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c102c , #DB153D)" '''{{{#!html 소피아 로렌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AFI 선정 가장 위대한 배우)] ---- [include(틀:아카데미 공로상)] ---- [include(틀:베니스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사자상)] ---- [include(틀:베를린 국제 영화제 명예 황금공상)] ------- [include(틀:역대 골든글로브 세실 B. 드밀상 수상자)] ---- [include(틀:역대 세자르 공로상 수상자)] ---- ||<-5>
{{{#e5d85c ''' 역대 [[베니스 영화제|{{{#e5d85c 베니스 영화제}}}]]''' }}} || ||<-5> [[파일:베니스 국제 영화제 로고.svg|width=180]] || ||<-5> [[베니스 국제 영화제/볼피컵 여우주연상|{{{#e5d85c '''볼피 컵 - 여우주연상'''}}}]] || || ''' 제18회[br]([[1957년]]) ''' || {{{+1 → }}} || ''' 제19회[br]([[1958년]]) ''' || {{{+1 → }}} || ''' 제20회[br]([[1959년]]) ''' || || 지드라 리텐베르가[br](Malva) || {{{+1 → }}} || '''소피아 로렌[br](검은 난초)''' || {{{+1 → }}} || 마들렌 로벵송[br](레다) || ||<-5> || ---- ||<-5>
{{{#e5d85c ''' 역대 [[아카데미상|{{{#e5d85c 아카데미 시상식}}}]]'''}}} || ||<-5> [[파일:oscar_logo.svg|width=80]] || ||<-5> [[아카데미 여우주연상|{{{#e5d85c '''여우주연상'''}}}]] || || '''제34회[br]([[1961년]])''' || {{{+1 → }}} || '''제35회[br]([[1962년]])''' || {{{+1 → }}} || '''제36회[br]([[1963년]])''' || || [[엘리자베스 테일러]] [br]([[버터필드 8]]) || {{{+1 → }}} || '''소피아 로렌 [br](두 여인)''' || {{{+1 → }}} || [[앤 밴크로프트]][br](미라클 워커) || ||<-5> || ---- ||<-5>
{{{#e5d85c ''' 역대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e5d85c 다비드 디 도나텔로상 시상식}}}]]''' }}} || ||<-5> [[파일:David di Donatello logo.png|width=300]] || ||<-5> {{{#e5d85c ''' 여우주연상 ''' }}} || || ''' 제5회 [br] ([[1960년]]) ''' || {{{+1 → }}} || ''' 제6회 [br] ([[1961년]]) ''' || {{{+1 → }}} || ''' 제7회 [br] ([[1962년]]) ''' || || 수상자 없음 || {{{+1 → }}} || '''소피아 로렌 [br] (두 여인) ''' || {{{+1 → }}} || 수상자 없음 || ||<-5> || || ''' 제8회 [br] ([[1963년]]) ''' || {{{+1 → }}} || ''' 제9회 [br] ([[1964년]]) ''' || {{{+1 → }}} || ''' 제10회 [br] ([[1965년]]) ''' || || 실바나 망가노 / [[지나 롤로브리지다]] [br] (베로나의 재판 / Venere imperiale) || {{{+1 → }}} || '''소피아 로렌 [br] (사랑의 변주곡) ''' || {{{+1 → }}} || 소피아 로렌 [br] (이태리식 결혼) || ||<-5> || || ''' 제10회 [br] ([[1965년]]) ''' || {{{+1 → }}} || ''' 제11회 [br] ([[1966년]]) ''' || {{{+1 → }}} || ''' 제12회 [br] ([[1967년]]) ''' || || 소피아 로렌 [br] (사랑의 변주곡) || {{{+1 → }}} || '''소피아 로렌 [br] (이태리식 결혼) ''' || {{{+1 → }}} || 줄리에타 마지나 [br] (영혼의 줄리에타) || ||<-5> || || ''' 제14회 [br] ([[1969년]]) ''' || {{{+1 → }}} || ''' 제15회 [br] ([[1970년]]) ''' || {{{+1 → }}} || ''' 제16회 [br] ([[1971년]]) ''' || || [[지나 롤로브리지다]] / [[모니카 비티]] [br] (애인 관계 / 권총을 가진 여자) || {{{+1 → }}} || '''소피아 로렌 [br] ([[해바라기(동음이의어)#s-2.3|해바라기]]) ''' || {{{+1 → }}} || 플로린다 볼칸 / [[모니카 비티]] [br] (베니스의 사랑 / Ninì Tirabusciò) || ||<-5> || || ''' 제18회 [br] ([[1973년]]) ''' || {{{+1 → }}} || ''' 제19회 [br] ([[1974년]]) ''' || {{{+1 → }}} || ''' 제20회 [br] ([[1975년]]) ''' || || 플로린다 볼칸 / 실바나 망가노 [br] (Cari genitori / Lo scopone scientifico) || {{{+1 → }}} || '''소피아 로렌 / [[모니카 비티]] [br] (항해 / 별의 눈물) ''' || {{{+1 → }}} || 마리안젤라 멜라토 [br] (La poliziotta) || ||<-5> || || ''' 제22회 [br] ([[1978년]]) ''' || {{{+1 → }}} || ''' 제23회 [br] ([[1979년]]) ''' || {{{+1 → }}} || ''' 제24회 [br] ([[1980년]]) ''' || || 마리안젤라 멜라토 [br] (디어 마이클) || {{{+1 → }}} || '''소피아 로렌 / 마리안젤라 멜라토 [br] (특별한 날 / 고양이) ''' || {{{+1 → }}} || [[모니카 비티]] [br] (나의 사랑) || ||<-5> || ---- ||<-5>
{{{#e5d85c ''' 역대 [[칸 영화제|{{{#e5d85c 칸 영화제}}}]]''' }}} || ||<-5>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width=190]] || ||<-5> [[칸 영화제/여우주연상|{{{#e5d85c '''여우주연상'''}}}]] || || ''' 제13회 [br] ([[1960년]]) ''' || {{{+1 → }}} || ''' 제14회 [br] ([[1961년]]) ''' || {{{+1 → }}} || ''' 제15회 [br] ([[1962년]]) ''' || || [[잔느 모로]] / [[멜리나 메르쿠리]] [br] (모데라토 칸타빌레) / (일요일은 참으세요) || {{{+1 → }}} || ''' 소피아 로렌 [br] (두 여인) ''' || {{{+1 → }}} || [[캐서린 헵번]] / 리터 투싱햄 [br] (밤으로의 긴 여로) / (꿀맛) || ||<-5> || ---- [include(틀: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한글명=소피아 로렌,영어명=SOPHIA LOREN,분야=영화,입성날짜=1994년 2월 1일,위치=7050)] }}} || ||<-2>
