고성군(강원도)|고성군]]은 최전방 지역이라서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과 함께 젊은 군인들이 많은 지역구이다. 또한 [[양양군]]에도 군부대가 꽤 많다. 다만 지역구 내에서 속초시의 인구가 많아서 [[춘천시·철원군·화천군·양구군 을]]에 비해서는 최전방, 남초 이미지가 덜하다. 현재 강원도의 선거구 중 유일하게 [[철도]]가 없지만, 향후 [[동해선]]과 [[춘천속초선]]이 개통되면, 탈출할 것으로 보인다. == 역대 국회의원 목록 == || '''총선''' || '''당선인''' || '''당적''' || '''임기''' || '''선거구''' || ||<|3> 제13대 || [[최정식]] || [include(틀: 통일민주당)] ||<|3>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 || || [[이민섭]] ||<|2> [include(틀:민주정의당)] || 춘성군·양구군·'''인제군''' || || [[김문기(정치인)|김문기]] || 명주군·'''양양군''' || ||<|4> 제14대 || [[정재철]] ||<|3> [include(틀:민주자유당)] ||<|2>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 || || [[이민섭]] || 춘천군·양구군·'''인제군''' || || [[김문기(정치인)|김문기]] || 1992년 5월 30일 ~ 1993년 3월 26일 ||<|2> 명주군·'''양양군''' || || [[최욱철]] || [include(틀:민주당(1991년))] || 1993년 6월 12일 ~ 1996년 5월 29일 || || 제15대 ||<|2> [[송훈석]] || [include(틀:신한국당)] ||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2>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제16대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 ||<|2> 제17대 || [[정문헌]] ||<|2> [include(틀:한나라당)] ||<|2>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박세환(법조인)|박세환]]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3> 제18대 || [[송훈석]] || [include(틀:무소속)] ||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이용삼]] || [include(틀:통합민주당(2008년))] || 2008년 5월 30일 ~ 2010년 1월 20일[* 임기 중 사망.] ||<|2>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 [[한기호]] || [include(틀:한나라당)] || 2010년 7월 29일 ~ 2012년 5월 29일 || ||<|2> 제19대 || [[정문헌]] ||<|4> [include(틀:새누리당(2012년))] ||<|2>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한기호]] || 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2> 제20대 || [[이양수]] ||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 || --[[황영철]]-- || 2016년 5월 30일 ~ 2019년 10월 31일 ||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 || 제21대 || [[이양수]] || [include(틀:미래통합당)] || 2020년 5월 30일 ~ 현재 ||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 == 역대 선거 결과 == === [[제15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br]{{{#ffffff 속초시 일원[*속초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인제군 일원[*인제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양양군 일원[*양양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송훈석|{{{#373a3c,#dddddd 송훈석}}}]](宋勳錫)''' || '''29,544''' || '''1위''' || || [include(틀:신한국당)] || '''34.13%''' || '''당선''' || ||<|2> {{{#ffffff {{{+5 '''2'''}}}}}} || [[최정식|{{{#373a3c,#dddddd 최정식}}}]](崔正植) || 7,709 || 5위 || || [include(틀:새정치국민회의)] || 8.91% || 낙선 || ||<|2> {{{#ffffff {{{+5 '''3'''}}}}}} || 조영두(趙榮斗) || 9,405 || 3위 || || [include(틀:통합민주당(1995년))] || 19.94% || 낙선 || ||<|2> {{{#ffffff {{{+5 '''4'''}}}}}} || [[한병기|{{{#373a3c,#dddddd 한병기}}}]](韓丙起) || 22,880 || 