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2024년 시즌, rd1=소형준/선수 경력/2024년)] [include(틀:kt wiz/간략(투수))] ||
'''{{{#fff 소형준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kt wiz 1차 지명 선수)] ---- [include(틀:kt wiz 개막전 선발 투수)] ---- ||
'''{{{#fff 소형준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일:external/66.media.tumblr.com/tumblr_o72v3jpgxR1sqk8veo8_r2_500.png|width=40]] '''2019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s-2]] MVP''' || ---- ||<-2>
[[파일:kt wiz 우승 엠블럼 V1.png|width=auto&height=70]][br]'''KBO 리그 한국시리즈[br]우승반지''' || || '''[[2021년 한국시리즈|{{{#ffffff 2021}}}]]''' || ---- [include(틀:KBO 신인상)] ---- || [[파일:일구상 로고.jpg|width=60]] '''2020 [[일구상]] 신인상''' || ---- [include(틀:KBO 월간 MVP/2016~2020)] ---- [include(틀:KBO 월간 MVP/2021~2025)] ---- ||<-5>
'''{{{#fff [[kt wiz|{{{#ffffff kt wiz}}}]] 등번호 30번}}}''' || || [[안승한]][br](2018) || {{{+1 →}}} || '''{{{#fff 소형준[br](2020~)}}}''' || {{{+1 →}}} || 현역 || }}} || ---- || '''{{{#FFFFFF A대표팀 참가 경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이강철호/2023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엔트리)] }}} || }}}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4소형준.jpg|width=100%]]}}} || ||<-2> '''kt wiz No.30''' || ||<-2> '''{{{+2 소형준}}}[br]蘇珩準 | So Hyeongjun''' || ||<|2> '''출생''' ||[[2001년]] [[9월 16일]] ([age(2001-09-16)]세) || ||[[경기도]] [[의정부시]] [[호원동]] ||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대한민국)] || || '''학력''' ||호암초(의정부리틀) - [[인창중학교(경기)|구리인창중]] -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 || || '''신체''' ||189cm | 92kg | [[B형]] || || '''포지션''' ||[[선발 투수]] || || '''투타''' ||[[우투우타]] || || '''프로 입단''' ||[[2020 KBO 신인 드래프트#s-3.2|2020년 1차 지명]] ([[kt wiz|kt]]) || || '''소속팀''' ||'''[[kt wiz]] (2020~)''' || || '''연봉''' ||2억 2,000만 원 (31.3%↓, 2024년) || || '''등장곡''' ||[[Imagine Dragons]] - 《Natural》[* 같은 팀의 야수 [[문상철]]과 등장곡이 같다.] || ||<-2><^|1>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가족''' ||아버지, 어머니[* 외동아들이다.] || || '''MBTI''' ||[[ESTJ]][* 구단 유튜브 검사에서는 ENTJ로 나왔으나 2022년, 인스타그램 스토리에서 ESTJ라고 밝혔다. 1년에 1번씩 검사를 했는데 ENTJ→ESFJ→ESTJ로 이동했다고 한다.] || || '''후원사''' ||[[미즈노]][* 한국미즈노 후원] || || '''에이전시''' ||[[어썸스포츠]] || }}}}}}}}} || ||<-2> [[https://www.ktwiz.co.kr/player/pitcher/detail?pcode=50030|[[파일:kt wiz 엠블럼.svg|width=30]]]]{{{#000,#fff |}}}[[https://instagram.com/hj_so_30|[[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width=25]]]] || [목차] [clearfix] == 개요 == [[kt wiz]] 소속 우완 투수. 2020년 KBO 신인왕 수상자로, 2006년 [[류현진]] 이후 처음으로 고졸 신인 선발 투수로서 10승을 달성한 선수이자, 1992년 [[정민철]]과 함께 고졸 신인 선발 투수로서 최다 연승인 7연승을 달성한 선수이다. == [[소형준/선수 경력|선수 경력]] == ||<-5>