'''{{{+1 소피아 로렌}}}[br]Sophia Loren''' || ||<-2>{{{#!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Annex - Loren, Sophia_04.jpg|width=100%]]}}} || || '''본명''' ||소피아 코스탄차 브리지다 빌라니 시콜로네[br]Sofia Costanza Brigida Villani Scicolone|| ||<|2> '''출생''' ||[[1934년]] [[9월 20일]] ([age(1934-09-20)]세)|| ||[[이탈리아 왕국]] [[로마]]|| || '''국적''' ||[include(틀:국기, 국명=이탈리아)] | [include(틀:국기, 국명=프랑스)]|| || '''직업''' ||[[배우]]|| || '''활동''' ||[[1950년|1950년 ~ ]][[현재]]|| || '''신체''' ||174cm|| || '''배우자''' ||카를로 폰티^^(1957년 결혼 ~ 1962년 무효, 1966년 결혼 ~ 2007년 사별)^^|| || '''자녀''' ||장남 [[카를로 폰티 주니어]]^^(1968년생)^^[br]차남 [[에도아르도 폰티]]^^(1973년생)^^|| || '''종교''' ||[[가톨릭]] {{{-2 ([[세례명]]:[[소피아]])}}}|| || '''서명''' ||[[파일:소피아 로렌 서명.gif|height=60&bgcolor=#fff]]|| || '''링크''' ||[[https://www.imdb.com/name/nm0000047|[[파일:IMDb 로고.svg|height=20]]]] || [목차] [clearfix] == 개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pbs.twimg.com/CMw_M_dWIAAprZN.png|width=100%]]}}}|| [[이탈리아]]의 배우. == 위상 == [[할리우드]]와 [[이탈리아 영화]]계에서 연기력, 관능미를 모두 겸비했다고 평가받은 여배우이다.[[AFI]] 선정 가장 위대한 여성 배우 21위[* [[https://www.afi.com/afis-100-years-100-stars/|#]]]에 선정되었다. '''최초의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비영어권 수상자'''[* 다른 한명은 프랑스어로 수상한 <[[라 비 앙 로즈(영화)|라 비 앙 로즈]]>의 [[마리옹 코티야르]]이다.]다. 이탈리아 영화 전성기에 [[안나 마냐니]], [[지나 롤로브리지다]], [[클라우디아 카르디날레]], [[모니카 비티]]와 더불어 세계의 주목을 받은 여성 배우 중 하나로, 이들 중 가장 큰 국제 인지도와 명성을 얻었다. == 외모 특징 == 어렸을 때는 지독한 가난과 6살 때 터진 [[제2차 세계 대전]] 때문에 너무 굶는 바람에 "비쩍 마르고 못생겼었다"고 자평할 정도였지만, "15살이 되면서 몸이 자라 굴곡이 생기자 길거리 남자들이 휘파람을 불어대기 시작했다." "얼굴은 뭉툭하고, 입은 너무 크고, 코가 너무 길어서" "카메라에 담을 수가 없다"고 불평을 듣던 독특한 외모와 아우라는 하나의 이미지가 되어 [[이탈리아]]를 대표하는 미인상으로 자리잡아 아직까지도 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돌체 앤 가바나]] 같은 패션 브랜드에서 차용하기도 한다. 또한 그녀처럼 우아하게 늙고 싶다며[* 나이 90세를 향해가지만 꽤 동안인 데다가 젊은 시절의 아우라가 그대로 있기 때문에 잘 늙었다는 말이 많다.] 본으로 삼는 후배 여배우들도 종종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afedc9701bb511ef2ef4b708bca2352f.jpg|width=100%]]}}}|| 노란색, 초록색, 갈색이 섞인 다채롭고 보석같은 눈색 덕에 '''[[호랑이]]의 눈'''이라는 뜻인 "'''eyes of tiger'''"라는 별명이 있다. 80세 때 인터뷰를 진행했던 한 기자는 '''"[[벌집]] 위에 [[초콜렛]]을 녹여 부은 것 같다"'''고 묘사했다. == 생애 == === 출생 비화 === 로렌은 [[MGM]]이 주최한 [[그레타 가르보]] 닮은꼴 대회에서 우승했던 배우지망생[* [[MGM]]이 신인 발굴을 위해 개최한 대회에서 우승을 했기 때문에 바로 [[미국]]에서 데뷔할 수 있었는데 홀로 외국에 가기엔 너무 어리다고(미성년자였다) 부모님이 반대해 좌절됐다.]이 낳은 '''[[사생아]]'''였다. 자신을 영화관계자라고 속여 로렌의 어머니를 꼬드긴 귀족 출신의 부유한 친부 리카르도 시콜로네는[* [[시칠리아]]의 도시 아그리젠토의 후작 아들이었다. 건축기사라서 직접 버는 소득은 그리 높은 편이 아니었지만, 집안엔 돈이 많았다. 이탈리아 언론에선 이 친부를 '부잣집 망나니의 전형'이라고 한다.] 로렌의 어머니가 로렌을 [[임신]]한 걸 알자마자 버려버렸다.[* 그리고 나중에 다른 여성에게서 아들 둘을 보았다.] 그럼에도 어머니는 친부를 평생 사랑했고, 1938년엔 다시 로렌의 친부와의 사이에서 여동생까지 낳았다. 로렌은 이런 어머니를 매우 미련하게 여기면서도 안타까워했고, 아버지의 부재를 뼈 아파하는 한편 무책임한 아버지를 경멸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d71a1664e1ffce9448537a525a351008--sophia-loren-father.jpg|width=100%]]}}} || || 아버지와 로렌 || 어머니는 너무 굶어서 아기 로렌에게 먹일 젖마저 마르자 친정에 몸을 의탁했고, 로렌은 [[나폴리]] 인근 포츠올리라는 가난한 항구도시에 있던 외조부모 집에서 자랐다. 외조부모는 로렌에게 젖 먹이는 유모에게 돈을 지불하기 위해 고기를 일체 끊었다. 인심이랄 게 전혀 존재하지 않는 동네라 도와주는 사람 하나 없었다. [[미군]]들에게 음식을 구걸해야 했고, 10대엔 너무 말라서 별명이 '[[이쑤시개]] 소피아'(Sofia Stuzzicadenti)였다. 1949년 엄마가 내보낸 [[미인대회]]인 'La Regina del Mare'(바다의 여왕) 대회에 나갈 때도 입을 예복이 없어 외할머니가 집에 걸려있던 분홍색 호박단 [[커튼]]을 뜯어서 [[드레스]]를 만들어주었다. 엄마는 로렌의 유일한 구두에 흰색을 칠해줬다. 부디 그날 비가 내려 물감이 씻겨내려가지 않기만을 하느님에게 빌며. 우승엔 실패했지만 12명의 공주 중 한 명이 될 수 있었다. 상품 중엔 로렌의 꿈을 이뤄줄 도시인 [[로마]]행 기차표가 포함돼있었다. 그렇게 로렌은 어머니와 로마에 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fia2.jpg|width=100%]]}}} || || 7번이 '바다의 공주'가 된 로렌이다 || 로렌은 영화 엑스트라로 일하다가 1950년에 미스 이탈리아에서 Miss Eleganza[* '맵시상' 정도 된다.]로 뽑혀 그림 대신 사진으로 만들어지는 여성독자 대상 만화책[* fotoromanzo.]의 사진모델로 뛰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loren-beauty-9.