2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26.43% || 낙선 || ||<|2> {{{#ffffff {{{+5 '''5'''}}}}}} || 정광벽(鄭光璧) || 6,667 || 6위 || || [include(틀:무소속)] || 7.70% || 낙선 || ||<|2> {{{#ffffff {{{+5 '''6'''}}}}}} || 황돈태(黃燉泰) || 10,248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11.84%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29,340 ||<|3> '''투표율'''[br]68.87% || || '''투표 수''' || 89,076 || || '''무효표 수''' || 2,509 || ===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 ||<-4> {{{#ffffff {{{+1 '''속초시·고성군·양양군·인제군'''}}}}}}[br]{{{#ffffff 속초시 일원[*속초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인제군 일원[*인제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양양군 일원[*양양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정재철|{{{#373a3c,#dddddd 정재철}}}]](鄭在哲) || 32,212 || 2위 || || [include(틀:한나라당(1997~2004))] || 38.23% || 낙선 || ||<|2> {{{#ffffff {{{+5 '''2'''}}}}}} || '''[[송훈석|{{{#373a3c,#dddddd 송훈석}}}]](宋勳錫)''' || '''35,576''' || '''1위''' || || [include(틀:새천년민주당)] || '''42.22%''' || '''당선''' || ||<|2> {{{#ffffff {{{+5 '''3'''}}}}}} || [[이참수|{{{#373a3c,#dddddd 이참수}}}]](李讒洙) || 12,581 || 3위 || || [include(틀:자유민주연합)] || 14.93% || 낙선 || ||<|2> {{{#ffffff {{{+5 '''4'''}}}}}} || [[허경구|{{{#373a3c,#dddddd 허경구}}}]](許景九) || 3,889 || 4위 || || [include(틀:무소속)] || 4.62%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35,756 ||<|3> '''투표율'''[br]63.15% || || '''투표 수''' || 85,730 || || '''무효표 수''' || 1,472 || === 제17대~제20대 국회의원 선거 === [[속초시·고성군·양양군]] 문서와 [[홍천군·철원군·화천군·양구군·인제군]] 문서 참고. ===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 ||<-4>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ffffff {{{+1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br]{{{#ffffff 속초시 일원[*속초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인제군 일원[*인제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양양군 일원[*양양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이동기(정치인)|{{{#373a3c,#dddddd 이동기}}}]](李東起) || 42,203 || 2위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44.19% || 낙선 || ||<|2> {{{#ffffff {{{+5 '''2'''}}}}}} || '''[[이양수|{{{#373a3c,#dddddd 이양수}}}]](李亮壽)''' || '''50,188''' || '''1위''' || || [include(틀:미래통합당)] || '''52.56%''' || '''당선''' || ||<|2> {{{#ffffff {{{+5 '''7'''}}}}}} || [[김도경(정치인)|{{{#373a3c,#dddddd 김도경}}}]](金度炅) || 1,002 || 4위 || || [include(틀:국가혁명배당금당)] || 1.04% || 낙선 || ||<|2> {{{#ffffff {{{+5 '''8'''}}}}}} || [[황정기|{{{#373a3c,#dddddd 황정기}}}]](黃正起) || 2,092 || 3위 || || [include(틀:무소속)] || 2.19% || 낙선 || ||<|3> '''계''' || '''선거인 수''' || 146,577 ||<|3> '''투표율'''[br]66.20% || || '''투표 수''' || 97,045 || || '''무효표 수''' || 1,560 || ||<:><-8> {{{#FFFFFF '''21대 총선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 개표 결과'''}}} || || '''정당'''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include(틀:미래통합당)] ||<|2> 