'''{{{#ffffff 소형준의 선수 경력}}}''' || ||<-5> '''통합 선수 경력: [[소형준/선수 경력]]''' || ||<-5>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width=110]] || || [[소형준/선수 경력/2020년|'''{{{#ffffff 2020년}}}''']] || [[소형준/선수 경력/2021년|'''{{{#ffffff 2021년}}}''']] || [[소형준/선수 경력/2022년|'''{{{#ffffff 2022년}}}''']] || [[소형준/선수 경력/2023년|'''{{{#ffffff 2023년}}}''']] || [[소형준/선수 경력/2024년|'''{{{#ffffff 2024년}}}''']] || ||<-5> [[파일: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화이트 모자 로고 3.svg|width=30]] || ||<-5> [[소형준/선수 경력#s-4.1|'''{{{#FFFFFF 2023년}}}''']] || ||<-5> [[소형준/선수 경력#s-2|'''{{{#fff 아마추어 시절}}}''']] || == 플레이 스타일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형준패스트볼.gif|width=100%]]}}} || || '''152km/h 포심 패스트볼 vs[[박건우|{{{#fff 박건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형준투심.gif|width=100%]]}}} || || 147km/h 투심 패스트볼 vs[[호세 미겔 페르난데스|{{{#fff 페르난데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형준첸쟙.gif|width=100%]]}}} || || 129km/h 체인지업 vs[[김지수(1996)|{{{#fff 김지수}}}]]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소형준커브nc.gif|width=100%]]}}} || || 122km/h 커브 vs[[박민우|{{{#fff 박민우}}}]] || KBO에서 보기 힘든 변형 패스트볼 위주의 피칭을 하는 토종 투수로, 평균 140km/h 초반의 패스트볼을 던지는 우완 투수이다. 고등학교와 프로 첫 해에는 포심 패스트볼을 어느 정도 던졌으나 연차가 쌓일수록 점차 비중을 줄였다. 우타자에게는 주로 투심을, 좌타자에게는 커터[* 프로에서 [[오드리사머 데스파이네]]에게 배워 장착한 것이다.]를 주로 던지며, 좌우 상관없이 체인지업을 20%,커브를 10% 정도의 비율로 구사한다. 투심, 커터를 많이 던지는 투수들이 흔히 그렇듯 땅볼의 비율이 매우 높고, 삼진 비율은 상당히 낮다. 2022년 시즌 초반 투구폼에서 자유발을 드는 높이를 낮추고 살짝 멈추는 동작을 추가하며 키킹동작을 길게 가져가는 변화를 주었는데 이로 인해서 상대 타자들이 타이밍을 맞추는 데에 더 어려움을 겪게 되었고 소형준 본인의 언급에 따르면 축이 되는 다리에 무게중심이 더 실리며 머리가 고정되고 투구 밸런스도 더 좋아졌다고 한다. 이 시즌 구속도 더 빨라지며 스텝업에 성공해 뛰어난 성적을 거두었고 비록 후반기에 어깨가 좋지 않아 전반기 페이스에 비해서 아쉬운 모습을 보였지만 안우진-김광현-고영표에 이은 리그 토종선발 WAR 4위의 뛰어난 성적을 3년차에 기록하며 커리어 하이 시즌을 보냈다. 큰 경기에서 강하다. 