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453full-sophia-loren.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21_113707.jpg|width=100%]]}}} || ||<-3> 미스 이탈리아 출전 모습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815ffab30d30ddf6a4951ccc3ecf547.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30106_222445.jpg|width=100%]]}}} || ||<-2> 로렌이 모델로 뛴 사진만화책의 일부 || 이 와중에 막장 친부는 사생아인 로렌을 로마에서 쫓아내기 위해 "로렌과 어머니가 윤락업소를 운영하고 있다"고 거짓 신고를 해댔다. 로마 경찰의 조사에서 이는 당연히 사실이 아닌 걸로 드러났다.[* 다만 [[이탈리아]] 언론의 탐사에 따르면 어머니가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매춘]]을 한 적이 있다고 한다. 굶기를 예사로 하다가 할 수 없이 동네 주민들을 상대했다고. 로렌은 이를 제대로 부인하지 못했다. 물론 이는 주머니 사정이 넉넉하면서도 부양 책임을 전혀 지지 않은 친부의 잘못이 크다.] 평소 [[연예인]]이라는 직업을 천시하던 친부는 하필 자기 핏줄인 로렌이 연예인이 된 걸 매우 수치스러워했다. 친부 리카르도 시콜로네는 사생아인 로렌에게 시콜로네 성(姓)을 내준 것을 후회했던 모양으로, 로렌과 마찬가지로 [[사생아]]였던 여동생에게까지 자기 성을 주는 것만큼은 완강히 거부했다. 그래서 로렌은 처음 번 영화 출연료로 회유해 친아버지의 성을 '사서' 여동생에게 줘야만 했다. 물론 돈이 궁한 사람이 아니었기 때문에 돈이 필요해서 그런 것이 아니었고, 사생아에게 자기 성을 그냥은 주기 싫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었다. 로렌은 이 막장 친부를 평생 딱 3번 만났다.[* 그런데 또 어떤 인터뷰에선 어머니가 전화로 아버지에게 자주 자신과 관련된 거짓말을 해서 찾아오게 만들곤 했다고 말했다. 그래도 로렌의 친부가 양육비를 정말 단 한 푼도 주지 않았고 성장기의 중요한 순간마다 곁에 없었다는 건 교차검증된 바다.] 마리안나 피아 빌라니 시콜로네(Marianna Pia Villani Scicolone), 보통 마리아 시콜로네(Maria Scicolone)라고 불리는 이 여동생도 연예계 활동을 했는데 1962년 이탈리아의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의 막내 아들인 로마노 무솔리니[* Romano Mussolini. 1927 - 2006. 재즈 피아니스트, 작곡가, 화가 등으로 예술 활동을 했다.]와 결혼해 두 딸을 낳고 살다가 로마노 무솔리니의 잦은 외도 때문에 1976년 이혼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afhgdhTGQAHW.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loren-madre.jpg|width=100%]]}}} || || 여동생과 무솔리니 아들의 결혼식 || 참석한 로렌과 어머니 || 즉 로렌은 무솔리니 가문과 한때 사돈이었고, 여동생 부부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베니토 무솔리니의 손녀인 [[이탈리아]]의 극우 정치인 [[알레산드라 무솔리니]]에겐 이모가 된다. 공교롭게도 로렌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무솔리니 치하의 이탈리아를 배경으로 한 영화 <[[해바라기(동음이의어)#s-2.3|해바라기]]>(1970)와 <특별한 날>(1977)에 주인공으로 출연한 바 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f0153f58c7268bbb8bd7507d8352112.jpg|width=100%]]}}} || || 세 모녀 || === 사생활 === 1950년 친구들과 [[콜로세움]] 근처 식당에서 춤을 추고 있을 때, 이미 거물이었던 영화제작자 카를로 폰티가 다가왔다. 로렌은 자신에게서 큰 가능성을 발견해준 이 "작고" "통통한" 남자와 지금껏 살아온 얘기를 나누다가, 자신의 내면을 직관적으로 파악해주는 점에 마음을 빼앗겼다. 로렌이 16살, 카를로 폰티가 38살이었으므로, 둘의 나이 차이는 22살이었다. 그런데 로렌은 2015년에 발간한 자서전 "[[https://www.amazon.com/Yesterday-Today-Tomorrow-My-Life/dp/1476797439|Yesterday, Today, Tomorrow: My Life]]"[* 1963년에 찍은 [[비토리오 데 시카]]의 코미디 3부작 제목에서 따왔다. 여기에서 로렌은 다양한 역할들을 연기했다.][* 다만 이 [[자서전]]에 실린 내용의 신빙성에 대해선 상당수 기자들이 의문을 표하고 있다. 사건을 실제보다 축소하거나 어머니와 자신을 미화한 내용이 많다고.]을 통해 폰티와 사귀고 있을 당시 [[케리 그랜트]]와 [[불륜]] 관계였음을 밝혔다. 1957년 최초의 [[미국 영화]]인 <자랑과 정열>을 [[스페인]]에서 찍을 때 벌어진 일이다. 폰티가 로렌을 위해 따낸 역할이었다. 그랜트는 감독 스탠리 크레이머에게 로렌을 "[[치즈케이크|그 가슴덩어리 여자]]"라고 표현할 정도로 싫어해서 같이 작업하게 됐다는 걸 알았을 때 화를 냈지만, 정작 첫 만남에서 반해버렸다. 세 번째 아내와 결혼생활 중이었던 그랜트는 로렌보다 30살 연상[* 그랜트는 1907년생인 로렌의 아버지, 1910년생인 어머니보다 나이가 더 많다.]이었고, 로렌은 폰티와의 결혼이 코앞이었다. 연상들에게 끌린 이유를 로렌은 "아버지상을 찾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또 다른 매체에서 재확인차 묻자 "아버지상을 찾고 있어서는 절대 아니었다"고 했다.] 그러나 연상이라고 다 좋은 것은 아니었고 "제대로 된" 남자여야 했고, 그랜트와 폰티만이 그 기준에 부합했다. 그랜트는 "로렌을 위해 모든 것을 버릴" 준비가 돼있었다. 그랜트는 1958년 당시 아내의 착상에서 만들어진 영화 <달빛 아래서>를 찍을 때 아내가 맡기로 했던 역할도 로렌에게 줘버렸다.[* 결국 그랜트의 아내는 그랜트의 불륜을 이유로 이혼을 요구했다.] 로렌은 이 작품을 통해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게 된다. 감독 멜빌 쉐이벌선은 나중에 "두 사람 사이에 튀던 성적 긴장감 때문에 촬영이 매우 어려웠다"고 술회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20_110208.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l1-728x973.jpg|width=100%]]}}} || ||<-2>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0920_105854.jpg|width=100%]]}}} || 그렇게 "두 남자"와 "두 세계" 사이에서 갈등하던 로렌은, 고민 끝에 폰티를 택하기로 마음을 정하고 있었다. 