격차[br](1위/2위) ||<|2> 투표율[br](선거인/표수)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 '''득표수[br](득표율)''' || '''42,203[br](44.19%)''' || {{{#ffffff '''50,188[br](52.56%)'''}}} || '''- 7,985[br](▼8.37)''' || '''97,045 [br] (66.2%)''' || ||<-5>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원 속초시)'''}}}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19,540 [br] (44.94%)''' || {{{#ffffff '''22,665 [br] (52.13%)'''}}} || '''- 3,125 [br] (▼7.19)''' || '''43,970 [br] (62.79%)''' || || '''영랑동''' || 44.31% || {{{#ef426f 53.68%}}} || ▼9.37 || '''67.67''' || || '''동명동''' || 40.05% || {{{#ef426f 57.92%}}} || ▼17.87 || 58.40 || || '''금호동''' || 37.47% || {{{#ef426f 60.33%}}} || ▼22.86 || 62.27 || || '''교동''' || 43.24% || {{{#ef426f 53.70%}}} || ▼10.46 || 61.22 || || '''노학동''' || 43.99% || {{{#ef426f 53.38%}}} || ▼9.40 || 60.74 || || '''조양동''' || '''48.39%''' || {{{#ff7e9d 48.70%}}} || '''▼0.32''' || {{{#696969 58.16}}} || || '''청호동''' || 40.99% || {{{#ef426f 55.69%}}} || ▼14.70 || 62.14 || || '''대포동''' || {{{#696969 36.96%}}} || {{{#ef426f '''60.99%'''}}} || {{{#696969 ▼24.02}}} || 64.93 || ||<-5>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원 인제군)'''}}}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8,419 [br] (47.10%)''' || {{{#ffffff '''8,603 [br] (48.13%)'''}}} || '''- 184 [br] (▼1.03)''' || '''18,269 [br] (67.32%)''' || || '''인제읍''' || {{{#004ea2 '''49.41%'''}}} || {{{#696969 46.27%}}} || '''△3.13''' || 65.13 || || '''남면''' || {{{#004ea2 47.68%}}} || 46.85% || △0.82 || {{{#696969 62.96}}} || || '''북면''' || 47.10% || {{{#ef426f 49.06%}}} || ▼1.96 || 63.77 || || '''기린면''' || 41.46% || {{{#ef426f 53.54%}}} || ▼12.08 || 67.14 || || '''서화면''' || 46.18% || {{{#ef426f 47.75%}}} || ▼1.57 || '''67.77''' || || '''상남면''' || {{{#696969 40.04%}}} || {{{#ef426f '''56.03%'''}}} || {{{#696969 ▼16.00}}} || 66.71 || ||<-5>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원 고성군)'''}}}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7,325 [br] (42.02%)''' || {{{#ffffff '''9,540 [br] (54.73%)'''}}} || '''- 2,215 [br] (▼12.71)''' || '''17,865 [br] (72.90%)''' || || '''간성읍''' || '''46.01%''' || {{{#ff7e9d 51.19%}}} || '''▼5.18''' || 72.64 || || '''거진읍''' || 39.21% || {{{#ef426f 57.97%}}} || ▼18.76 || 71.24 || || '''현내면''' || {{{#696969 36.55%}}} || {{{#ef426f '''60.30%'''}}} || {{{#696969 ▼23.74}}} || '''74.41''' || || '''죽왕면''' || 39.76% || {{{#ef426f 57.06%}}} || ▼17.30 || 71.70 || || '''토성면''' || 39.55% || {{{#ef426f 57.89%}}} || ▼18.34 || {{{#696969 67.37}}} || ||<-5> {{{#ffffff '''국회의원 선거 (강원 양양군)'''}}} || || '''후보''' || [[이동기(정치인)|{{{#ffffff '''이동기'''}}}]] || [[이양수|{{{#ffffff '''이양수'''}}}]] || 격차 || 투표율 || || '''득표수[br](득표율)''' || '''6,919 [br] (41.41%)''' || {{{#ffffff '''9,380 [br] (56.14%)'''}}} || '''- 2,461 [br] (▼14.73)''' || '''16,941 [br] (67.99%)''' || || '''양양읍''' || 42.45% || {{{#ef426f 55.58%}}} || ▼13.13 || {{{#696969 64.75}}} || || '''서면''' || 35.79% || {{{#ef426f 62.12%}}} || ▼26.33 || 67.26 || || '''손양면''' || '''47.43%''' || {{{#ff7e9d 50.73%}}} || '''▼3.30''' || '''68.14''' || || '''현북면''' || 42.94% || {{{#ef426f 54.12%}}} || ▼11.18 || 67.78 || || '''현남면''' || {{{#696969 32.74%}}} || {{{#ef426f '''64.85%'''}}} || {{{#696969 ▼32.11}}} || 65.62 || || '''강현면''' || 40.24% || {{{#ef426f 57.59%}}} || ▼17.36 || 66.91 || || '''후보''' || [[이동기(정치인)|{{{#004ea2 '''이동기'''}}}]] || [[이양수|{{{#ef426f '''이양수'''}}}]] ||<-2> 격차 || || '''거소·선상투표''' || {{{#004ea2 47.39%}}} || 38.24% ||<-2> △9.15 || || '''관외사전투표''' || {{{#004ea2 53.98%}}} || 40.70% ||<-2> △13.28 || || '''재외투표''' || {{{#004ea2 63.33%}}} || 36.67% ||<-2> △26.66 || 현역 [[미래통합당]] [[이양수]] 의원은 최초의 공룡선거구 안에는 반발하였지만, 현재의 인제군 합류에는 환영의 뜻을 밝히며, [[https://www.yna.co.kr/view/AKR20200309103800062|설악권을 공동운명체로 만들겠다]]는 출사표를 던졌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은 박상진 전 국회 차관보급 수석전문위원과 이동기 전 지역위원장, 최상용 전 강원도지사 보건복지특보 총 3명이 경선을 통해 이 의원과 맞붙을 후보자를 가린다. 3월 22일, 이동기 전 지역위원장이 승리해 공천을 받았는데 여담으로 이동기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전 지역구 공천 목표의 마지막인 253번째로 공천을 받은 후보가 됐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735643|#]] 선거 결과, 개표 초중반 시점까지는 혼전 양상이었지만 점차 개표가 진행되면서 차이가 벌어졌고, 8.37%p 차이로 미래통합당 이양수 의원의 재선이 확정되었다. 다만, 더불어민주당도 동시에 진행된 [[2020년 재보궐선거]]의 [[고성군(강원도)|고성군]] 군수 선거에서는 승리하며 체면 치레를 했다. 다른 강원도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광재]] 전 [[강원도지사]]의 후광 덕에 더불어민주당 후보도 최전방 지역 치고는 선전했다는 평이다. 특히 인제군 지역의 접전은 놀라운 부분.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4>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ffffff {{{+1 '''속초시·인제군·고성군·양양군'''}}}}}}]][br]{{{#ffffff 속초시 일원[*속초 교동, 영랑동, 동명동, 금호동, 노학동, 조양동, 청호동, 대포동.], 인제군 일원[*인제 인제읍, 남면, 북면, 기린면, 서화면, 상남면.], 고성군 일원[*강원고성 고성읍, 장전읍, 간성읍, 거진읍, 서면, 현내면, 죽왕면, 토성면, 수동면, 외금강면.], 양양군 일원[*양양 양양읍, 손양면, 현북면, 현남면, 강현면, 서면.]}}} || ||<|2>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비고''' || ||<|2> {{{#FFFFFF {{{+5 '''1'''}}}}}} || || 0 || || || [include(틀:더불어민주당)] || 00.00% || || ||<|2> {{{#FFFFFF {{{+5 '''2'''}}}}}} || || 0 || || || [include(틀:국민의힘)] || 00.00% || || ||<|2> {{{#000000 {{{+5 '''3'''}}}}}} || || 0 || || || [include(틀:정의당)] || 00.00% || || ||<|3> '''계''' || '''선거인 수''' || ||<|3> '''투표율'''[br]00.00% || || '''투표 수''' || || || '''무효표 수''' || || ---- [[국민의힘]]에서는 현역 [[이양수]] 의원의 재출마가 확실시된다.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역위원장인 박상진과 2023년 6월 7일부로 더불어민주당 입당과 함께 본 지역에 출사표를 낸 [[김도균(1965)|김도균]] 전 [[수도방위사령관]]이 본선 후보 자리를 두고 경선을 치를 것으로 보인다. [[분류:선거구/대한민국]][[분류:강원특별자치도의 정치]][[분류:속초시]][[분류:인제군]][[분류:고성군(강원특별자치도)]][[분류:양양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