데뷔 시즌부터 [[KBO 플레이오프/2020년|PO]] 1차전 선발로 나와 눈부신 호투를 보여준 것부터 시작해 3년차까지 포스트시즌 성적이 ERA 1.5도 채 되지 않는 좋은 성적을 보여주고 있다. 2021년까지는 항상 포스트시즌에서 자신이 상대전적에서 매우 강했던 두산을 상대했던지라 좋은 성적을 낸 것으로 여겨지기도 하였지만 2022년 포스트시즌에서 상대 전적이 그리 좋지 못했던 KIA와 키움 타선을 상대로도 호투하였다. == 여담 == * 아버지가 [[해태 타이거즈]]의 열혈 팬이었으나 어릴 적 집안 반대로 못 이뤘던 야구 선수의 꿈을 아들이 태어나면 꼭 이루도록 하리라 결심했고, 이에 따라 소형준도 어릴적부터 이모와 부모님을 비롯한 가족들이 야구를 좋아해서 자주 경기를 보러 다니며 야구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 * 초등학교에 입학한 2008년 리틀 야구단에 입단하여 집에서 매일 팔굽혀펴기 60개와 섀도우 피칭 100개를 하며 투구의 기본기를 익혔다. * 본인 키는 187cm로 크지만 부모님 키(아버지 173cm, 어머니 160cm)는 대한민국 평균 정도인데 밤 9시 전에 잠들고 자주 스트레칭을 하는 습관 덕이었는지 중학교 입학 때 163cm에 불과했던 키가 졸업 무렵엔 180cm을 넘겼다고 한다. * 구리 [[인창중학교(경기)|인창중학교]]를 졸업한 후 원래는 서울 [[장충고등학교 야구부|장충고등학교]]에 진학하려고 했었으나 소형준의 잠재력을 알아본 유신고등학교 감독과 민유기 야구부장, 코칭스태프의 설득으로 최종적으로는 장충고등학교 대신 [[유신고등학교 야구부|유신고등학교]]에 입학했고, 수원 연고팀 [[kt wiz]]의 1차 지명을 받을 수 있었다. 만약 유신고 대신 장충고에 입학했으면, 전학생 규정에 걸려 1차 지명을 못 받고 2차 지명으로 나와야 했을 수 있었다. * 같은 해 [[키움 히어로즈]]에 1차지명된 [[박주홍(타자)|박주홍]]과는 친구라고 한다. * 별명은 대형준[* 여기서 파생된 별명인 '대형투수'도 있는데, 그 예시로 2022년 7월 3일 두산전 7이닝 10탈삼진 무실점을 기록했을 때 [[김민준(아나운서)|김민준]] 캐스터가 '대형투수 소형준'이라고 한 것이 있다.], 꽃형준, [[작을 소|스몰준]],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시리즈#s-4.8|삼진형준]] 등이 있다. 10승을 달성한 이후의 별명은 특대형준[* 또는 메가형준, 기가형준, 테라형준 등으로 점점 큰 단위로 변형해 부르기도 한다.]이며, 가장 아끼는 별명은 ‘필소굿(feel so good)’이라고. 사실 키가 187cm라 체격이 크기는 하다. * 라디오볼에서 밝힌 바로는 어렸을 때 [[두산 베어스]]의 팬이었고 두산 어린이 회원 출신이라고 밝힌 적이 있다. 그런데 본인은 '''[[두나쌩 클럽|두산을 상대로 매우 강하다.]]''' 두산 팬들은 소형준만 보면 거의 경기를 일으키는 수준. 오죽하면 유튜브 두산 팬계정[* 일단 팬계정이긴 한데, [[https://www.youtube.com/channel/UCCW6tw303_F5OTMaKRKUAyA|시발 베어스]]라는 범상찮은 이름만 봐도 알 수 있듯이 [[2017년 한국시리즈]] [[김재호]] 플라이 모음집, [[2018년 한국시리즈]] [[박건우]] 안타 모음집 등 두산 팬들이 PTSD가 올만한 영상 위주로 올리고 있다.]에 [[https://youtu.be/Yv2XfYgNnJo|소형준 두산 상대 탈삼진 모음집]]이 올라올 정도. 그래서인지 올스타전에서 [[철웅이]]에게 주먹으로 맞았다.[* 그리고 철웅이는 이듬해에는 팀의 두나쌩 선발인 [[고영표]]를 공격했다.] * [[두산 베어스]] 만큼이나 [[SSG 랜더스]]를 상대로도 무척 강한 모습을 보인다. * 커터를 배운 방법으로 그립은 팀의 외인투수인 데스파이네와 [[윌리엄 쿠에바스]]에게 배우고 전체적인 느낌은 유튜브를 통해 [[류현진]]이 던지는 모습을 참고해 이미지 트레이닝을 했다고 한다. * [[야잘잘]]의 법칙을 거스르며, 타격엔 재능이 없는 편이라고 밝혔다. * [[가지]]와 [[당근]]을 싫어한다. * 가장 친한 선수는 [[천성호]]. 위즈티비에서 무인도에 간다면 데려갈 선수를 꼽아달라고 할 때 고르기도 했다. * 한때 같은 팀의 투수진에 같은 생일인 선수가 2명이나 있었다. [[고영표]], [[김재윤(야구선수)|김재윤]]과 생일이 동일하다. 고영표는 선발투수이기 때문에 같은 날 경기에 설 일이 거의 없으나 2021년 10월 30일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에서 [[고영표]]를 불펜으로 투입하며 생일이 같은 투수 3명만으로 경기를 치르는 전무후무한 일이 발생했다. 김재윤이 2023 시즌을 끝으로 kt를 떠나며 현재는 한 명이 되었다. * 초등학교 시절 대회에서의 투구 영상이 돌아다니고 중계 화면에도 송출된 적이 있는데, 현재와 똑같은 외모로 마이크로형준이라는 별명이 생기기도. 어릴 때나 현재나 잘 관리된 체형을 유지하지만 [[젖살]]이 남아있는 탓인지 얼굴만 다소 통통한 편이다. * 소형준에 대해서 더 많은 내용이 궁금하다면 [[https://youtu.be/A7m7kZ4tCZU|kt wiz 공식 유튜브에 올라온 영상]]을 참고하도록 하자. * 아직 에이전트에 대한 관심은 없다고 한다. 