폰티는 "같은 [[이탈리아]] 출신이라 자신의 세계에 속한 사람"이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던 중 쐐기를 박는 일이 터진다. "로렌의 [[변호사]]들이 [[멕시코]]에서 폰티와 로렌을 대리결혼시켰다"는 기사가 뜬 것이다. 로렌은 "변호사들이 일방적으로 폰티와 내가 없는 자리에서 저질렀고, 나와 폰티 둘 모두에게 금시초문인 당혹스러운 일이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다가 "[[멕시코]]에서 예식을 치른 건 사실 맞지만 증인이 없었으니 법적인 예식으로 칠 수 없는 일이었다"고 해명하기도 했다. 그런데 당시의 [[라이프(잡지)|라이프]]지 등 공신력 있는 언론매체들의 기사들은 또 아예 다른 얘기를 하고 있다. 로렌과 폰티가 [[로마]]에서 변호사들에게 직접 대리 결혼 공증을 부탁하며 서류에 사인을 해줬고, 그래서 변호사들은 이후 시키는 일을 했을 뿐인데, 해당 서류가 [[멕시코]] [[후아레스]]의 서류보관함에서 감쪽같이 없어져, 이 모든 게 어떻게든 결혼이 하고 싶었던 폰티와 로렌 커플이 작정하고 저지른 짓이라는 증거가 사라진 거라고. 어쨌든 그랜트도 어안이 벙벙했지만, 곧 "신사답게" 로렌의 "행복을 빌며" 물러나주었다고 한다. [[가톨릭]] 국가인 이탈리아 특성상[* [[가톨릭]]에서는 이혼을 인정하지 않는다. 단 결혼 과정에서 속인 것이 있거나, 결혼생활을 지속할 수 없는 중대한 사유가 있을 경우, '혼인무효'는 가능하다. 자세한 이야기는 [[혼인성사]] 참조. 과거 가톨릭 국가에서는 교리를 따라 법률상으로도 이혼이 금지된 경우가 많았다. [[이탈리아]]는 1970년대에, [[아일랜드]]는 1990년대가 되어서야 이혼이 허용되었다.] 폰티가 법적으로 이혼하진 못한 상태였다. 즉 [[중혼]]이 된 것. 언론과 정부는 매일 뭇매를 때렸고, 폰티와 로렌은 [[미국]], [[프랑스]], [[스위스]]로 망명을 다녔다. 같은 외국인인 [[잉그리드 버그먼]]의 예로 알 수 있듯이 당시 미국은 불륜을 저지른 모든 스타들을 비판하는 게 아니라 특정인물에게만 이중잣대를 적용해 매장 시키려 들었고[* AFI 위대한 배우 리스트에 오른 50명의 배우들 중 셋만 제외하고 전부 불륜 경험이 있음에도 버그먼과 [[엘리자베스 테일러]]만이 질타 당했다.] 특히 외국인에게 매정했는데, 로렌의 경우엔 이탈리아에서 하도 심하게 매도해서 미국에선 오히려 감싸주는 여론도 있었다. 이때 폰티와 관계가 소원해져있던 [[변호사]] 아내가 이혼이 허용돼있는 프랑스의 시민권을 같이 따면 어떻겠냐고 제안했다. 1962년 폰티는 [[멕시코]]에서 가졌던 [[결혼]]을 무효화했고, 1964년엔 아내와 [[프랑스 파리]]로 갔고, 1965년 아내와 공식 이혼을 한 뒤, 1966년 4월 9일 로렌과 재혼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yc27424-teaser-story-big.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946f7fbf9415174ab7ce8d0ba5913c0f.jpg|width=100%]]}}} || 로렌은 대체로 남편에게 충실했으나, 잠시 [[그레고리 펙]]과는 관계가 있었음을 자서전에서 암시했다.[* 이를 뒷받침 하는 증인이 없어 사실 여부는 알 수 없다. 로렌은 펙을 각별히 여겨 가족사진 장식대에도 펙과 찍은 사진만큼은 예외로 포함시켰다.[[http://online.wsj.com/articles/actress-sophia-lorens-favorite-things-1403630659|#]]] 반면 폰티는 무수한 여성들과 평생 바람을 피워 [[이탈리아]] 언론에 매일같이 오르내렸다. [[이혼]] 위기도 자주 닥쳤다. 이처럼 로렌의 어머니, 로렌, 로렌의 여동생이 전부 자신이 가장 사랑한 남자에게 끝없이 배신 당하며 고통 받았기 때문에 이를 씁쓸한 인생유전으로 보기도 한다. 그래도 로렌은 폰티가 2007년 폐합병증으로 사망할 때까지 결혼생활을 지속했고 현재까지도 혼자 살고 있다. 인터뷰 중에 "재혼할 생각이 있냐"는 질문에 "절대 하지 않을 것이다, 다른 누군가를 사랑하는 것은 불가능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남편에 대한 사랑을 드러내기도 했다. 로렌은 폰티가 자신을 "업계에서 보호하려고 매우 노력했다"며 이 점에 감사를 표했다. 로렌이 활동한 시대에 연예계를 쥐고 흔들던 [[마피아]]들을 떠올려보면 매우 의미심장한 발언이다. 폰티가 오히려 불법도 서슴치 않던 부도덕한 인물이었기에 로렌을 지킬 수 있었다는 것. 로렌은 그랜트는 "매우 잘생기고 훌륭한 배우"였지만 "너무 거물이었고 삶에서 너무 큰 변화를 원친 않았기 때문에" 폰티를 택한 것에 대한 후회는 없다고 했다. 그러나 미련이 남은 그랜트는 <두 여인>(1960)의 촬영장에 왔고, 나중엔 로렌이 [[뉴욕]]에서 영화를 찍을 때 집에 찾아오기까지도 했는데, 그때 로렌은 이미 폰티와 아들을 하나 얻은 상태였다. 로렌은 "그랜트가 청혼한 적이 있다"며 자세히 묘사했는데, 나중엔 "청혼한 적은 없다"고 말을 바꿨다. 어쨌거나 두 사람이 관계가 있었다는 건 당시 둘을 지켜본 제작진들도 확인해주는 바다. 영화 <자랑과 정열>의 작가 얼 펠튼의 [[할리우드]] 생활을 극화한 [[BBC Radio 4]]의 라디오극 "[[https://www.bbc.com/mediacentre/proginfo/2015/51/the-gun-goes-to-hollywood|The Gun Goes to Hollywood]]"에서도 그랜트와 로렌의 관계가 어느 정도 다뤄지고 있다. 그랜트가 죽기 며칠 전에 전화를 걸어왔다고 한다. 당시 로렌은 여상하게 넘겼지만, "나중에 생각해보니 그때 이미 죽음을 예감하고 있었던 것 같다"고 했다. 여러 번 [[유산(의학)|유산]]의 고통을 거친 끝에 슬하에 2남을 두고 있다. [[에스트로겐]] 문제였다는 걸 뒤늦게 발견하고 관련 약을 먹자마자 바로 [[임신]]이 됐다고. 큰아들 [[카를로 폰티 주니어]]는 [[오케스트라]] [[지휘자]]고, 작은아들 [[에도아르도 폰티]]는 감독 겸 작가다. 드라마 "[[리졸리 앤 아일스]]"의 주연이며 "[[NCIS(드라마)|NCIS]]"에 나온 배우 [[케이트 토드|사샤 알렉산더]]가 둘째 며느리다. 아들들을 통해 4명의 손주들을 봤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loren-figli-marito.jpg|width=100%]]}}} || === 탈세 사건 === 1977년 폰티는 불법 통화 거래 등 다양한 범죄를 저지른 게 발각돼, [[이탈리아]] 내 재산이 압류되고 추방 당했다. 그런데 1980년엔 로렌이 1960년대에 [[탈세]]를 저지른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가장 크게 문제가 된 건 두 사람이 탈세로 얻은 부당 수익을 해외로 빼돌렸다는 지점이었다. 로렌 부부는 6-70년대에 사치스런 생활로 이탈리아 내에서 악명이 높았다. 로렌은 해외로 몸을 피했지만, "[[비행공포증]]이 있어 자신을 만나러 올 수 없는 어머니가 보고 싶어" 1982년 "죄값을 치르기 위해" 이탈리아로 돌아왔다.[* 그런데 나중엔 "그냥 해외에서 작업을 많이 했을 뿐"이라고 전혀 딴 말을 했다.] 카세르타 시의 여성교도소 앞은 로렌을 응원하는 팬들로 인산인해를 이뤘고, 로렌이 수감된 동안 로렌을 즐겁게 해주기 위해 로렌이 갇힌 감방 창문 밑에서 다들 타란텔라 춤[* 대략 이런 느낌의 가두 시위를 무기한 연출한 것이다.[br][[파일:tarantella.jpg]]]을 추며 노래를 불렀다. 팬들의 노력 덕에 로렌은 17일 만에 가택연금으로 풀려났다. 몇 번 속죄하는 심경을 털어놨던 로렌은 현재 사망한[* 즉 당시 로렌에게 고용됐던 세금전문가 본인의 입장을 들어보는 게 불가능한 상황이다.] 세금전문가의 단순 관리실수였을 뿐이었다고 입장을 바꿔 이를 수십 년 간 고수했는데, 이탈리아 법정도 똑같이 수십 년 동안 같은 입장을 고수해 로렌의 주장이 인정되지 않았다. 다만 2013년 판결에서 1982년에 이미 조세사면을 받은 것으로 보고 로렌이 나라에 빚진 세금이 더는 없는 것으로 정리되었다. 그래도 로렌의 주장이 드디어 최초로 참작되어 나온 결론이며 유죄와 무죄의 차이는 크기 때문에 로렌 쪽의 승리로 여겨지고 있다. == 주요 출연 작품 == 전성기에 거장 [[비토리오 데 시카]]의 페르소나로 활동하며 수많은 대표작들을 만들었다. [[아카데미 여우주연상]]을 받은 <두 여인>도 데 시카 감독 작품이다. * [[쿠오 바디스#s-2.2]](Quo Vadis)), 1951 여주인공인 리기아의 노예 중 1인인 단역이었다. * [[클레오파트라 7세/기타 창작물#s-1|클레오파트라와 이틀밤]](Due notti con Cleopatra), 1953 - [[클레오파트라 7세|클레오파트라]]/니스카 역 희극. 클레오파트라판 [[왕자와 거지]]로, 클레오파트라가 군인들을 하룻밤 상대로 삼고 다음날 아침 죽이는 일을 반복하는 가운데 클레오파트라가 부재할 때마다 대역을 하는 소녀 니스카가 남자주인공인 한 군인과 사랑에 빠진다는 내용이다. 두 여성은 쌍둥이처럼 닮았으나 클레오파트라는 흑발, 니스카는 금발로 머리색엔 차이가 있다는 설정이다. 니스카와 하룻밤을 보낸 남자주인공은 클레오파트라의 강압에 의해 클레오파트라와도 하룻밤을 보낼 - 그리고 살해 당할 - 위기에 처한다. 영화 평은 좋지 않다. 로렌의 연기는 호평을 받았다. * 나폴리의 황금(L'Oro Di Napoli), 1954 - 소피아 역 [[비토리오 데 시카]] 연출. 실비아 망가노 출연. * 소렌토의 염문(Pane, amore e...), 1955 - 소피아 코코짜 역 디노 리지 연출. [[비토리오 데 시카]] 출연. * 자랑과 정열(The Pride and the Passion), 1957 - 후아나 역 스페인 여성을 연기했다. [[케리 그랜트]], [[프랭크 시나트러]] 출연. * 해녀(Boy on a Dolphin), 1957 - 페이드라 역 20세기 폭스 제작. <백만장자와 결혼하는 법>(1953)을 연출한 쟌 네귤레스코가 감독했다. 로렌이 출연한 첫 [[영어]] 영화로 [[그리스]]의 이드라(Ύδρα)섬의 [[해면]]을 채취하는 [[해녀]] 역이다. '''그리스에서 촬영된 최초의 할리우드 영화'''다. 작중 부른 <사랑이 뭐길래(Tι΄ναι αυτό που το λένε αγάπη)>가 매우 유명하다. 페이드라는 [[알바니아]] 이민자 출신의 남자친구가 있지만, 우연히 [[에게해]]에서 이 영화의 원제인 "돌고래를 타고 있는 소년"을 묘사한 2000년 전 [[고대 그리스]] 석상을 발견한 뒤 이 석상에 관심을 보이는 고고학자([[앨런 래드]] 분)를 좋아하게 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owwhJmSQx8U)]}}}|| ||<#fff> <'''해녀'''>(1957) || * 잃어버린 전설(Timbuctù; Legend of the Lost), 1957 - 디타 역 이탈리아-미국 합작. 활극. 헨리 해서웨이 제작/연출. 벡 헥트 대본. [[존 웨인]] 출연. * 열쇠(The Key), 1958 - 스텔러(스텔라) 역 영국-미국 합작. [[캐럴 리드]] 연출. [[윌리엄 홀든]], [[트레버 하워드]] 출연. 1941년 [[대서양 전투]] 와중의 영국. 예인선 선장들은 전 주인의 요절과 함께 연립 주택의 열쇠("the key")를 물려받으면서 전임자들의 애인인 [[스위스]] 출신 스텔라도 차례차례 물려받는다. * 달빛 아래서(Houseboat), 1958 - 신찌아 자까르디 역 [[케리 그랜트]] 출연. * '''검은 난초'''(The Black Orchid), 1958 - 로세 비안코 역 [[앤서니 퀸]] 출연. * 느릅나무 아래의 욕망(Desire Under the Elms), 1958 - 애너 캐벗 역 [[델버트 만]] 연출. [[유진 오닐]]의 동명 희곡(1924)이 원작이며, 오닐이 직접 대본도 썼다. 혹평 받았으나 1958년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출품됐다. [[뉴 잉글랜드]] 농장. 죽은 두 아내들과 친자식들을 노예처럼 부려온 이프럼 캐벗(Ephraim Cabot, [[벌 아이브즈]] 분)이 세 번째 아내인 25살 짜리 이탈리아인 애너(안나)를 집으로 데려온다. 농장은 둘째 아내의 것으로, 정당한 상속 권리는 원래 막내아들 이번(Eben, [[앤서니 퍼킨스]] 분)에게 있으나 이프럼은 아들들한테 농장을 주느니 차라리 불태워 없애는 게 낫다는 입장이다. 애너는 이번과 가정 내 근친 불륜을 시작해 이번의 아기까지 갖는다. 아기를 자기 자식이라 믿은 이프럼은 농장을 아기에게 물려주려 한다. 이를 알게 된 이번은 자신의 자식이긴 하지만 동생이기도 한 아기에게 농장을 뺏기게 됐다고 여기고, 애너가 자신을 속였다고 생각하는데...[* '''스포일러''' 이번의 말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인 애너는 이번에게 자신의 사랑을 증명하기 위해 아기를 죽이고 만다. 보안관에게 애너를 신고한 이번은 곧 자신에게도 책임이 있음을 깨닫고 애너에게 사랑을 고백하고, 둘은 함께 법의 심판을 받게 된다.] * 그것은 나폴리에서 시작되었다(It Started in Naples), 1960 - 루시아 역 [[클라크 게이블]], [[비토리오 데 시카]] 출연. * '''두 여인'''(La ciociara; Und dennoch leben sie), 1960 - 체시라 역 이탈리아-독일 합작. [[몬테카시노 전투#s-4]]를 소재로 했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24.media.tumblr.com/tumblr_l7nu1pbFQM1qbx7bgo1_500.jpg|width=100%]]}}} || * 헬러 인 핑크 타이츠(Heller in Pink Tights), 1960 - 안젤라 로시니 역 [[조지 큐코어]] 연출. 카를로 폰티 제작. * 여류 백만장자(The Millionairess), 1960 - 에피파니아 파레르가 역 영국 제작. [[조지 버나드 쇼|조지 버너드 쇼]]의 1936년 희곡 원작. [[피터 셀러스]] 출연. 남자주인공인 이집트인 의사가 인도 의사로 바뀌었다. 세계에서 제일 부유한 상속녀는 남편으로 만들고 싶은 의사와의 내기에서 이기기 위해 파스타 공장에 취직해 애썼는데도 차이자 [[티베트]] 수도원에 들어가 속세와 단절되기로 결심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external/31.media.tumblr.com/tumblr_m8sdo7S0IX1rs1ef6o1_500.jpg|width=100%]]}}}|| * '''[[엘 시드#s-4]]'''(El Cid), 1961 - 도냐 쉬메인[* Doña Chimene. 