따라서 첫 연봉 협상을 직접 하게 되었다. 본인의 말에 따르면 각종 에이전시에서 연락이 많이 왔지만 지금으로선 그런 게 필요하지 않다 생각한다고. 그러나 지금은 에이전트의 중요성을 깨달았는지 어썸스포츠 소속이다. * [[파일:소형준 졸업사진.png]] [br] [[스티브 잡스]]를 패러디한 고등학교 졸업사진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공교롭게도 모기업 [[KT]]는 [[아이폰]]을 국내 최초 발매한 곳이기도 하다.][* 다만 [[이강인]]과 통화할 때는 [[갤럭시 S10 5G]]를 쓰는 모습이 포착되기도 했다. 아마 졸업사진을 찍었을 때 아이폰을 쓰다가 폰을 바꿨거나 혹은 사진 찍을 때 패러디한다고 다른 사람의 아이폰을 잠깐 빌렸을 수도 있다.] * 동갑내기인 축구선수 [[이강인]]과 꽤나 친하다. 이강인이 [[kt스포츠]]의 후원을 받다 보니 kt스포츠에서 제작한 스포츠 콘텐츠에 참여하면서 소형준과 친분을 쌓았다고 한다. 2022년 6월 22일 이강인이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시구를 할 때도 소형준이 직접 시구 지도를 맡았으며, 이강인이 소형준에게 자신이 싸인이 담긴 축구대표팀 유니폼을 선물하기도 했다. 2023년 10월엔 홈구장 바로 옆인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베트남전에 티켓을 선물받아 직관을 가기도 했다.[* 소형준 뿐만 아니라 외국인 선수들인 [[웨스 벤자민]], [[윌리엄 쿠에바스]], [[앤서니 알포드]]도 같이 직관을 갔었다. [[손흥민]]의 유니폼을 입었었다고 하며, 통역사를 통해 표를 구했다고 한다.] *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도경완]]의 딸 하영이와 닮았다. * [[아웃 오브 더 파크 베이스볼 시리즈|OOTP]] 22에서 시리즈 처음으로 한글화가 되었는데, 성인 소(SO)씨가 '''삼진아웃(Strike Out)'''으로 오역이 되어서 '''삼진형준'''으로 번역된 적이 있었다. * 2000년대생 야구선수 중 최초로 신인왕이 되었다.[* 전년도 수상자인 [[정우영(야구선수)|정우영]]도 고졸 신인은 맞으나, 1년 유급하여 그 전년도 수상자인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와 동갑인 1999년생이다.] * 2021년 12월 26일 같은 회사, 같은 연고 농구팀의 수원 kt 소닉붐 vs 서울 SK 나이츠 경기를 [[수원 KT 소닉붐 아레나]]에서 [[강백호(야구선수)|강백호]]와 함께 직관했다. * 영어 유치원 출신이라고 밝혔다. 물론 유창하게 영어를 구사하는건 아닌듯 보이나 짧은 영어로도 외국인 선수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정도의 실력을 갖춘 것으로 보인다. [[파일:소형준 내맘대로 올스타.jpg]] * kt wiz 구단 유튜브 [[kt wiz - 위즈TV]]에 출연하는 비중이 굉장히 높다. 사실상 '''위즈티비 대주주.''' 실제로도 대부분의 개그스러운 콘텐츠의 출연 비중에서 열에 아홉은 소형준이 있다. 한 번은 다른 선수들을 제치고 올스타 선정하고 싶은 선수 1등에 자기 이름을 쓰기도 했는데[[https://youtu.be/LIc3Jla4Xqg|#]] [[그런데 그것이 실제로 일어났습니다|정말로 감독 추천으로 2022년 올스타에 뽑혔다.]] 그 외에도 팬서비스가 굉장히 좋고, 특유의 낙천적인 성격으로 팬들에게 많은 환호를 받는다. * 2022 시즌 개막을 앞두고 미디어데이에서 [[박병호]]와 함께 호그와트 마법사 컨셉으로 교복을 입었는데 정말 잘 어울린다. * [[2022년]] 만우절에는 먹방 유튜버 "대형준TV" 컨셉으로 구장 내 음식점 먹방을 했다.[[https://youtu.be/0X9x-RlXJfc|#]] 훗날 은퇴하게 된다면 유튜버를 하고 싶다고 밝혔다. * kt의 영구결번이 꿈이라고 한다. * 고등학교 시험시간에 본인이 대형 스타가 될 것을 알았는지 문제를 풀기 보다는 시험지 뒷면에 계속 사인 연습을 했다는 당시 교사의 증언이 있다. * 고교 시절 유종겸 코치로부터 투심을 배웠다. * [[이대호]]가 선수시절 말년에 상대하기 힘든 투수로 꼽았다 == 관련 문서 == [include(틀:달려라! 오대장 멤버)] * [[야구 관련 인물(KBO)]] * [[kt wiz/선수단]] [각주] [[분류:소형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