원래 명칭은 도냐 히메나 디아스(Doña Jimena Díaz). 1046 - 1116.] 역 이탈리아-미국 합작. 미국에서 흥행에 크게 성공했으며 연기가 찬사를 받았다. [[찰턴 헤스턴]]가 주제역을 맡았다. 사극이나 허구가 많이 들어갔다. 12월 6일 런던 프리미어. * Le Couteau dans la plaie(Il coltello nella piaga; Five Miles to Midnight), 1962 - 리서(리자) 매클린 역 프랑스-이탈리아-미국 합작. 아나톨 리트박 연출. [[기그 영]], 장피에르 오몽 출연.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mg1585-teaser-story-big.jpg|width=100%]]}}} || 이탈리아 여성 리서는 가정폭력을 휘둘러온 미국인 남편 밥(Robert "Bob" Macklin, [[앤서니 퍼킨스]] 분)을 떠난다. 얼마 후 밥이 탔던 비행기의 탑승객 전원이 사망한 걸로 세간에 알려진다. 밥은 그대로 죽은 척을 하고 리서를 찾아온다. 리서의 계속된 반대에도 불구하고 밥은 결국 리서가 자신의 생명보험금을 수령하게 만든다. 그리고 일이 꼬이기 시작한다. * '''사랑의 변주곡'''(Ieri, oggi, domani), 1963 - 아델리나 사바라티 역 [[비토리오 데 시카]] 연출.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출연. * '''이태리식 결혼'''(Matrimonio all'italiana; Mariage à l'italienne), 1964 - 필루메나 마토라노 역 이탈리아-프랑스 합작.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출연. * '''[[로마 제국]]의 멸망'''(The Fall of the Roman Empire), 1964 - [[루킬라|루실러]] 역 앤서니 맨이 [[에드워드 기번]]의 [[로마 제국 쇠망사]]를 읽고 구상한 영화지만 허구가 많이 들어갔다. <[[엘 시드#s-4]]>와 마찬가지로 새뮤얼 브런스턴 프러덕션즈[* Samuel Bronston Productions.]에서 제작한 장편서사영화이며 감독도 앤서니 맨으로 동일한데, <[[엘 시드#s-4]]>와 달리 흥행에 크게 실패했으며 평도 좋지 않다. 같은 해 개봉한 [[존 웨인]] 주연의 <지상 최대의 서커스>까지 망하면서 제작사는 문을 닫고 말았다. 원래는 [[찰턴 헤스턴]]도 출연하려 했으나 <[[북경의 55일]]>을 찍기로 하면서 출연을 취소했다. 로렌은 출연료로 100만 달러를 받았다. [[포로 로마노]]를 재현하기 위해 당대 최대 규모의 야외 세트장을 지었다. 스티븐 보이드, [[제임스 메이슨]], 멜 퍼레어, 앤터니 퀘일 출연. 3월 24일 런던 프리미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nyc93349-teaser-xxl.jpg|width=100%]]}}} || 기원후 180년부터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마커스 어릴리어스]]([[알렉 기네스]] 분)-[[콤모두스|카머더스]]([[크리스토퍼 플러머]] 분)-[[다섯 황제의 해]]를 다룬다. 마커스 어릴리어스의 딸인 루실러는 가상의 장군 가이어스 리비어스(general Gaius Livius; 가이우스 리비우스)와 사랑하는 사이지만 아버지의 명에 의해 로마에서 앉혀놓은 [[아르메니아/역사|아르메니아]] 왕 소하머스(Sohamus[* 실제로는 Sohaemus. 소하이무스; 소히머스.], [[오마 샤리프]] 분)에게 보내지는 운명에 처해지는데... * V2 3인의 첩보전(Operation Crossbow), 1965 - 노라 역 영국 [[MGM]] 제작. 카를로 폰티 제작. 1943년 [[제2차 세계 대전]] 때 독일의 [[V1(로켓)|V1]], [[V2(로켓)|V2]] 개발을 저지하기 위해 영국이 페너뮌더(Peenemünde) 공장을 파괴하려고 공작원들을 독일에 보내는 얘기다. 나치가 공장을 미틀베르크(Mittelwerk) 지하로 옮기자 공작원들은 이 지하 공장에 직원으로 잠입한다. 허구가 많이 첨가된 실화 바탕이며 [[윈스턴 처칠]]도 나온다. [[트레버 하워드]], 폴 헨리드 출연. 로렌은 독일 잠입 작전 미국인 자원자([[조지 퍼파드]] 분)가 가장 중인 신분의 실제 독일인 아내 역으로 길지 않게 나온다. 어설프지만 직접 독일어 대사를 친다. [[파웰과 프레스버거|에머릭 프레스버거]] 대본, 마이클 앤더슨 연출. * 아라베스크(Arabesque), 1966 - 야스민 아지르 역 [[스탠리 도넌]] 연출. [[그레고리 펙]] 출연. * 기적을 넘어서(More Than A Miracle), 1967 - 이자벨라 칸델로로 역 이탈리아-프랑스 합작. 프란체스코 로지 연출. [[오마 샤리프]], [[돌로레스 델 리오]] 출연. * 홍콩에서 온 백작부인(A Countess from Hong Kong), 1967 - 너타셔(나타샤) 역 영국 제작. [[찰리 채플린]] 제작/감독/대본/작곡. 채플린이 1921년 프랑스에서 만났던 한 러시아 가수에 기초했다. 채플린은 이 일화를 1922년 책 [[https://www.amazon.com/My-Trip-Abroad-Charlie-Chaplin/dp/B00085PTKI|My Trip Abroad]]에 담기도 했다. 채플린의 유일한 컬러 영화이며 채플린이 직접 주연을 맡지 않은 단 두 편의 연출작 중 하나다.[* 다른 한 편은 <파리의 여인>(1923).] 유럽과 일본에선 인기를 끌었지만 미국 흥행은 부진했는데, 채플린이 쓰고 페튤라 클라크가 부른 [[https://www.youtube.com/watch?v=iknbQCJJybY|This Is My Song]]이 미국을 포함한 많은 서구권 국가에서 큰 인기를 끌어 결과적으론 영화를 통해 수익이 창출되었다.[* 영화에선 기악곡 버전만 나온다.] 원래는 1930년대에 [[폴렛 가더드]]를 주연으로 기획했던 작품이다. 채플린을 매우 존경하는 로렌은 이 작품을 찍었던 걸 영광으로 여긴다. [[말런 브랜도]], [[티피 헤드런]], [[시드니 채플린]], 마거릿 러더퍼드 출연. 1월 5일 영국 개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_Countess_from_Hong_Kong_1967.jpg|width=100%]]}}} || 유부남인 [[사우디 아라비아]] 대사 지명자가 미국으로 가던 중 경유지 [[호놀룰루]]에서 러시아 귀족 혈통이며 홍콩에서 살던 매춘부 나타샤를 만난다. * '''[[해바라기(동음이의어)#s-2.3|해바라기]]'''(I girasoli), 1970 - 지오반나 역 영국-소련 합작. [[비토리오 데 시카]] 연출. [[헨리 맨시니]] 음악. 카를로 폰티 등 제작.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출연. * [[맨 오브 라만차]](Man of La Mancha; L'uomo della Mancha), 1972 - 알돈자/둘시네아 역 미국-이탈리아 합작. [[피터 오툴]] 출연. 아서 힐러 연출. 평이 좋지 않다. * 밀회(Brief Encounter; Breve incontro), 1974 - 애너 재슨 역 영국-이탈리아 합작. [[데이비드 린]]의 1945년 동명 영화에 대한 개작. [[리처드 버튼]] 출연. 영국 사회에 녹아드려고 애쓰는, 지방 법무관의 이탈리아 출신 아내로 나왔다. * 리타를 잡아라(La pupa del gangster), 1975 - 푸파 역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출연. * '''특별한 날'''(Una giornata particolare; A Special Day), 1977 - 안토니에타 역 이탈리아-캐나다 합작.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출연. * [[카산드라 크로싱]](Cassandra Crossing; The Cassandra Crossing; Treffpunkt Todesbrücke), 1977 - 제니퍼 리스폴리 체임벌린 역 이탈리아-영국-서독 합작. * 암호명 S 비밀 지령(Brass Target), 1978 - 마라 역 [[존 캐서베티즈]], [[막스 폰 쉬도브]] 출연. * Between Strangers, 2005 - 올리비아 역 [[에도아르도 폰티]] 연출. [[미라 소르비노|미러 소비노우]] 출연. * [[나인(영화)|나인]](Nine), 2009 - 맘마 콘티니 역 미국-이탈리아 합작. [[롭 마샬|랍 마셜]] 연출. * '''자기 앞의 생'''(La vita davanti a sé), 2020 [[에도아르도 폰티]] 연출. [[로맹 가리]]의 소설 [[자기 앞의 생]]이 원작이다. * 내가 소피아 로렌이라면?(What Would Sophia Loren Do?), 2021 [[넷플릭스]] 다큐 영화.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B699425E-5214-4AB9-A1B8-C209613DC290.webp|width=100%]]}}}|| == 수상 목록 == '''이탈리아 공화국 공로 훈장(ORMI) 1등급 수여''' * [[1958년]] 제22회 '''[[베니스 국제 영화제]] 여우주연상''' * [[1961년]] 제15회 [[BAFTA]] 여우주연상 * [[1961년]] 제27회 [[뉴욕]] 비평가 협회 여우주연상 * [[1961년]] 제14회 '''[[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 [[1962년]] 제15회 [[BAFTA]] 여우주연상(외국) * [[1962년]] 제34회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 [[1974년]] 제22회 [[산 세바스티안]] 국제영화제 여우주연상 * [[1991년]] 제63회 [[아카데미 공로상]] * [[1991년]] [[레지옹 도뇌르 훈장]] 슈발리에 * [[1994년]] 제44회 '''[[베를린 국제 영화제]] 명예금곰상 단편''' * [[1995년]] 제52회 '''[[골든글로브 시상식|골든 글로브]] 평생공로상''' * [[2001년]] [[몬트리올]] 국제 영화제 특별상 == 요리 관련 == * 출신국인 [[이탈리아 요리|이탈리아의 요리]]를 좋아하고 즐겨하는 아마추어 요리사다. "[[https://www.amazon.it/cucina-amore-Tradizione-fantasia-italiana-ebook/dp/B00EDHG7SA|In cucina con amore]]"(1972), "[[https://www.amazon.com/Sophia-Lorens-Recipes-Memories-Loren/dp/1577193679|Sophia Loren's Recipes and Memories]]"(1998) 등 요리책을 두 권이나 냈다. 각 권마다 100여 개의 이탈리아 요리 조리법이 실려있다. 미국은 물론 자국 이탈리아에서도 평가가 좋았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fghry.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51ED+OAYuQL._AC_SY780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16ZZ177Q6L._AC_SY780_.jpg|width=100%]]}}} || * 출신지인 [[나폴리]] 전통을 중시한다고 하며 가장 자주 만드는 요리도 나폴리 중심으로 발달한 파스타 알라 제노베제다.[* pasta alla genovese. 라 제노베제(다진 고기, 양파, 소프리또를 오래 끓인 소스)를 삶은 [[파스타/종류#s-4.2|빠께리]]와 볶은 것이다. 소프리또(soffritto)는 [[미르포아|미르푸아]]의 일종이다. 제노베제는 제노비세라고도 발음한다.] * 본인을 테마로 한 [[https://sophialorenrestaurant.com/|식당]]을 운영 중이다. 장사가 잘 되는지 2023년 현재 이탈리아에 지점이 네 군데나 있다. 가족들과 함께 자주 이 식당들을 찾아 식사 자리를 갖는다고 한다. * 시럽을 가득 넣은 [[바바 오 럼]]을 좋아한다.[[https://www.elle.com/it/cucina/gourmet/a43926969/sophia-loren-cucina-intervista/|#]] * '내 미모는 전부 [[파스타]] 덕'이라고 늘 말하고 다닌 걸로도 유명한데 본인이 사실이 아니라고 부인했다. 근데 실제로 직접 들었다는 증인들이 많다. * [[대식가]]로 유명하며, 실제로 [[파스타]]나 [[피자]]를 대량으로 만들거나 먹는 모습이 많이 찍혔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61uM8Av6YkL._AC_SY741_.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20221002_121737.jpg|width=100%]]}}} || * 그래서 미국의 [[마카로니]] 제조협회는 로렌을 "올해의 마카로니 여성"으로 뽑은 적이 있다. 로렌은 마카로니를 잔뜩 먹고도 날씬할 수 있다는 산증인이라면서. * 이렇게 워낙 서구권에서 이탈리아 요리 자체를 상징하는 인물이다보니 [[폴란드]]의 [[마카로니]] 브랜드 광고를 찍은 뒤에 [[이탈리아]] 언론으로부터 [[https://www.latimes.com/archives/la-xpm-2002-jan-31-wk-morn31-story.html|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 "어떻게 이탈리아의 마카로니가 아니라 폴란드의 마카로니를 홍보할 수 있냐"며. * 1967년 <기적을 넘어서>를 찍을 때 [[오마 샤리프]]의 어머니와 자신의 어머니를 촬영장으로 초대해 [[가지]] 파르미자나[* parmigiana di melanzane.] 요리 대결을 시킨 적이 있다. [[오마 샤리프]]의 어머니가 간발의 차로 우승했다. 이 요리는 로렌이 가장 자신있어하는 요리이기도 하다. 대략 아래와 같은 느낌의 요리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AdobeStock_296698970-min-min-scaled.jpg|width=100%]]}}} || * [[제인 폰다]]의 딸 메리 윌리엄스[* 사정이 딱해 정식 입양 절차 없이 데려와 키운 딸이다.]는 로렌에게 잘 익은 [[선인장]] 자르는 법을 배운 적이 있다. == 여담 == * 본 문서를 읽어보면 알 수 있듯이 같은 사안을 두고 말을 여러 번 번복하곤 했다. 예를 들어 <달빛 아래서> 촬영을 마치고 [[케리 그랜트]]가 선물로 큰 [[장미]] [[꽃다발]]을 줬을 때, 카를로 폰티의 애정을 시험하려고 이를 폰티에게 자랑했고 의도대로 질투한 폰티는 자신을 때렸다고 했는데, 또 다른 인터뷰에서 기자가 재확인차 물어보자 "때린 것까진 아니다"라고 했다. 그래서 "그녀가 하는 말들은 좀처럼 믿기 어렵다"며 기자들이 기사 안에 노골로 불신을 표현한 적이 많다. 보통은 처음에 하는 말들이 사실이고, 나중에 하는 말들은 이미 쏟아낸 말을 후회하고 수습하는 것에 가깝다. * 2006년부터 [[스위스]] [[제네바]]에서 살고 있어서 조국인 [[이탈리아]]에서 겪은 여러 사건들에서 기인한 원망이 원인으로 추측됐지만, "난 여전히 [[이탈리아]]를 사랑한다"며 일축했다. * 중혼 논란 때부터 이탈리아 가톨릭 교회와도 사이가 좋지 않다. * 가장 좋아하는 색은 검정색이며 화면 안팎 착장에서 가장 자주 접할 수 있다. 흰색과 빨간색도 좋아한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_Loren_black0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_Loren_black02.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_Loren_black03.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Sophia_Loren_black04.jpg|width=100%]]}}} || * 1957년 [[파라마운트 픽쳐스]]에서 로렌의 미국 진출을 축하하기 위해 특별히 열어준 만찬에서 노출이 심한 옷을 입은 [[제인 맨스필드]]의 가슴을 당혹스럽게 바라보는 사진이 유명하다. 후에 말하길, 맨스필드의 옷이 흘러내려 가슴이 보일까봐 불안했다고 한다.[* 로렌의 염려대로 결국 [[유두]]가 노출된 채로 찍힌 사진이 있다.] 시트콤 "[[모던 패밀리]]"의 클레어 멀린더 던피 역의 [[줄리 보웬]]과 글로리아 역의 [[소피아 베르가라]]가 패러디 사진을 찍기도 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9c221aee7df39c3cda5d2de5a6d692.jpg|width=100%]]}}} || 맨스필드 위치에 있는 베르가라는 실제로는 로렌의 닮은꼴로 유명하다. * [[마고 로비]]도 젊은 시절 닮은꼴로 유명하다. * 1984년 미용 비법을 담은 책 [[https://www.amazon.com/Women-Beauty-Sophia-Loren/dp/0688013945|Women & Beauty]]를 냈다. 피부 관리 순서, 화장법 등을 소개하고 있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Women_beauty_loren.jpg|width=100%]]}}} || * [[일본 영화]]감독인 마스무라 야스조는 이탈리아에서 유학을 한 적이 있는데, 로렌을 비롯한 '강한 서구 여성 스타'를 보고 자신의 여성상을 구축했던 걸로 유명하다. * 한국에선 가슴에 보험을 들었다는 낭설이 퍼져있는 것 같지만 사실무근이다. * 젊어서 "식이와 운동을 하지 않는다"고 밝힌 바 있다. 미용에서 중요한 건 잠을 많이 자는 거라고. 그러나 노년에 가진 인터뷰에선 "하루에 20분씩 운동을 한다"고 했다. * [[제2차 세계 대전]] 때 [[수류탄]] 파편이 튀어 뺨에 박힌 적이 있다. 상처가 남았는데 스크린에선 잘 보이지 않았다. * 낯을 많이 가리는 성격이었다. 그래서 현장에서 처음 보는 사람들과 말을 트며 익숙해지기 위해 노력하는 걸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했다. * <자랑과 정열>에서 함께 연기했던 [[프랭크 시나트러]]와 평생 친구였다. [[피터 셀러스]]도 신뢰하는 동료이자 친구였다. * 친구 [[오드리 헵번]]과 [[리처드 버튼]], 함께 12편의 영화를 같이 찍은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에게서 받았던 편지들을 평생 간직했다. * 배우 [[피터 셀러스]], [[마르첼로 마스트로야니]], [[오마 샤리프]], [[윌리엄 홀든]], 감독 [[시드니 루멧]], [[비토리오 데 시카]]가 자신에게 반한 걸 알고 있었다. 로렌은 "남편 외의 남자들과 어울릴 생각은 없었지만, 남자들이 나를 좋아하게 만드는 걸 즐겼다"고 시인했다. * [[리처드 버튼]]과 <여행>(1974)에서 만나 서로 배우로서 신뢰하게 되었다. [[로버트 쇼]]가 <밀회> 촬영 직전 빠져나가 남주인공 자리가 비어버렸을 때 로렌은 당연하다는듯이 버튼을 불렀다. 그러자 이번엔 버튼이 [[오드리 헵번]]이 개인 사정으로 그만 둬 빈자리가 생긴 으로 불렀는데 결국엔 [[샬럿 램플링]]으로 낙점되었다가 촬영 도중 제작이 중단되었다. 버튼은 [[엘리자베스 테일러]]와의 첫 번째 결혼생활이 무너지기 직전에 로렌 부부의 곁에 머물며 위로 받기도 했다. * 1967년 <홍콩에서 온 백작부인>을 찍을 때 [[말런 브랜도]]가 몸에 허락없이 손을 댄 적이 있다. 로렌은 브랜도의 얼굴을 때리고[* 로렌은 나중에 눈빛으로 제압했다고 말을 바꿨지만, 주변 목격자들도 때리는 걸 다 봤다.] "다신 이러지 말라"고 경고해 저지시켰고, 그 뒤론 다시는 그런 일이 없었지만 촬영이 매우 힘들어졌다고. 로렌은 자신이 존경하던 감독 [[찰리 채플린]]에게 함부로 굴고 촬영 내내 [[아이스크림]]을 폭식하며 함부로 살을 불린 브랜도를 경멸했다. * 배우 [[드루 배리모어]]의 대모이기도 하다.[* 대부는 [[스티븐 스필버그]].] 부모의 관심을 못 받은 배리모어가 10대 시절 엄청난 방황과 일탈을 하자 자신의 별장으로 데려와 자신의 가족들과 함께 마음이 치유될 수 있도록 도왔다고 한다. * 실은 1980년말에 [[엘리자베스 테일러]]보다 먼저 앞서 자신의 아우라를 내거는 개인 [[향수(화장품)|향수]]를 만들었던 최초의 스타다. 그러나 코티[* coty. 무수한 유명 화장품 브랜드들을 거느리고 있다.]와의 협업으로 낸 소피아(Sophia)는 1981년 잠깐 인기를 얻었다가 사장되고 잊혀져 해당 사업군 형성에는 기여하지 못했다. 그래도 1987년까지는 팔렸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375x500.9621.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qfBLN-CrdDA)]}}}|| * 매년 [[일기]] 화형식을 치른다. * [[스크래블]]을 잘한다. * 1970년에 로마 [[세무서]]는 "[[로마]]에서 가장 소득이 높은 인물 1위가 로렌"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2위는 남편 카를로 폰티였다. [[분류:이탈리아 여배우]][[분류:이탈리아의 영화 배우]][[분류:1934년 출생]][[분류:1950년 데뷔]][[분류:할리우드 명예의 거리 입성자]][[분류:로마 출신 인물]][[분류:이탈리아계 프랑스인]][[분류:프랑스계 이탈리아인]][[분류:복수국적자]][[분류: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자]][[분류:칸 영화제 여우주연상 수상자]]